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에 위치한 군부대에 대한 내용은 지방대(군대) 문서 참고하십시오.
토론 합의사항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1. 개요
사전적 의미로 '지방'은 수도 이외의 지역을 의미하므로 ' 인서울 대학'을 제외한 모든 4년제 대학교는 '지방대' 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실생활에서는 '지방'이 수도권 이외의 지역을 의미하는 경우가 압도적으로 더 많으므로 인수도권을 제외한 다른 지방에 속한 대학교를 통칭하는 의미로 쓰이는 경우가 일반적이며, 통계상으로 수도권 4년제 등으로 통계된다. 심지어 실제 법률에서도 그렇게 해석하고 있다.[1] 그래서 사전상 의미는 (서울을 제외한) 지방에 있는 대학교를 뜻하지만 인수도권과 구분해서 쓰는 용례가 더 일반적이다.2. 정원 및 현황
지방대학교 관련 틀 | |||
부산의 대학 | 울산의 대학 | 대전의 대학 | 세종의 대학 |
충남의 대학 | 충북의 대학 | 광주의 대학 | 전남의 대학 |
전북의 대학 | 대구의 대학 | 제주의 대학 | 경남의 대학 |
경북의 대학 | 강원의 대학 |
호서권의 4년제 대학교 전체 정원은 대학 충남:25383명 충북:15859명 대전:18344명 세종:2657명 + 교육대학 충남:354명 충북 286명이고 전국 대학 정원의 약 11%이다. #
호남권 및 제주의 4년제 대학교 전체 정원은 대학 전남:8409명 전북:13789명 광주:13525명 제주:2799명 + 교육대학 전북:285명 광주 326명이고 전국 대학 정원의 약 7%이다. #
대경권 및 강원의 4년제 대학교 전체 정원은 대학 강원:15254명 경북:25380명 대구:9388명 + 교육대학 강원:321명 대구:383명이고 전국 대학 정원의 약 9%이다. #
부울경의 4년제 대학교 전체 정원은 대학 경남:13585명 부산:30185명 울산:3092명 + 교육대학 경남:319명 부산 356명이고 전국 대학 정원의 약 8%이다. #
나머지 46%는 방송통신대학, 원격대학, 특수대학의 성격이 강한 각종대학, 전문대학과 전문대학에 준하는 대학, 회사인이 재교육을 받는 사내대학이다.
인서울 + 인수도권 대학이 각각 12%, 7%로 대학 전체 정원의 19%를 차지하는데, 이는 지방 어느 권역보다도 더 많은 수치라서 수도권 집중 현상이라는 비판이 있다. 그러나 한국의 인구 절반가량이 수도권에 거주하고 있는 현실을 감안하면 오히려 수도권이 역차별을 받고 있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수도권 대학은 수도권정비계획법 때문에 1970년부터 대학 설립에 큰 규제를 받아왔고 전체적인 수준이 상대적으로 높아 더 수요가 많아서 더 높은 기준으로 평가받아왔기에 지금까지 살아남은 대학 정원이 더 많았다는 의견도 있다.
2019년 정원으로는 서울내 대학정원이 8만 8천명이고 수도권 전체로는 19만명, 비수도권 지방대는 약 30만명이다.
3. 지방대의 위기
학령인구의 감소로 인해 예견된 일이기는 하지만 지방대가 점차 생존에 위협을 받고 있다. 2021년에는 미충원 인원의 75%가 지방대에서 나왔으며 거점국립대학교조차 입학정원을 채우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하였다. # 다만, 해당의 경우에는 경쟁력이 약한 대학이 이원화 캠퍼스로 통폐합되면서 통계상 안 좋게 나오는 것도 감안할 필요가 있다.2021년 신입생 충원율 조사에서 수도권 대학의 86.3%가 충원율 95% 이상을 보인 반면, 지방대학은 58.4%만 해당되어 절반을 가까스로 넘기는 수준에 그쳤다. 거기에 지방대학 5개 중 1개 꼴로 충원율이 80% 미만인 것으로 나타났다. #
2023년, 신입생 모집에 어려움을 겪는 지방대학들이 파격적인 장학금 혜택 제공 등을 내걸고 추가모집에 사활을 걸고 있다. 입학만 하면 장학금을 준다던가, 첫 학기 등록금·장학금을 지원하는 곳도 있다. 아예 수능을 안 봐도 지원 가능한 지방대도 있다고 한다. # 지역 내 고3 학생들을 유치하기 위해 교수들이 고교를 방문하여 영업을 하고 있다.
이대로 가다가는 2046년에는 전국 대학의 절반, 지방대는 60%가 폐교될 것이라는 비관적인 전망까지 나왔다. 특히 수도권과 거리가 먼 부산, 경남, 경북, 전남 등에 소재한 학교의 타격이 클 것이라고 한다. 그렇다보니 대한민국 교육부에도 재정지원을 통해 국립대학의 대학 간 통폐합을 은근히 유도하고 있다. # #[2]
이 문제는 수도권 집중의 심화 및 저출산과 관련이 깊다. 저출산으로 인해 전국적으로 학령인구가 감소하고 있는데 비수도권 인구가 지속적으로 수도권으로 유출되어 버리니 비수도권 학령인구는 더욱 감소하게 된다. 거기에 그나마 남아있는 수험생들도 예외 사례를 제외하면 대체로 인서울 대학교를 더 선호한다. 거점국립대학조차도 입결이 낮아진 상태이다. 심지어 평균 7~9등급대의 최하위권 학생들마저 인서울만을 목표로 하는 사람들도 많아졌으며 실제로 N수를 거듭해 진학하는 사례들도 생겼다. 2022학년도 이후로 정시 비중이 늘어나면서 재수는 필수 삼수는 선택이라는 말이 나돌 정도로 재수생이 많이 늘어났다. 이로 인해 지방대는 수도권 대학에 비해 외국인 유학생이 많다. # 하지만 대학 입장에서는 입학정원을 줄이게 되면 등록금 수입의 감소로 이어져 학교 운영에 어려움을 겪게 되므로 무턱대고 막 줄일 수가 없다. 이미 지방대는 수도권 대학보다 입학 정원을 더 많이 감축한 상황인데다 앞으로도 더 많이 줄일 예정이다. #
이 때문에 지방대 중에서는 어떻게든 수도권 학생들을 유치하기 위해 이원화 캠퍼스를 수도권 안에 만들거나 여의치 않으면 근처에라도 차리려고 한다. 지방 이미지를 벗어내기 위해 교명에 소재지역 명칭을 빼버리고 국립대학 같은 경우는 '국립'이란 말을 아예 대학명에 못박아버렸다. #[3]
기존에 인서울대학과 비슷하거나 더 높은 입결을 보였던 거점 국립 사범대학이나 교육대학 같은 교원양성 특수목적대학 역시 타격을 피할 수 없다. 이들이 가르쳐야 할 학생 수가 갈수록 줄어들고 있으니 정원 역시 감소세이기 때문이다. 교육부는 '2019~2030년 교원수급계획안'에서 신규임용 규모를 매년 줄이겠다는 입장을 내놓았으므로 교원양성기관 정원 감축은 불가피하다. # 장기적으로는 교육대와 인근 종합대학 간 통폐합, 교원양성기관 정원 축소가 진행될 것이다. 이러면 특히 수도권보다 학생 수가 적은 지방 사범대와 교대가 우선 통폐합 대상에 오를 가능성이 크다. 이미 부산교대가 부산대와의 통폐합 논의가 이뤄진 상황이다. # #
지방대가 처한 가장 큰 문제는 수도권에 밀집된 각종 인프라를 지리적 한계 때문에 제대로 누리지 못한다는 점이다. 당장 국립현대미술관, 국립중앙박물관, 예술의전당, 국립극장, 세종문화회관 등 예술계 대표 빅5 인프라가 모두 서울에 있고, 크고작은 각종 국내외 기업들의 본사들이나 대형 상업인프라, 또는 코엑스와 같은 대형 컨벤션 센터, 국립중앙도서관이나 국회도서관과 같은 교육 인프라, 각국 대사관 및 문화원과 같은 국제 시설 등 거의 전 영역에 걸친 풍부한 인프라가 모두 서울에 집중되어 있다. 그래서 연구를 지망하든 취업을 지망하든 다양한 정보, 또는 실습이나 인턴십 등의 기회는 지방에 비해 수도권에 월등히 많지만, 지방대생이 이를 누리려면 수도권대생이 지하철을 타고 방문할 때 철도나 항공기를 타고 몇 시간 걸쳐 방문해야 하는 격차가 발생한다. 그나마 규모가 있는 광역시는 차치하고, 일반 중소지자체들에게 이러한 인프라들은 언감생심이다. 이는 대학의 성장이 소재지의 규모 및 수준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음을 보여주는데, 그러나 대부분의 지방대학이 소재한 지역들이 관내 대학을 위해 무언가를 시도할 여력이 없다는 점은 지방 소멸의 문제와 묶여 심각한 사회 현상으로 인식되고 있다.
취업률에서도 수도권과 비수도권 대학 간 취업률 격차가 점점 벌어지고 있다. 이 때문에 지방대를 졸업하고도 취업을 위해 수도권으로 향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 # #
3.1. 예외 사례
물론 인서울 대학이라고 해서 사회적인 인식이 마냥 좋은 것도 아니고, 서울에 있는 대학을 다니기 위해 드는 비용이 만만치 않으므로[4] 교육대학 및 사범대학, 의치한약수 등 자격/면허를 주는 학과는 인서울 대학에 충분히 갈 수 있을만한 성적을 거두고도 지방대를 선택하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에는 특히 등록금이 저렴한 국립대학 쪽으로 많이 간다.[5]이처럼 지방대라 해도 진로가 어느정도 정해진 학과들은 높은 경쟁률을 보이기도 한다. 이러한 학과들은 통상적인 대학 서열화의 영향을 덜 받고, 대체적으로 학과에서의 인연이 사회(직업)에서도 학맥으로 이어지기 때문이다.[6] 나무위키 규정상 특정대학을 언급하기는 어렵지만 간판학과, 유일한 학과, 특성화 학과 등 인서울보다 높은 입결을 보이는 지방대의 학과는 어렵지 않게 찾을 수있다.
카이스트와 포스텍 또한 각각 대전과 포항에 있어서 지방대이다
4. 관련 문서
[1]
지방대학 및 지역균형인재 육성에 관한 법률 2조 1항 "“지방대학”이란 「수도권정비계획법」 제2조제1호에 따른 수도권(이하 “수도권”이라 한다)이 아닌 지역에 소재하는 「고등교육법」 제2조 각 호에 따른 학교(원격대학 및 각종학교는 제외한다)를 말한다."
[2]
최근 교육부의 글로컬대학 지원책은 해당 대학에 1천억을 지원하는 것을 골자로 하며, 현재
충북대와
교통대,
부산대와
부산교대가 이를 위해 통합을 준비하고 있다.
[3]
원래 국립대학이라 하더라도 국립 명칭을 대학명에 등재하는 것은 엄연한 불법이었으나, 지방대학의 소멸이 가파르게 진행되고 있어 정원 미달 사태가 확산되자 다수의 지방 국립대가 국립 명칭의 홍보효과를 기대한 지명변경을 교육부에 지속적으로 요구하였다.
[4]
지방에 있는 학생이 서울에 있는 대학을 다니기 위해선 필연적으로
기숙사에 들어가야 하는데 기숙사비가 들며, 기숙사에서 제공하는 식사에 대한 식비 및 옷세탁을 위한 세탁비가 지출된다. 이 정도가 가장 싼거고 기숙사에 선발되지 못해 근처 원룸 등에서 자취를 한다면 월세 비용이 만만치 않고, 필요한 가구도 사비로 별도로 충당해야 한다.
[5]
통상적으로
사립대학의 등록금은
국립대학의 2배 이상 많이 든다.
[6]
사관학교나
해사대학 등이 특히 그러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