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2-13 00:21:25

박길룡



1. 개요2. 생애3. 참고문헌

朴吉龍

1. 개요

고려인 출신 북한의 외교관.

2. 생애

1920년 1월,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에서 태어났다. 소련식 이름은 발렌틴 박이다. 고려인 강제 이주 이후 카자흐스탄 교원대학 국문학부를 졸업하였다.

1945년 10월, 박영빈 등 사범대학 혹은 노어노문학과 출신 고려인들과 함께 2진으로 북한에 파견되어 북한 건국의 일익을 담당하였다. 초기에 대위계급을 달고 소군정 통역관으로 일하다가 1947년 평양 교원대학 부총장에 임명되었고, 1950년, 조쏘문화협회 부위원장에 임명되었으며 김일성의 러시아어 통역도 담당하였다.

1953년, 초대 체코슬로바키아 대사에 임명되었다. 1953년 7월 29일,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정령에 따라 '미영제국주의 무력침범자들을 반대하여 자유와 독립을 수호한 조선인민의 정의의 조국해방전쟁의 승리를 보장함에 있어서 온갖 헌신성과 창발적 활동으로써 특출한 공훈을 세운 국가정권기관 및 당 지도일꾼"으로 선정되어 로력훈장을 받았다. 1954년에 동독과 북한이 정식으로 대사급 수교를 하면서 1954년 3월 6일, 체코슬로바키아 대사에서 소환되어 양영순에게 자리를 물려주고 새로 동독 대사에 임명되었다. 이후 3년간 동독 대사로 재직하였고 1956년 8월 종파사건에서 고려인들이 대거 숙청당했음에도 일단은 생존, 1957년 5월 9일,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정령에 따라 동독 대사에서 소환되어 전 불가리아 대사 박일영에게 자리를 물려주고 귀국했다. 남일은 이에 대해서 박길룡이 외국에 파견된 대사 중에 가장 우수한 인물이므로 귀국시켜 국장으로 임명하기 위함이라고 설명하였고 정말 그대로 귀국 후 외무성 1국 국장에 임명되었으나 계속 동료들이 숙청되는 것에 불안감을 느끼고 김일성과 남일에게 소련 귀국을 간청하였다. 하지만 김일성과 남일 모두 반대하였고 소련 대사 알렉산드르 푸자노프도 그에게 계속 일할 것을 권하였다. 김일성은 박길룡을 안심시키기 위해 1958년 4월 7일, 상무위원회 회의에서 그를 외무성 부상으로 임명하였다.

그러다가 박길룡 본인의 주장에 따르면, 중소분쟁 초기에 중국에 더 호의적이었던 김일성에게 마오쩌둥이 고려인 외교관들을 믿을 수 없으니 쫓아내야 한다고 요구하는 과정에서 1959년 10월, 남일의 외무상 해임과 함께 자신도 해임당한 것이라고 한다. 흐루쇼프 시기 북한사의 전문가인 발라즈 샬론타이는 흐루쇼프가 미국과 평화공존을 추구하면서 미국의 눈치를 보느라 북한 방문을 일방적으로 취소한 것과 계속되는 군축 요구에 불만을 품은 김일성이 소련과의 거리를 두면서 벌어진 일로 설명했다.

1958~1959년 사이에 많은 인물들이 숙청되는 것을 보고 불안감을 느낀 그는 다시 김일성에게 소련 유학을 다녀오고 싶다고 핑계를 대었다. 김일성은 "이론가 길룡이가 더 공부할 필요가 있나"라고 핀잔을 주더니 다시 귀국하는 조건으로 그의 유학을 허락했다. 덕분에 소련으로 무사히 귀환한 박길룡은 소련 과학아카데미 동방연구소에서 공부, <조선공산당의 재건>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동방연구소 선임연구위원으로 오랫동안 일하였다.

탈냉전기, 중앙일보 김국후 기자와 활발히 인터뷰하면서 북한 건국사, 6.25 전쟁 및 전후 북한 외교 비화에 대한 중요한 증언들을 많이 제공하였고 김국후와 함께 김일성 외교비사를 집필하기도 하였다. 1997년 7월 12일, 숙환으로 사망했다.

3.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