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3-12-07 17:49:16

뿔꼬마사슴벌레

이 문서는 토막글입니다.

토막글 규정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대한민국에서 자생하는 사슴벌레 목록
넓적사슴벌레 왕사슴벌레 톱사슴벌레 애사슴벌레
사슴벌레 홍다리사슴벌레 다우리아사슴벌레 원표애보라사슴벌레
참넓적사슴벌레 두점박이사슴벌레 털보왕사슴벌레 엷은털왕사슴벌레
꼬마넓적사슴벌레 큰꼬마사슴벌레 길쭉꼬마사슴벌레 뿔꼬마사슴벌레
뿔꼬마사슴벌레(제주뿔꼬마사슴벌레)
Nigidius miwai
파일:Nigidius miwai.jpg
학명 Nigidius miwai
Nagel, 1941
<colbgcolor=#fc6> 분류
동물계(Animalia)
절지동물문(Arthropoda)
곤충강(Insecta)
딱정벌레목(Coleoptera)
사슴벌레과(Lucanidae)
뿔꼬마사슴벌레속(Nigidius)
뿔꼬마사슴벌레(N. miwai)

1. 개요2. 특징
[clearfix]

1. 개요

사슴벌레과 뿔꼬마사슴벌레속에 속하는 곤충으로 몸길이는 약 12mm로 작으며 대한민국 제주도에 서식하는 고유종이다.

2. 특징

종명 'miwai'는 일본의 곤충학자 '유시로 미와'의 이름에서 유래되었다.

국내에 서식하는 사슴벌레 중에셔도 손에 꼽는 미지의 사슴별레 충 하나였다. 1941년 Nagel에 의해 저움 발견되어 학계에 발표되었으나, 그 이후 60여 년 간 발견되지 않다가 90년대에 이르러서야 제주도 남부의 모처에서 재발견되었다.(Koh, 2003)

뿔꼬마사슴벌레속(Nigidius)은 아프리카, 아시아, 오세아니아 일부에 걸쳐 전 세계적으로 80여종이 분포하고 있으며, 이 속에 속하는 제주뿔꼬마사슴벌레는 전세계에서 제주도, 그것도 서귀포시의 축구장 면적보다 작은 특정 지역 에서만 국소적으로 서식하는 제주도의 고유종이다. 다만, 아직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지는 않고 있다. 암수의 외형적 차이가 크지 않은 사슴벌레이나, 앞가슴 측부 돌기, 대턱의 미세한 형태차이로 구분한다.

주로 겨울에 팽나무속에서 집단으로 동면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으며, 성충은 나무속에 갱도를 파고 다니면서 작은 무척추동물을 잡아먹거나 사체를 흡즙하는 육식성 사슴벌레로, 생태적 특성이 많이 알려져 있지는 않지만, 길쭉꼬마사슴벌레와 먹이 및 생태적 습성이 비슷하여 같은 팽나무 폐목에서 함께 발견된다. 갱도를 파놓아 유충을 돌보는 습성을 지녔으며, 유충은 갱도를 따라 기어다니며 팽나무 부스러기를 섭식한다.

유전적인 근연종은 중국 남부ㆍ 타이ㆍ라오스ㆍ베트남에 분포하는 Nigidius elongatus와 대만에 분포하는 Nigidius formosanus이며, 오래전 해류를 따라 제주도에 전파된 개체군이 정착하며 분화한 것으로 추측된다.

원래 활동범위가 넓지않은 미소서식환경종임과 동시에, 서식지의 개간 및 관광지화, 환경정화사업, 채집 등으로 인한 급격한 환경변화로 매년 개체수가 급격히 감소하여 멸종이 우려되는 종 이기도 하다.

이들은 팽나무나 썩은 나무안에서 월동을 한다. 하지만 최근 팽나무고사목 등이 채집과 지자체의 미화작업으로 없어지며 더욱 보기 어려워졌다. 채집 자체도 어렵지만, 혹시 서식지에 방문하더라도 채집은 자제하자.

사육의 경우 묵힌 산란목을 넣어 세팅한다. 다만 급사하는 경우가 잦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