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25 22:25:52

빌 매저로스키

마제로스키에서 넘어옴
빌 매저로스키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bordercolor=#000> 파일:피츠버그 파이리츠 엠블럼.svg 피츠버그 파이리츠
영구결번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ccac00> No.1 No.4 No.8 No.9 No.11
<rowcolor=#000000> 빌리 마이어 랄프 카이너 윌리 스타젤 빌 매저로스키 폴 워너
<rowcolor=#ccac00> No.20 No.21 No.33 No.40 No.42
<rowcolor=#000000> 파이 트레이너 로베르토 클레멘테 호너스 와그너 대니 머토 재키 로빈슨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bordercolor=#000000> 파일:피츠버그 파이리츠 엠블럼.svg 파이리츠
명예의 전당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빌 매저로스키 로베르토 클레멘테 호너스 와그너 윌리 스타젤 아키 본
랄프 카이너 파이 트레이너 맥스 캐리 잭 베클리 프레드 클라크
폴 워너 로이드 워너 스티브 블래스 데이브 파커 대니 머토
조시 깁슨 오스카 찰스턴 레이 브라운 벅 레너드 로이 페이스
밥 프렌드 딕 그로트 켄트 테컬비 배리 본즈 짐 릴랜드
매니 산기옌
}}}}}}}}} ||

파일:MLB 로고.svg 명예의 전당 헌액자
파일:매저로스키.png
빌 매저로스키
헌액 연도 2001년
헌액 방식 베테랑 위원회 추천

빌 매저로스키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피츠버그 파이리츠 엠블럼(1958~1966).png 파일:피츠버그 파이리츠 엠블럼(1967~1986).png
MLB 월드 시리즈
우승반지
1960 1971

파일:1958 MLB 올스타전 로고.gif 파일:1959 MLB 올스타전 1차전 로고.png 파일:1959 MLB 올스타전 2차전 로고.png 파일:1960 MLB 올스타전 1차전 로고.gif 파일:1960 MLB 올스타전 2차전 로고.gif 파일:1962 MLB 올스타전 1차전 로고.gif 파일:1963 MLB 올스타전 로고.gif 파일:1964 MLB 올스타전 로고.gif 파일:1967 MLB 올스타전 로고.gif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
1958 1959 1959² 1960 1960²
1962 1962² 1963 1964 1967

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 1958년 메이저 리그 내셔널 리그 2루수 부문 골드 글러브
넬리 폭스
( 시카고 화이트삭스)
빌 매저로스키
( 피츠버그 파이리츠)
찰리 닐
(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 1960년 ~ 1961년 메이저 리그 내셔널 리그 2루수 부문 골드 글러브
찰리 닐
(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빌 매저로스키
( 피츠버그 파이리츠)
켄 헙스
( 시카고 컵스)
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 1963년 ~ 1967년 메이저 리그 내셔널 리그 2루수 부문 골드 글러브
켄 헙스
( 시카고 컵스)
빌 매저로스키
( 피츠버그 파이리츠)
글렌 베커트
( 시카고 컵스)

피츠버그 파이리츠 등번호 9번
커트 로버츠
(1956)
빌 매저로스키
(1956~1972)
영구결번
}}} ||
}}} ||
파일:매저로스키.jpg
<colbgcolor=#000000><colcolor=#fdb827> 피츠버그 파이리츠 No. 9
빌 매저로스키
Bill Mazeroski
본명 윌리엄 스탠리 매저로스키
William Stanley Mazeroski
출생 1936년 9월 5일 ([age(1936-09-05)]세)
웨스트버지니아 주 휠링
국적
[[미국|]][[틀:국기|]][[틀:국기|]]
학력 워렌 콘솔리데이티드 고등학교
신체 180cm / 83kg
포지션 2루수
투타 우투우타
프로 입단 1954년 아마추어 자유계약 ( PIT)
소속팀 피츠버그 파이리츠 (1956~1972)
1. 개요2. 선수 경력3. 은퇴 이후4. 시즌별 성적

[clearfix]

1. 개요

피츠버그 파이리츠의 2루수.

2. 선수 경력



뉴욕 양키스와 맞붙은 1960년 월드 시리즈에서 최종 7차전의 9회말 끝내기 홈런으로 팀의 우승을 확정지은 주인공으로 메이저리그 역사에 남았다. 이는 33년 후 토론토 블루제이스 조 카터의 6차전 끝내기 홈런으로 우승한 것과 함께 메이저리그에서 둘뿐인 사례이며, 7차전 기준으로는 유일하다.[1] 이 활약으로 1960년 내셔널 리그 베이브 루스 상 및 스포팅 뉴스 선정 MLB 올해의 선수에 선정되었다.

하지만 선수 시절에는 타격보다 수비 능력이 더 주목받은 인물이었다. 2루수 부문에서 골드 글러브를 8번 수상한 것이 대표적인 사례. 단순히 수상 실적뿐만 아니라 수비 관련 기록도 매우 뛰어났고, 후일 계산한 결과 선수생활 동안 수비에서 얻은 WAR가 타격으로 얻은 WAR를 대부분 기간 앞설 정도였다.

그렇다고 타격이 아예 없는 수준은 아니고 누적으로 통산 2,000안타를 치고 138홈런을 기록하는 등 당시 투고타저가 극심했던 환경을 고려할 때 꽤 장타력도 가지고 있는 선수로 인정받았고, 덕분에 올스타에도 10번이나 출장할만큼 팬들의 사랑을 받던 선수였다.

메이저리그의 내로라할만한 대선수들만큼은 아니지만, 결코 홈런 하나만으로 역사에 남은 선수는 아닌 셈.

1971년에 다시 한번 월드 시리즈 우승을 경험하였다.

1956년부터 1972년까지 피츠버그 파이리츠 한 팀에서만 메이저리그 선수 생활을 했던 프랜차이즈 스타였다. 덕분에 명예의 전당에 입성한 이후 자신의 등번호였던 9번이 팀의 영구 결번이 되었다.

3. 은퇴 이후

은퇴 후에는 미국 야구 명예의 전당 기자단 투표에서 15차례 모두 고배를 마셨지만[2], 마지막 기회가 된 베테랑 위원회 추천으로 2001년 헌액되었다. 현재 그는 베테랑 위원회를 통해 명예의 전당에 들어간 현존 최고령 선수이다.

한편 2010년에는 피츠버그 파이리츠에서는 1960년 월드 시리즈 우승 50주년 기념 행사를 열면서 오랜만에 야구장에 모습을 드러냈다.

2025학년도 수능완성 영어에 실린 지문에 등장하였다. 이 지문에서도 뛰어난 수비보다 1960년 월드 시리즈 최종전에서 친 홈런으로 더 유명하다고 언급되었다.

4. 시즌별 성적

파일:MLB 로고.svg 빌 매저로스키의 역대 MLB 기록
<rowcolor=#fdb827> 연도 G PA H 2B 3B HR R RBI SB BB SO AVG OBP SLG OPS fWAR bWAR
1956 PIT 81 277 62 8 1 3 30 14 0 18 24 .243 .293 .318 .611 0.1 0.2
1957 148 568 149 27 7 8 59 54 3 27 49 .283 .318 .407 .725 2.6 3.5
1958 152 607 156 24 6 19 69 68 1 25 71 .275 .308 .439 .747 4.5 4.9
1959 135 537 119 15 6 7 50 59 1 29 54 .241 .283 .339 .621 -0.2 0.2
1960 151 591 147 21 5 11 58 64 4 40 50 .273 .320 .392 .712 2.3 2.5
1961 152 595 148 21 2 13 71 59 2 26 55 .265 .298 .380 .678 1.3 1.8
1962 159 617 155 24 9 14 55 81 0 37 47 .271 .315 .418 .733 2.3 2.3
1963 142 576 131 22 3 8 43 52 2 32 46 .245 .286 .343 .629 3.4 4.7
1964 162 644 161 22 8 10 66 64 1 29 52 .268 .300 .381 .681 3.1 3.7
1965 130 527 134 17 1 6 52 54 2 18 34 .271 .294 .346 .641 2.5 3.4
1966 162 660 163 22 7 16 56 82 4 31 62 .262 .296 .398 .694 2.8 3.0
1967 163 679 167 25 3 9 62 77 1 30 55 .261 .292 .352 .644 2.4 2.9
1968 143 556 127 18 2 3 36 42 3 38 38 .251 .304 .312 .616 2.9 3.0
1969 67 256 52 7 1 3 13 25 1 22 16 .229 .298 .308 .606 0.5 0.5
1970 112 404 84 14 0 7 29 39 2 27 40 .229 .283 .324 .607 0.7 1.1
1971 70 213 49 3 1 1 17 16 0 15 8 .254 .303 .295 .599 -0.1 -0.4
1972 34 72 12 4 0 0 3 3 0 3 5 .188 .217 .250 .467 -0.3 -0.6
MLB 통산
(17시즌)
2163 8379 2016 294 62 138 769 853 27 447 706 .260 .299 .367 .667 30.9 36.5


[1] 물론 메이저리그 한정이며, 마이너리그 포스트시즌에서도 한 번도 나오지 않았다. 아시아 야구 리그로 눈을 돌리면 2009년 한국시리즈 7차전 끝내기 홈런의 나지완이 KBO 역사상 최초이자 유일하다. [2] 마지막 15차 투표에서도 42.3% 득표에 그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