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2-29 02:20:51

범공

신라의 왕자
[[틀:신라의 왕자/태종 무열왕 ~ 경순왕|{{{#!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ackground: #fbe673; border-radius: 3px; font-size: .8em"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621970, #7C2A8D 20%, #7C2A8D 80%, #621970); color: #fbe673;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신라/왕조#s-2.1|{{{#!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be673; font-size: .7em"]]
김삼광 · 김원술 · 김원정 · 김장이 · 김원망 · 김군승
효소왕 · 성덕왕 · 김근질 · 김사종
[[신라/왕조#s-2.1|{{{#!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be673; font-size: .7em"]]
[[신라/왕조#s-2.1|{{{#!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be673; font-size: .7em"]]
신영왕(김의관)
[[신라/왕조#s-2.1|{{{#!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be673; font-size: .7em"]]
흥평왕(김위문)
[[신라/왕조#s-2.1|{{{#!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be673; font-size: .7em"]]
[[신라/왕조#s-2.1|{{{#!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be673; font-size: .7em"]]
혜충왕(김인겸) · 헌평태자 · 혜강왕(김예영)
[[신라/왕조#s-2.1|{{{#!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be673; font-size: .7em"]]
정교부인의 남편 · 심지
[[신라/왕조#s-2.1|{{{#!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be673; font-size: .7em"]]
[[신라/왕조#s-2.1|{{{#!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be673; font-size: .7em"]]
[[신라/왕조#s-2.1|{{{#!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be673; font-size: .7em"]]
[[신라/왕조#s-2.1|{{{#!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be673; font-size: .7em"]]
[[신라/왕조#s-2.1|{{{#!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be673; font-size: .7em"]]
[[신라/왕조#s-2.1|{{{#!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be673; font-size: .7em"]]
[[신라/왕조#s-2.1|{{{#!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be673; font-size: .7em"]]
밀성대군 · 고양대군 · 속함대군 · 죽성대군 · 사벌대군 · 완산대군 · 강남대군 · 월성대군
금성대군 · 계림대군
[[신라/왕조#s-2.1|{{{#!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be673; font-size: .7em"]]
[[신라/왕조#s-2.1|{{{#!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be673; font-size: .7em"]]
국왕 · 추존 국왕 · 왕후 · 추존 왕비 · 태자
왕자 : 혁거세 거서간 ~ 문흥왕 · 태종 무열왕 ~ 경순왕
왕녀 : 혁거세 거서간 ~ 진안 갈문왕 · 태종 무열왕 ~ 경순왕
※ 이름이 있거나 성년까지 생존한 인물만 기재
※ 『 화랑세기』 에만 등장하는 경우는 제외
}}}}}}}}}


<colbgcolor=#7C2A8D><colcolor=#fbe673>
경순왕의 왕자
범공 | 梵空
출생 918년 이후(추정)[1]
신라 금성
사망 연대 미상
해인사[2]
재위기간 신라의 왕자
? ~ 936년 1월[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7C2A8D><colcolor=#fbe673> 본관 ?
?
부모 부왕: 경순왕
모후: 죽방부인
형제 형: 마의태자
누이: 덕주공주[4]
법명 범공(梵空)
골품 진골(眞骨) }}}}}}}}}

1. 개요2. 생애3. 문헌상 기록4. 평가5. 기타6. 관련문서

[clearfix]

1. 개요

통일신라의 제56대 경순왕의 계자(季子)[5] 신라 말기의 왕족이자 고려 초기의 승려이다. 출가 이전 왕족 시기의 이름은 사서에 전하지 않는다.[6]

2. 생애

太子哭泣辭王, 徑徃皆骨山麻衣草食以終其身.
태자는 왕에게 울면서 하직하고, 바로 개골산으로 들어가서 삼베 옷을 입고 풀을 먹다가 생애를 마쳤다.
季子祝髮隷華嚴為浮圖名梵空, 後住法水海印寺云.
계자(막내 아들)는 머리를 깎고 화엄종에 들어가 승려가 되어 이름을 범공이라 했는데, 그 뒤로 법수사와 해인사에 머물렀다고 한다.
《삼국유사》 제2기이 김부대왕 中, 마의태자와 범공에 대한 언급

삼국사기의 기록에는 등장하지 않으며, 첫 기록은 고려 말기인 1281년에 일연이 지은 삼국유사에 처음으로 등장한다. 935년 음력 11월 신라 고려에게 항복한 뒤, 형인 마의태자 경순왕에게 하직한 후 바로 개골산으로 들어가 삼베옷을 입고 살다가 세상을 떠났다. (경순왕의) 막내아들은 머리를 깎고 화엄종에 들어가 승려가 되어 법명을 범공(梵空)이라 했는데, 이후 법수사(法水寺)[7], 해인사[8]에 기거했다고 한다. 이후의 행적은 불명.
사서에 이름이 전하지 않는 왕자가 있었는데, 그도 왕에게 항복하지 말 것을 극력 간하였으나, 왕이 듣지 않으매 처자를 버리고 형 태자와 함께 개골산으로 들어갔다고 한다.
《동국여지승람》 범공에 대한 언급
신라가 망하자 경순왕의 막내아들 김덕지가 중이 되어 법수사에 들어가 이곳 해인사에도 드나들면서 여생을 보냈다고 한다.
《해인사지》 범공에 대한 언급[9]

3. 문헌상 기록

4. 평가

5. 기타

6. 관련문서




[1] 족보상 경순왕은 897년생이고 마의태자는 917년생이다. 삼국사절요에 의하면 부모의 혼인시점이 897년이므로 대략 맞아 떨어진다. 그렇다면 계자인 범공은 마의태자 출생 후 1년이 지난 918년 이후에 출생했을 것이다. [2] 증보문헌비고에서는 처자를 버리고 해인사에 들어가 살다 죽었다고 한다. [3] 음력 935년 12월. [4] 德周公主. [5] 신라가 고려에 합병될 당시에 경순왕의 막내아들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경순왕은 고려에 귀순한 후 고려 태조의 장녀 낙랑공주 왕씨와 혼인하여 자녀를 더 갖게 된다. [6] 경순왕의 장남의 이름도 사서에는 전해지지 않고 있다. 마의태자라는 호칭은 일제강점기인 1926년 동아일보 연재 소설에서 비롯된 것이다. [7] 경상북도 성주군 가야산에 있었던 사찰. 현재 절은 남아있지 않고 석탑만 남아 있는데, 임진왜란 전후로 불에 타 폐찰된 것으로 추정된다. [8] 경상남도 합천군에 위치한 사찰. 팔만대장경이 이곳에 보관된 것으로 유명하다. [9] 《해인사지》어느 부분인지 출처 필요. [10] 석성현감. 호는 고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