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0 11:05:18

만공

파일:조선 어기 문장.svg 조선의 승려
{{{#!wiki style="margin: -5px -11px; padding: 5px 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각성 경순공주 경허 경헌
광언 기화 김연일 만공
명안 명연 무학대사 보우
불노 선수 설제 신미
영규 유일 유정(사명대사) 윤우
의엄 이동인 이회광 일옥(진묵대사)
지안 지탁 진희 청학
체정 초의선사 쾌선 태능
학열 학조 한용운 해안
혜희 휴정(서산대사)
}}}}}}}}} ||

<colcolor=#fff><colbgcolor=#0047a0>
파일:20160201_105015.png
출생 1871년
전라도 태인군
사망 1946년 10월 20일
전월사
묘소 덕숭산

1. 개요2. 기행3. 기타4. 대중매체에서

1. 개요

한국의 불교 승려이자 독립운동가.

속명은 송도암(宋道巖)이다. 만공(滿空)은 법호이며 실제 법명은 월면(月面)이다. 그래서 두 사형 수월(水月), 혜월(慧月)과 함께 "경허의 세 달"이라고 불린다.

전라도 태인군(현 전라북도 정읍시 태인면)에서 태어났으며 서산의 천장사에서 출가하였다. 선종(불교)의 큰스님인 경허(鏡虛)스님의 수제자로서 법맥을 이어받았고, 이후 전강으로 법맥이 이어진다.

2. 기행

생전에는 상당히 파격적인 기행과 발언으로 유명하였다. 스승인 경허 스님도 이 기행으로 유명했는데 청출어람(?)이라고 만공 스님도 더하면 더했지 덜하지 않았다. 아래 내용 중에는 이런 일화의 특성상 사실을 각색한 내용도 있을 수 있으므로 참고하자.
"바로 이 노래 속에 인간을 가르치는 만고불력의 직설 핵심 법문이 있소. 마음이 깨끗하고 밝은 사람은 딱따구리 법문에서 많은 것을 얻을 것이나, 마음이 더러운 사람은 이 노래에서 한낱 추악한 잡념을 일으킬 것이오. 원래 참법문은 맑고 아름답고 더럽고 추한 경지를 넘어선 것이오. 범부중생은 부처와 똑같은 불성을 갖추어 가지고 이 땅에 태어난, 누구나 뚫린 부처씨앗이라는 것을 모르는 멍텅구리요. 뚫린 이치을 찾는 것이 바로 불법(佛法)이오. 삼독과 환상의 노예가 된 어리석은 중생들이라 참으로 불쌍한 멍텅구리인 것이오. 진리는 지극히 가까운데 있소. 큰길은 막힘과 걸림이 없어 원래 훤히 뚫린 것이기 때문에 지극히 가깝고, 결국 이 노래는 뚫린 이치도 제대로 못찾는, 딱따구리만도 못한 세상 사람들을 풍자한 훌륭한 법문이 것이오."
이에 궁녀들은 크게 감탄하며 만공에게 감사를 표했고, 이후 궁녀들에게 이 이야기를 들은 순정효황후 윤씨도 감동해서 진성 사미를 왕궁으로 불러다가 노래를 듣기도 했단다.

3. 기타

말년에는 예산군에 있는 덕숭산의 전월사에서 기거하였다. 마지막 공양 이후 거울을 보며 "이 사람, 만공! 70년 동안 나와 동고동락하느라 고생했지. 그동안 수고 많았네"라는 유언을 남긴 뒤 입적하였다. 덕숭산에서 다비하여서 유골을 봉안한 부도탑(만공탑)을 덕숭산 금선대 인근에 세웠다. 다만 "부처님 사리로 모든 것은 넉넉하고 거기에 다 뜻이 포함 되어 있으니, 사리를 수습하지 말라"는 유언에 따라 사리를 수습하지 않았으며, 이후 덕숭산의 다비식에서는 어떤 스님이든지 사리를 수습하지 않는 것이 문도들이 지켜야 할 전통이자 불문율로 자리집았다.

제자로는 춘성, 일엽(여류시인인 김일엽의 법명), 고봉, 혜암, 혜천, 원담 등이 있다.

만해 한용운과 절친한 사이였다고 한다. "만해는 내 애인이야."라고 말했는가 하면, "지금 온 조선 땅에 사람이 하나 하고도 반 있는데 그 하나가 바로 만해"라고 말하기도 했다.

독립운동가임에도 서훈은 받지 못했는데 보훈처에서 체포, 복역 기록이 없다고 보류 처분했다.

4. 대중매체에서

드라마 야인시대에서는 연극배우 정대용이 만공을 분하였다. 한용운과 함께 곡주를 마시며 어울리는 모습과, 미나미 지로 총독에게 독설을 퍼붓는 모습이 나온다.


[1] 데라우치는 조선총독 퇴임 후 내지의 총리대신으로 승진했었다. 다만 생존 중이었던 건 아니고 죽은 지 18년이 지난 후였다. [2] 청정본연 운하홀생 산하대지 (淸淨本然 云何忽生 山河大地) - 불경 '능엄경'의 인용이다. [3] 비구니 김일엽이라는 얘기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