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27 18:36:39

리보니아어

리브어에서 넘어옴
우랄어족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2px"
사모예드어파 네네츠어 · 셀쿠프어 · 에네츠어 · 응가나산어
핀우그르어파 핀페름어파 페름어군 코미어 · 우드무르트어
발트핀어군 핀란드어 · 카렐어 · 에스토니아어 · 리보니아어
기타 사미어 · 마리어 · 모르드바어
우그르어파 헝가리어 · 한티어 · 만시어
}}}}}}}}}

리보니아어
līvõ kēļ
Livonian language
<colcolor=#fff,#000><colbgcolor=#83dfbd> 유형 교착어
서자방향 좌횡서
문자 라틴 문자
주요 사용 지역
(또는 공용어 지정 국가)

[[라트비아|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라트비아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원어민 40명
계통 우랄어족
핀우그르어파
발트핀어군
남부 발트핀어
리보니아어

1. 개요2. 문자3. 들어보기4. 기타

1. 개요

리보니아어 리보니아인들의 언어이다. 리브어라고 불리기도 한다.

리보니아어는 우랄어족 발트핀어군에 속한 언어로 에스토니아어, 핀란드어와 밀접한 관계에 속해 있다. 문법, 어휘적으로는 에스토니아어와 꽤 유사하지만 음운적인 면에서 차이점이 두드러지는 편이다.

에스토니아 라트비아에 거주하는 리보니아인들이 사용했으며,[1] 2013년 6월 2일 마지막 원어민이 사망하였다. 2023년 기준으로는 리보니아어 부활 운동가의 자녀인 쿨디 메드네(Kuldi Medne, 2020년생)라는 어린이가 세계 유일 리보니아어 원어민으로 알려져 있다. 그 외에 약 40여 명의 리보니아인들이 제2언어로 사용하고 있다.

거의 사어에 가까운 언어이나 리보니아어로 된 지명은 라트비아에 남아 있다. 리에파야(Liepāja), 옐가바(Jelgava) 등이 그 예이다.

2. 문자

라틴 문자를 사용한다. 리보니아어에서 쓰이는 문자는 에스토니아어와 비슷하면서도 라트비아어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3. 들어보기


리보니아인 민족가
핀란드, 에스토니아 국가와 동일한 선율을 사용한다.

4. 기타

리보니아어 테스트 위키백과가 존재한다.


[1] 근대 이후로 리보니아어 화자들은 라트비아에만 거주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