{{{#!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사업 | |||
DX부문 | <colbgcolor=#fff,#1c1d1f> VD사업부 | DA사업부 | MX사업부 | 의료기기사업부 | 네트워크사업부 | |||
DS부문 | 메모리사업부 | S.LSI사업부 | 파운드리사업부 | |||
SDC부문 | OLED사업부 | 이매진 | |||
HARMAN부문 | BANG & OLUFSEN | Bowers & Wilkins | Infinity | JBL | 마크 레빈슨 | REVEL | 하만카돈 | AKG | ARCAM | 렉시콘 | AMX | BSS | Crown | dbx | Martin | Soundcraft | AIR | 플럭스 | roon | |||
서비스 | ||||
매장 | 삼성닷컴 | 삼성스토어 | 삼성 킹스크로스 | 갤럭시 하라주쿠 | |||
서비스 | 삼성전자서비스 | |||
Samsung Care+ | Galaxy To Go | My 갤럭시 클럽 | 갤럭시 트레이드인 | 갤럭시 아카데미 | ||||
계열사 | ||||
자회사 | 세메스 | 삼성메디슨 | 하만 | 삼성전자로지텍 | 삼성전자판매 | 삼성전자서비스 | 삼성전자 재팬 | 플런티 | 셀비 | 스마트싱스 | 콰이어트사이드 | 프린터온 | 프록시멀데이터 | 심프레스 | 루프페이(삼성페이) | 에스코 일렉트로닉스 | 조이언트 | 애드기어 | 데이코 | 비브랩스 | 뉴넷 캐나다 | 스테코 | 미래로시스템 | 도우인시스 | 지에프 | 희망별숲 | 에스유머티리얼스 | |||
합작사 | 에스유머티리얼즈 | 스테코 | TSST | |||
교육 | 삼성전자공과대학교 | 삼성종합기술원 | 삼성디자인교육원 |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 | 삼성 청년 SW 아카데미 |
생산기술연구소 Global Technology Research |
||
|
||
국가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
설립일 | 2006년[1] | |
주소 |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삼성로 129 생산기술연구소 본관, 별관동 | |
기업 비전 | DX 부문 생산기술의 미래 선도 | |
미션 |
고객 경험 중심 제품 차별화를 위한 설계/공정 선행기술 확보 디지털 트윈과 라인 자동화를 통한 스마트팩토리 가속화 |
|
유형 | 기업 연구소 | |
링크 | 삼성전자 DX 스토리 네이버 블로그 생산기술연구소[2] |
[clearfix]
1. 개요
생산기술연구소(Global Technology Research)는 삼성전자의 DX(Device eXperience) 부문 선행 연구소이다.2. 상세
삼성디지털시티(경기도 수원시)에 있다.약칭은 생기연[3] 또는 GTR이다.
2006년 제조기술센터라는 이름으로 설립되어 삼성전자의 단위공정 개선 활동 및 제조혁신을 담당했다.
2013년 글로벌기술센터(GTC, Global Technology Center)로 개칭하여 기술 중심 내부 경쟁력을 강화하고, 소프트 경쟁력
2022년 연구 개발 부문을 전사 차원으로 확대하고, 제품 차별화, 고객 경험 개선, 생산기술 혁신에서의 역할을 강화하면서 현재 이름인 생산기술연구소(GTR, Global Technology Research)로 개칭하였다.[4][5]
DX 부문 전사(全社)조직[6]으로서 각 사업부( VD사업부, DA사업부, MX사업부, 네트워크 등)와 협력하며 생산기술, 소재, 부품을 연구 개발하여 차별적 경쟁 우위를 제공한다.
삼성전자 DX의 선행기술 개발에 기여한다는 점에서 삼성리서치와 유사한 부분이 많다. '생산기술'연구소라는 이름에 걸맞게 제품에 활용될 때까지 시간이 필요한 미래기술부터 당장 실용적이고, 생산 현장에 밀접한 제조기술, 제품기술까지 연구 스펙트럼이 넓은 편.
일례로 비스포크 가전( DA), 폴더블 폰( MX), micro LED( VD), 5G 네트워크 장비(네트워크) 등 여러 사업부 제품에 들어가는 부품의 소재와 생산기술을 개발하는 한편 인공지능, 머신러닝을 활용한 스마트팩토리, 디지털 트윈[7] 구축에 힘쓰고 있다.
생산기술'연구소'인 만큼 설비 엔지니어보다 연구, 개발 직군(기구개발, 회로개발, S/W 등)이 주로 이루어져 있다. 석사, 박사 비중이 타 사업부 대비 높은 편. 그러나 학사 출신도 예상 외로 드물지 않다.
3. 연구 분야
공식 네이버 블로그 기준, 다음과 같은 분야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8]-
스마트팩토리팀: 공장
자동화(지능형 로봇, 불량 검사 기술 등) 기술 개발
제조기술센터 부터 이어져 온 근본 팀
- 요소기술팀: 제품 소재 및 부품 개발, 혁신 기술(H/W, S/W 등) 개발 등
- 금형기술팀: 제품 사출 기술 및 제조 데이터, 소재 재활용, 디자인 차별화 등
- 연구 키워드[9]
- 스마트팩토리
- 디지털 트윈
- AGV / AMR
- 고속신호전송
- 무선전력전송
- 케이블 및 안테나, RFID
- 회로 설계 자동화 및 검증
- 생산 공정 소프트웨어
- 부품 가공 기술, 기계 공작법
- 금형, 인젝션 몰딩, 다이캐스팅
- 제조 데이터 분석
- 광(光)기구
- 인공지능, 머신러닝
- 빅데이터
- 친환경 안전 제조환경
4. 여담
-
DX 생산기술연구소를 삼성전자 舊 DS 생산기술연구소(現 DS 설비기술연구소)[10]와 혼동하는 경우가 있다. DX 생산기술연구소는 2022년 개칭된 이름으로, 2022년 이전 생산기술연구소는 모두 현재 DS 설비기술연구소를 의미한다. DS 설비연, 반연과는 무관한 조직.
이러한 과거 때문에 아직도 생산기술연구소로 검색하면 설비기술연구소가 먼저 뜨는 것은 블랙 코미디.
- DS 연구소들보다는 당연히 같은 DX 부문의 삼성리서치와의 연관성이 더 높다. 실제로 협업이나 연구 이전도 자주 있는 편.
- 알려진 바와 다르게 학사, 석사 신입 채용도 드물지 않다. 학력, 학벌보다는 직무 적합성을 우선시 하는 듯.
- 관련 학과로는 기계공학, 전자공학, 재료공학, 산업공학, 컴퓨터공학 등이 있다. 같은 전공이라도 세부 직무에 따라 분야가 다를 수 있으므로 취업을 고려한다면 채용 시즌에 제공되는 직무기술서를 참고할 것. 전공 도메인 역량과 더불어 소프트웨어 역량(C, Python, JavaScript, Matlab 등)까지 갖춘다면 금상첨화. 사내에서도 열정이 있다면 소프트웨어 분야를 배울 수 있도록 교육 기회를 충분히 제공한다.
-
선행기술 연구/개발 부서 특징으로 분위기가 매우 좋은 편.
야근이 적은 탓인가매년 실시하는 사업부 임직원 자체 평가도 대체로 긍정적인 것으로 조사된다.
[1]
2006년 제조기술센터 설립, 2013년 글로벌기술센터(Global Technology Center)로 개칭, 2022년 현재 명칭인 생산기술연구소로 개칭
[2]
직무 소개, 현직자 인터뷰 등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하고 있다. 전사조직이라 조직 규모가 작아서 비밀 아닌 비밀스러운 조직이 되었지만...
[3]
생산기술원 혹은 생기'원'이 아니다.
[4]
공식 블로그에서도 2022년 이전 게시글에 들어가면 GTC로 소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5]
https://blog.naver.com/PostView.naver?blogId=sec_dx_recruit&logNo=221347916254&categoryNo=62&parentCategoryNo=62&from=thumbnailList
[6]
회사 전체를 총괄하는 조직으로서 특정 사업부에 국한된 조직이 아닌 회사 내 여러 사업부에 영향을 끼친다.
[7]
Digital Twin, 메타팩토리 = 메타버스 공장 운영 시뮬레이션
[8]
파트→그룹→팀→사업부로 이어지는
삼성전자의 조직 참조.
[9]
키워드 및 설명 추가, 분류 필요
[10]
https://www.samsung-dsrecruit.com/recruits/division_intro/detail/laboratory.php
[11]
MX 사업부(경북 구미), DA 사업부(광주광역시)
[12]
부서 by 부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