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27 03:37:35

비혼식

1. 개요2. 원인3. 오해와 비판
3.1. 축의금에 관한 논쟁

1. 개요

非婚式


결혼을 하지 않는 비혼주의자들이 치르는 의식. 싱글웨딩이라고도 불린다.

절차나 양상은 개인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보이는데 보통의 결혼식처럼 예복을 잘 차려입고 지인과 친지들을 불러서 음식을 베푼다. 싱글로서 살아갈 앞으로의 삶을 축복하는 의미에서 반지 시계 따위의 기념이 될 만한 물건을 스스로에게 선물하는 풍습도 존재한다. 간혹 축의금을 걷는 경우도 있으나 일반적인 결혼식처럼 많은 이들을 초대하기는 현실적으로 요원하며 이에 따라 상부상조적 의미보다는 단순한 축하의 의미로서 보통의 결혼식보다는 낮은 금액을 주고받는다.

2. 원인

청년들 중 자발적으로 비혼의 삶을 택하는 비혼주의자들이 매해 점점 늘고 있는데 경제적 측면에서는 고용불안정, 주거불안정 등이 가장 큰 이유 중 하나로 작용하고 있다. 한마디로 돈도 없고, 집도 없다는 것.

사회적 측면에서 바라보자면 특히 젊은 여성들 사이에서 결혼의 다양한 리스크[1]를 감당하고 싶지 않다는 이유로 결혼을 기피하는 분위기가 형성되고 있고, 앞서 말한 경제적 이유와 맞물려 행복한 결혼생활을 영위할 수 없다고 판단을 하는 청년들이 점점 늘어나 혼인율 자체의 감소가 지속되고 있다.

결혼 기피 현상이 있기 이전에 연애 기피 현상이 앞서기 마련인데 애인으로부터의 억압과 폭력을 뉴스나 커뮤니티 등의 매체를 통해 지속적으로 접해 사람들 사이에서 ' 이성을 믿을 수 없다'는 이유로 연애 자체를 기피하기 때문도 있다.

사실상 다른 환경에서 살아가던 두 남녀가 가계를 합치고 소득을 나눠가며 새로운 한 가정을 꾸려나간다는 것 자체가 이미 개인의 자유를 어느정도 포기하는 것을 포함한다. 무엇보다도 개인의 자유를 추구하는 Z세대가 사회 주류층으로 떠오르면서 이러한 풍조가 더욱 짙어지고 있다.

그러는 와중에 기존의 결혼 제도를 통해 어느정도 회수할 수 있었던 축의금이 문제로 떠오르게 된다. 평생 결혼을 하지 않을 거라면 그동안 갖다바친 축의금이 무용지물이 되기 때문. 물론 이는 축의금의 원래 취지와는 맞지 않는 일이며, 일각에서는 이에 대한 비판론과 옹호론이 팽팽하게 대립하고 있다. 물론 비혼식을 거행하는 남녀 모두가 축의금을 목적으로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니다. 비혼식을 여는데에는 각자 나름의 이유가 있으며, 그 중 대표적인 것이 바로 결혼식이라는 기존 행사의 역할 일부를 비혼식에 기대하기 때문이다. 한국 사회 특성상 결혼 적령기를 넘어서도 결혼을 하지 않는 이들에게 어느정도의 추측성 꼬리표가 따라붙기 마련이므로 이러한 뒤탈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목적을 위해 하는 경우도 있다.

3. 오해와 비판

개인이 비혼을 선택하게 된 데에는 여러가지 이유가 있으며, 비혼식을 선택하는 이유도 마찬가지이다. 결혼제도에 매이는 것이 싫어서, 남과 가정을 이루고 싶지 않아서, 경제적 여유가 없어서 등 여러가지 이유가 있다.

현대사회에서 결혼은 필수가 아니며 결혼을 하지 않는 사람이 기혼자보다 못났다고 할 이유도 없는 것이다. 한마디로, 본인이 결혼할 능력이 없어서 비혼주의자 선언을 하고 비혼식을 한다고 해서 그것이 결혼에 대한 정신승리라고 하는것 자체가 어불성설이라는 것. 그 말대로라면 기혼자는 전부 외적으로도 내적으로도 비혼자보다 더 잘난 사람인가? 그렇지 않다는 것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이와 별개로 "비혼식을 진행했는데 나중에 결혼하고 싶은 생각이 들어서 결혼식을 해야 할 상황이 오면 어떻게 하냐?"라는 우스갯소리가 나오기도 한다. 그래서 그런지 요즘에는 비혼식을 '나 자신과 하는 결혼'이라고 일컫는 경우도 있는것같기도 하다. 어찌됐든 선택은 본인 몫.

3.1. 축의금에 관한 논쟁

애초에 결혼식은 두 사람의 화합과 백년해로를 기념하고 축하하는 의미가 강한 예식이므로 '축하'의 의미를 담은 축의금이 오가는것이 맞다. 하지만 비혼식의 경우는 어떠한가? 백번 양보해 비혼 자체를 축하한다고 할지언정, 비혼은 그 자체로 결혼과 같은 맥락에서 축하할 일이 결코 아니다. 결혼을 하게 된다면 많은 환경이 바뀌지만 비혼은 현상유지에서 비혼식만 거행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한마디로 비혼식은 다짐하고 기념하는 의미가 강한 예식이기 때문에 굳이 비교하자면 결혼식보다는 약혼식에 가깝다는 것.

물론 한국 문화 특성상 축의금은 축하의 의미를 넘어서 상부상조의 의미를 강하게 띠기 때문에 축의금의 본래 취지를 운운하는 것이 상황과 맞지 않다는 비판은 타당하다. 만약 본인이 지인들의 경조사를 열심히 다니며 축의금으로 꽤 많은 돈을 지출했다면, 결혼식을 하지 않음으로서 일종의 재정적 공백이 생길 수도 있는 것이다.

하지만 비혼식이 사회문화적으로 아직은 제대로 자리잡지 못한 바, 본인이 다짐하는 자리에서 축의금을 걷는 것이 속물처럼 보이는 것에 대한 비판은 피할 수가 없을 것이다. 다만 단순히 축의금 회수 목적이거나 축의금을 받는 게 중대한 이유 중 하나라면 정말 친하고 밀접한 관계의 소수에게 본인 형편상 경제적으로 무리되지 않는 적정한 선의 사례를 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형식적으로 초대받은 타인의 경조사에는 가급적으로 불참하면 된다는 대안이 충분히 있기에 비판할 수는 있다.

애초에 모든 경조사를 통틀어 별로 가까운 관계가 아님에도 인맥 과시나 축의금 장사 목적으로 과도하게 청첩장을 남발하고 그렇게 불러온 사람한테 부담스러울 정도로 축의금을 많이 내기를 강요하는 것은 폐해에 가깝지 축의금이라는 근본적인 취지에도 맞지 않는 처사이다. 본인이 결혼 안 할 것이고 기타 경조사에 많은 지인을 동원하는 데에 큰 관심이 없다면 비혼식에서 축의금 많이 뜯겠다 같은 뻘짓 하지 말고 애초부터 남의 (같은 부서에서 밀접하게 일하지 않고 별도의 친분이 없는 동료나 1~2년에 한번 연락할까 말까 하는 먼 지인 관계인 사람의) 경조사 적게 가고 축의금 적게 내면 된다.


[1] 임신, 육아, 경력단절, 시댁 문제 등등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