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23 11:05:40

블루스(록맨 클래식 시리즈)/작중 행적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블루스(록맨 클래식 시리즈)

[clearfix]

1. 개요

록맨 시리즈] 중 록맨 클래식 시리즈에 등장하는 블루스의 작중 행적을 정리한 문서들.

2. 록맨 3

첫 등장 작품. 하드맨, 섀도맨, 마그넷맨 스테이지 중간 중간 휘파람을 울리며 나타나서는 록맨을 공격하며, 싸움 후에는 길을 뚫어주고 돌아가는 행보를 반복하다가 제미니맨 스테이지에선 막힌 길만 뚫어주고 그냥 가는 알 수 없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이후 8 보스와 도쿠로봇 K-176을 잡으면 브레이크맨으로 변장해서 등장해서 대결한다.

대결 이후 등장이 없다가 마지막에 폭발하는 와일리 캐슬에서 록맨을 돌연 구해주고 자취를 감추는데, 이 때 엔딩에서 라이트 박사가 만든 로봇 리스트가 지나간다. DRN.008 일렉맨, DRN.007 파이어맨, DRN.006 봄버맨, DRN.005 아이스맨, DRN.004 거츠맨, DRN.003 컷맨, DRN.002 , DRN.001 록맨, 그리고 마지막으로 공개되는 것은 DRN.000 블루스. 사실은 록맨보다 더 먼저 만들어진 라이트 박사의 첫 번째 인간형 로봇이자 록맨의 형이라는 게 밝혀져 신선하고도 훈훈한 반전을 줬다.

중간에 힘을 시험했던 것도, 제미니맨 스테이지에서 도움을 준 것도, 마지막에 Dr. 와일리 성에서 정신을 잃은 록맨을 구해준 것도 모두 록맨이 자신의 친동생이었기 때문. 록맨 3가 나온 지 30년 이상 지난 지금에 와서는 아무 의미가 없는 반전이지만, 당시 액션 게임에서 뜬금없이 튀어나오더니만 길을 뚫어주고 사라지던 정체불명의 중간 보스가 알고 보니 주인공의 친형이었다는 반전은 상당히 신선한 연출이었다. 이와 같은 조력자 포지션은 파생작인 록맨 X 시리즈에서 제로가 이어받는다.

3. 록맨 4

초반에는 나오지 않다가 와일리에게 납치당한 Dr. 코사크의 딸 칼린카를 구해서 록맨과 코사크 앞에 데려다주고는 사라진다. 이후 나타난 Dr. 와일리가 하는 말을 보아, 칼린카를 구하기 전까지는 여전히 표면상 와일리와 협력하고 있었던 듯하다.

메가믹스에선 코사크 로봇과 상대할때는 같이 상대해준다.

4. 록맨 5

수수께끼의 로봇 8체를 데리고는 도시에서 난동을 일으키고 Dr. 라이트를 납치하는 등 이전과는 180도 다른 악행을 저지른다.[1] 이후 록맨이 블루스 성의 종점에 도착하자 휘파람을 불며 맞이하는데, 버스터 단 한 방으로 록맨을 죽기 일보 직전까지 몰아넣는다. 하지만 이때 들리는 휘파람 소리는 기존의 블루스와 미묘하게 다르고 발사된 탄환도 잡몹들이 쏘는 것과 동일하게 생겼는데, 사실 이 블루스는 Dr. 와일리가 진짜 블루스에게 누명을 씌우기 위해 만든 다크맨 IV였다.

그리고 록맨이 제압당한 직후 기존의 휘파람과 함께 진짜 블루스가 뒤에서 나타나, 다크맨을 공격해서 허물을 벗긴 뒤 체력 회복 아이템인 L캔을 록맨에게 건네준 후 다시 사라진다. 나중에 록맨이 Dr. 라이트를 구출한 후 무너지는 와일리 성에 갇히게 되자 둘이 탈출할 수 있도록 길을 열어주고, 폭발하는 와일리 성을 먼발치에서 지켜보다가 사라진다.

5. 록맨 6

토마호크맨 스테이지에서 비밀공간에 출입하면 휘파람 소리를 내며 등장하는데, 록맨에게 특수 아이템인 에너지 밸런서를 건네주고 말도 없이 바로 떠난다. 그 외의 등장은 전혀 없으며, 사실상 그냥 팬 서비스로 등장시킨 것이라 볼 수 있다.

6. 록맨 7

클라우드맨, 터보맨 스테이지의 비밀 공간에서 등장하여 록맨과 잠시 대화를 나누고 떠나고, 이후 셰이드맨 스테이지의 비밀 공간에서 다시 만나면 너의 힘을 보여달라면서 록맨과 대결한다. 체력은 표시되지 않지만 다른 보스들과 다르게 30이며, 약점은 차지 샷.[2] 3편과는 다르게 공격할 때를 제외하면 항상 방패로 방어해서 대미지를 줄 수 없으며, 차지 샷 여러 발을 겹쳐서 발사하는 패턴도 있는 등 상당히 강해졌다.

전용 보스전 음악이 없고 기존 8 보스 배틀 음악을 돌려서 그대로 쓰는데 일부 팬들은 일부러 이 때만 볼륨을 조절해 록맨 X5의 제로 vs 엑스전의 BGM을 따로 틀어놓고 뽕맛을 느끼는 유저도 있다.

이후 록맨이 승리하면 자신의 방패를 록맨에게 건네주고 떠난다. 허나 방어를 위해서는 가만히 있어야 하며, 막을 수 있는 공격도 메톨이나 스나이퍼 죠의 총알 등 약한 공격으로 한정돼있어 블루스가 쓸 때에 비해 성능은 별로 좋지 못하다. 그래도 좁은 공간에서 쓸데없는 피격을 줄일 수 있다는 것은 나름 장점.

여담으로 록맨과 대결하기 전후의 대사가 발매 국가에 따라 미묘하게 다른데, 일본판이 단순히 록맨의 강함을 시험해보려는 뉘앙스라면 북미판에서는 굳이 자기랑 록맨 중 누가 우수한지 비교한다.

사실 이 북미판 대사는 록맨 시리즈의 설정을 고려하면 상당히 부적절한 로컬라이징이다. 록맨은 블루스가 자기 형인지 모르기 때문에, 북미판의 대사와 맞물리면 형제 관계를 형에게 직접 듣고도 모르는 말도 안 되는 상황이 만들어진다.

7. 록맨 8

듀오와 록맨의 전투 이후 처음 등장하며, 록맨에게 Dr. 와일리의 성 '와일리 타워'가 코앞에 있다는 것을 가르쳐주고는 떠난다.

이후 와일리 타워 최상층에서 다시 나타나 록맨을 와일리로부터 구하려다 크게 다친 듀오를 데리고 대피하고, 싸움이 끝난 후의 엔딩에서는 듀오의 부탁을 받고 록맨에게 그의 감사 인사를 전해준다.

8. 록맨 & 포르테

인트로 스테이지에서부터 등장한다. 전투 로봇들의 데이터를 훔치기 위해 로봇 박물관에 침입한 을 저지하려다 오히려 킹에게 공격당해서 하반신이 날아가는 치명상을 입게 된다. 정지되기 직전에 워프해서 Dr. 라이트에게 치료받은 후, 킹을 저지하기 위해 또 다시 킹의 캐슬로 찾아가 최대출력으로 버스터를 사용해서 킹의 쉴드를 박살낸다. 그러나 자신의 동력에 너무 무리를 가해서 그대로 쓰러지고 만다. 이후 록맨[3]과의 싸움에서 패한 킹은 같은 로봇을 해치고 싶지 않다며 블루스를 안전한 곳으로 워프시켜 줬다.

록맨 루트에서는 여기서 그대로 퇴장하지만, 포르테 루트에서는 엔딩에서 다시 나타나 Dr. 와일리가 새로이 제작할 계획이었던 의 후계기인 '킹 2세'의 설계도를 박살내버린다. 그리고 포르테에게 다음과 같이 따끔한 일침을 날려주고는 떠난다.
블루스: 포르테, 넌 자신의 힘만으로 록맨을 쓰러뜨리고 싶은 게 아닌가? 확실히 넌 강하다. 하지만 록맨한테는 이기지 못해. 왠지 알겠나? 네게는 지킬 게 없기 때문이지. 넌 뭘 위해서 싸우고 있지? 자신을 위해서일 뿐이 아닌가?

9. 록맨 9

록맨에게 패한 와일리가 경찰에게 잡혀간 라이트 박사는 사실 자기가 데리고 있다면서 록맨을 옆방으로 데려가자 휘파람을 불며 록맨 앞에 나타나고, 와일리가 보여준 라이트 박사가 가짜임을 간파하고서 록맨에게 충고한다. 하지만 록맨이 진짜 라이트 박사일지도 모른다고 망설이자, 좋을대로 하라며 체념하듯 다시 사라진다.

결국 록맨은 가짜 라이트 박사에게 접근했다가 감전돼서 기절하고, 그 틈에 와일리가 건물 폭파 장치를 작동시킨 후 도망가자 블루스는 다시 나타나서 록맨을 데리고 탈출한다.

10. 록맨 10

파일:external/images.wikia.com/Protoman10.png

록맨이 로보엔자 백신 제조기를 찾으려 떠나려고 할 때 휘파람과 함께 등장하고 록맨과 동행하겠다고 한다. 4 보스를 격파한 뒤 나오는 컷신에서도 와일리가 록맨에게 혹시 로보엔자 증상을 보이지 않느냐고 물어볼 때 옆에서 뭔가 굳은 표정으로 와일리를 보고 있다. 이후 록맨의 스토리에서는 등장이 없지만 블루스로 플레이 시 와일리 스테이지 1을 클리어하고 갑자기 로보엔자에 걸려 쓰러지지만 옆에서 록맨이 백신을 먹여 다시 일어서고 블루스로 와일리 캡슐을 격파할 시 와일리가 감기 증세를 보이자 "이걸 인과응보라 하는가 보군."이라며 그냥 와일리를 방치해두고 떠난다. 나중에 록맨, 포르테의 엔딩처럼 병원에 입원해있는 걸 보면 록맨이 따로 데려다 준 것으로 보인다.


[1] 라이트 박사가 납치된 직후 록맨이 급히 달려왔지만, 현장에는 노란색의 스카프 한 장만이 떨어져 있었을 뿐이었다. 록맨이 이 스카프를 보고 "블루스...?!"라고 당황하는 장면이 일품. [2] 7편에서는 차지 샷 위력이 2로 감소해서 15방을 맞혀야 한다. [3] 혹은 포르테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76
, 3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76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