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3-10-12 19:54:49

미도리카와 유키

<colbgcolor=#d6e7c7><colcolor=#252525> 미도리카와 유키
緑川ゆき | Yuki Midorikawa
파일:미도리카와 유키 프로필.jpg
필명 미도리카와 유키 ([ruby(緑川, ruby=みどりかわ)]ゆき)
출생 1976년 5월 23일 ([age(1976-05-23)]세)
구마모토현
국적
[[일본|]][[틀:국기|]][[틀:국기|]]
직업 만화가
대표 작품 나츠메 우인장
SNS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1. 개요2. 상세3. 특징4. 작품

[clearfix]

1. 개요

일본 여성 만화가.

구마모토 현 출신이며, 현재도 거주하고 있다. '미도리카와 유키'는 필명이며, 구마모토 현에 있는 미도리 강에서 따왔다고 한다.

2. 상세

1998년 《꽃도둑》으로 제 74회 LMS 최고의 루키상을, 같은 해 《커피 알레르기》로 제 18회 LMS 프레쉬 데뷔상을 받았다. 이후 LaLa DX 11월호에 실린 《커피 알레르기》를 통해 만화가로 정식 데뷔한다. 현재 LaLa에서 《 나츠메 우인장》을 연재 중이다.

한동안 짧은 중단편 만화를 연재하다가 LaLa DX에서 연재하던 《나츠메 우인장》이 애니메이션으로 만들어져 방영된 이후, 엄청난 인기를 얻으면서 단번에 인지도가 올라갔다. 계간 잡지에서 연재하던 것이 월간 잡지로 연재하게 되어 출간 텀도 짧아졌고 인기가 올라가 미도리카와의 작품 중에서는 최초로 장편만화가 되었다. 그와 더불어 한동안 많은 주목을 받지 못한 전 작품들도 애장판으로 리메이크되어 인기를 얻었다.

3. 특징

거친 펜선과 가냘프고 연약해 보이는 캐릭터들이 특징이다. 남캐들은 여리여리하게, 여캐들은 씩씩하게 그린다. 그림체의 발전이 가장 두드러지는 《나츠메 우인장》의 경우 애니메이션판은 동글동글하고 귀여운 편이라면 만화책판은 묘한 색기가 느껴진다는 평. 같은 권 내에서도 작화가 불안정해 인물들의 모습이 달라보인다는 평가를 종종 받기도 하고 인체비율도 약간 애매하지만, 많이 발전해서 지금은 서툴다기보다는 하나의 개성 있는 그림체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특히 색감이 그야말로 예술이다.

이 작가의 진면모는 그림체 자체보다는 스토리의 힘에 있다. 잔잔하면서 아련하고 아름다운 스토리에 연출이 매우 뛰어나다. 설명이 어려운데 아무튼 읽어보면 안다. 특히 사람의 감정선 묘사에 뛰어나서 읽다 보면 묘한 감동 또는 씁쓸함을 느낄 수 있다. 주로 특별하거나 특이한 인물(또는 요괴), 정신력이 높거나 강단있는 인물 사이의 감정을 다룬 이야기가 일품이다.[1][2] 다만 초기에는 이러한 연출과 결말이 너무 추상적이라는 평을 들었다고.

스토리를 짜는 과정은 대체로 어떤 장면을 그리고 싶다[3]고 생각한 뒤 그 장면에 앞뒤 스토리를 붙이는 식.

파일:attachment/natsume_yuujinchou08.jpg
기모노와 같은 전통의상, 그 중에서도 꽃무늬를 넣는 걸 좋아하는 모양이다.[4] 색다른 복장을 입혀보고 싶다는 이유로 에피소드를 짜기도 한다. 그 예시가 나츠메 우인장의 풍월신 편. 풍월신 코스프레한 나츠메는 여신이었습니다.[5]

작품은 대개 학생을 주인공으로 삼으며, 주인공들은 어떤 비범한 능력을 가진 경우가 많은 편이다. 현대물임에도 TV 핸드폰같은 전자기기가 나오는 경우가 거의 없다는 것도 특징이라면 특징.[6] 여름에 봐야 제맛일 것 같은 기분이 들 정도로 여름을 주 배경으로 삼는 일이 많다.

4. 작품

※ 제목이 단행본으로 출간된 것은 진하게 표시한다.


[1] 평범한 학생들 간의 이야기에서도 잘 담아낸다. 잔잔하고 아련한 연애담을 좋아한다면 취향에 맞을 듯. [2] 또한 장편 연재작인 《 나츠메 우인장》의 경우, 잔잔하면서도 감동적이고 여운을 주는 이야기 외에도 나토리 마토바처럼 뭐라 설명하기 힘든 복잡하고 꿀꿀한 관계도 잘 담아낸다. [3] 예를 들어 《 반딧불이의 숲으로》는 나무에서 떨어져 받으려는 걸 피하는 장면을 넣고 싶어서 스토리를 짜기 시작했다. [4] 사실 《나츠메 우인장》 이전에는 기모노 같은 전통의상이 등장한 적이 거의 없다. 이전 작품들이 일상물이거나 판타지(?)물인 탓도 있겠지만 일러스트에서도 기모노를 그린 적이 드물다. 기모노는 나츠메를 그리면서 꽂힌 듯. 다만 꽃과 꽃무늬는 데뷔초부터 정말 자주 그려 넣었다. 일러스트에만 꽃이 나오는 정도가 아니라 아예 꽃이 소재인 작품이 여럿일 정도. [5] 팬들은 우스갯소리로 실은 여장한 나츠메가 그리고 싶어서가 아니냐고 할 정도 여신이었다. [6] 《나츠메 우인장》에서도 나토리가 CF를 찍는 것이나 타누마 애니메이션에서 "나도 TV 정도는 본다고."라고 말한 장면으로 봐선 TV는 있지만, 정작 등장인물들이 TV를 보는 장면은 한 번도 나온 적이 없다. [7] 위와 함께 그 두개는 붉게 피는 소리에 단편으로 실렸다. [8] 한국에서는 초판이 2001년에 나왔으나 발매 1년여만에 절판. 2009년에 재판되었다. [9] 한국 정식 발간본에선 '그해 여름'으로 번역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