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0a3d00><colcolor=#FFFFFF> 관련 문서 |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 · 생애 · 특징 · 작품목록 · 평가 · BWV | |
바흐의 작품 | 골드베르크 변주곡 · 인벤션과 신포니아 · 토카타와 푸가(BWV 565) · 평균율 클라비어 곡집 | ||
이 얼마나 아름답게 빛나는 샛별인가 | |||
음악의 헌정 · 푸가의 기법 | |||
G선상의 아리아 · 브란덴부르크 협주곡 | |||
371 Harmonized Chorales · Komm, süßer Tod · 마태수난곡 · 미사 B단조 · 요한수난곡 | |||
무반주 바이올린 소나타와 파르티타 · 무반주 첼로 모음곡 · 샤콘 |
1. 개요
미사 B단조 (Mass in B minor, h-Moll-Messe) BWV 232요한 제바스티안 바흐가 작곡한 미사곡. 바흐 종교음악의 총결산으로 여겨지며, 클래식 음악 사상 가장 위대한 작품 중 하나로 꼽히는 곡이다. 마태수난곡과 더불어 바흐 종교음악의 양대 걸작으로 마태수난곡이 대중적으로는 더 잘 알려져 있지만, 이 작품을 더 높게 치는 전문가나 음악애호가들도 많다. 팔레스트리나의 마르첼로 교황의 미사, 루트비히 판 베토벤의 장엄미사 등과 함께 미사 음악 중에서도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실제 작곡기간은 25년에 걸쳐 있으며, 바흐가 죽기 직전에 완성되었다 (작곡기간 1724년 ~ 1749년으로 추정)[2]. 현재 베를린 주립도서관에 보관 중인 필사본이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되었다. 단일 곡의 악보로만 따지면 베토벤의 9번 교향곡에 이어 2번째다.[3]
2. 배경
이 b단조 미사는 24곡으로 구성되어 있다.미사곡의 첫 두 부분인 키리에(Kyrie)와 글로리아(Gloria)는 바흐가 믿던 루터교회에서도 그대로 전례음악으로 사용했으며 이 두 부분만으로 구성된 미사를 특별히 미사 브레비스(missa brevis)라고 한다.[4] 그는 1733년 당시 선왕 아우구스투스 2세를 이어 즉위한 작센의 선거후 아우구스투스 3세에게 미사 브레비스를 작곡하여 헌정했는데 이 브레비스가 후에 b단조 미사에서 키리에와 글로리아로 편입된다. 바흐는 1736년에 작센 궁정작곡가 타이틀을 얻게 된다.
그리고 그는 생애 막바지인 1747년 경부터 미사곡의 나머지 부분을 써나가기 시작했다[5][6]. 그러나 그 동기가 무엇인지는 자세히 밝혀지지 않았다. 몇몇 학자들은 1738년에 시작된 드레스덴 대성당의 건축 기념으로 전체 미사의 작곡을 시도했다고 주장 하는데 이 성당은 바흐가 죽은 후인 1751년에 완성되었기 때문에 실제로 개축 기념식에서 연주가 행해지지는 않았다.
한편 바흐는 1724년 크리스마스 기념식에 쓸 용도로 작곡된 곡을 1748~1749년에 수정하여 제 18곡인 거룩하시도다(Sanctus)에 편입시켰다.
3. 구성
미사 전례문에 따라 5부로 나뉘어 있으며, 전술했듯 아타카와 Osanna의 반복을 제외하면 세부적으로는 총 24곡이 된다. 원래 각각의 곡들은 제목이 없으나, 부르기 편하도록 해당 구절의 앞부분(가사가 짧을 경우 전체)을 제목처럼 부르곤 한다. 다만 곡 (혹은 트랙) 구성만 그렇지, 실제 미사에서는 24곡들로 구분짓기보다 5부, 즉 자비송, 대영광송, 신앙고백(Credo), 거룩하시도다, 그리고 하느님의 어린양으로만 쪼개서 진행하게 된다.[7] 실제로는 2시간에 가까운 대규모의 곡치고는 가사가 짧다고 느껴질 수 있는데, 대부분의 미사곡은 가사를 계속 반복하여 활용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 문서 아래에 써진 가사들이 전부는 아니다. (예외로 자비송은 전부 써진 게 맞다.) 전체 (라틴어) 가사는 각 부 제목에 연결된 문서들의 기도문 혹은 본문 절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Kyrie[8]
- Gloria
- Gloria in excelsis Deo[11]
- Et in terra pax[12]
- Laudamus te[13]
- Gratias agimus tibi[14]
- Domine Deus[15][16]
- Qui tollis[17]
- Qui sedes
- Quoniam tu solus sanctus
- Cum sancto spiritu[18][19]
- Credo
- Credo in unum Deum[20]
- Patrem omnipotentem[21]
- Et in unum Dominum
- Et incarnatus[22]
- Crucifixus[23]
- Et resurrexit[24]
- Et in spiritum sanctum
- Confiteor[25]
- Et expecto[26]
- Sanctus
- Agnus Dei
4. 선정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 ||
이름 | 한국어 |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의 미사 b단조 필사본 |
영어 | Autograph of h-Moll-Messe (Mass in B minor) by Johann Sebastian Bach | |
프랑스어 | Manuscrit de la h-Moll-Messe (Messe en si mineur) de Jean-Sébastien Bach | |
국가·위치 | 독일 베를린 | |
소장·관리 | 베를린 주립도서관 | |
등재유형 | 기록유산 | |
등재연도 | 2015년 | |
제작시기 | 1733/1748-49 |
Classic FM 선정 10대 바흐 작품 |
|||||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5px" |
브란덴부르크 협주곡 | 골트베르크 변주곡 | 두 대의 바이올린을 위한 협주곡 d단조 | 평균율 클라비어 곡집 | 마태수난곡 |
토카타와 푸가(BWV 565) | 무반주 첼로 모음곡 | 미사 B단조 | 파르티타 2번 D단조 BWV 1004 | Flute Sonata in B minor, BWV 1030 | |
※ 2021년 영국의 라디오 방송국 Classic FM이 ' 10 of Bach’s all-time best pieces of music'를 선정. | }}}}}}}}} |
[1]
1818년 이 작품의 총보가 최초로 출판되었을 때 한 말이다.
[2]
물론 그 기간동안 작곡에 계속 착수 중이었던 것은 아니다.
[3]
사실 악보는 꽤 많이 등재되어 있는데 대부분은 작곡가의 컬렉션이다.
[4]
바흐는 여러 미사곡을 남겼는데 이 b단조 미사만 제외하고 모두 미사 브레비스이다.
[5]
47~49년에는 신경을, 48~49년에는 상투스 이하를 썼다.
[6]
첨언하면 B단조 미사에는 바흐가 본인의 다른 칸타타에서 이미 쓰인 곡을 개작하거나 가사만 바꾸어 모은 것들이 꽤 있다. 바흐가 자신의 최고의 성악 음악들의 총집합을 만들려고 했다고도 볼 수 있을 것이다.
[7]
대부분의 미사곡들도 곡 구분이 이 5부를 따르는 편이다. 다만 또 상당수의 곡들은 '거룩하시도다'를 맨 처음 '거룩하시도다' 파트와 '찬미받으소서(Benedictus)' 파트로 곡 구분을 한다.
[8]
항목을 보면 알겠지만 저 세 줄이 가사의 전부이다. 미사곡이라는게 정해진 형식을 따라야 하고 가사를 마음대로 쓰는게 아니므로 당연한 노릇이다. 다만 저 세 줄을 주구장창 반복하는 식으로 음악을 만드는 것이다. 물론 가사만 반복되고 멜로디까지 반복되진 않는다. 그렇게 해서 Kyrie eleison 하나만 가지고도 9~10분에 이르는 대규모의 합창곡을 뽑아내는 식. 모든 미사곡이 거의 이런 식인데, 대부분 이 곡보다는 좀 덜 길고 한 곡 안에서 저 세 줄을 다 부른다는 차이가 있을 뿐이다.
[9]
당시 성행하던 이탈리아의 갈란트 양식이다. 3도와 6도가 매우 적극적으로 활용되었다.
[10]
Kyrie II는 I와 다르게 구 양식이 적극적으로 활용되었음을 쉽게 알아챌 수 있다. B단조 미사에는 전체적으로 신양식과 구양식이 혼합되어 있다.
[11]
아타카로 이어지는 Et in terra pax까지, 나중에 칸타타 BWV 191 «Gloria in excelsis Deo»에 그대로 사용되었다.
[12]
대부분의 연주에서 앞의 Gloria in excelsis Deo와 이어지듯이 연주된다.
[13]
소프라노 II(사실상 메조소프라노)와 바이올린 독주가 비르투오소적으로 쓰였다.
[14]
칸타타 BWV 29 «Wir danken dir, Gott»의 합창을 거의 그대로 가져왔다.
[15]
세속 칸타타 BWV 193a «Ihre Häuser des Himmels»의 제5곡을 원곡으로 한다.
[16]
후에 칸타타 BWV 191 «Gloria in excelsis Deo» 중 'Gloria Patri'에 쓰였다.
[17]
칸타타 BWV 46 «Schauet doch und sehet»의 제1곡을 원곡으로 한다.
[18]
아타카로 이어지나, 코러스와 코러스를 이은 다른 곡들과 달리 아리아와 코러스를 이었으므로 별개의 곡으로 간주한다.
[19]
후에 칸타타 BWV 191 «Gloria in excelsis Deo» 중 'Sicut erat in principio'에 쓰이게 된다.
[20]
정선율을 활용했다. 상당히 고풍.
[21]
칸타타 BWV 171 «Gott, wie dein Name, so ist auch dein Ruhm»를 가져왔다.
[22]
이 미사에서 가장 마지막으로 쓰인 곡이자 바흐의 마지막 성악 작품으로 추측된다.
[23]
칸타타 BWV 12 «Weinen, Klagen, Sorgen, Zagen»의 합창을 더 반음계적으로 편곡하고 거기에 현과 플루트를 더했다.
[24]
BWV Anhang 9 «Entfernet euch, ihr heitern Sterne»
[25]
정선율을 활용한다. Et expecto로 접어들면서는 아다지오로 느려지는데, 이때 전조 과정이 해괴하기 그지없다.
[26]
칸타타 BWV 120 «Gott man lobet dich» 중 합창 'Jauchzet ihr erfreuten Stimmen'에서 온 것이다.
[27]
아타카
[28]
BWV 215 «Preise dein Gluecke, gesegnetes Sachsen»의 제1곡이 원곡이다.
[29]
바로 전전 곡을 되풀이하면 된다(Osanna da Capo.). 사실 거의 대부분의 미사곡들은 두 Osanna in excelsis을 똑같은 곡으로 처리한다.
몇몇 잘 알려진
예외가 있긴 하지만 그나마도 대관식 미사는 살짝 비튼 정도에 불과하다.
[30]
BWV 11 «승천제 오라토리오»의 아리아 'Ach, bleibe doch, mein liebstes Leben'에서 유래했다.
[31]
앞의 Gratias와 같은 곡에 가사만 바꿔 달았다. 통일성을 주기 위한 효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