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23 01:58:47

레모니 스니켓의 위험한 대결(영화)

레모니 스니켓의 위험한 대결 (2004)
Lemony Snicket's A Series Of Unfortunate Events
파일:external/img.moviepostershop.com/lemony-snickets-a-series-of-unfortunate-events-movie-poster-2004-1020240001.jpg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000000,#dddddd> 장르 모험, 미스터리, 블랙 코미디
감독 브래드 실버링
각본 로버트 고든
원작 레모니 스니켓의 《 위험한 대결
제작 월터 F. 파크스, 로리 맥도날드, 짐 반 윅
출연 짐 캐리, 주드 로, 에밀리 브라우닝, 리암 아이켄
촬영 엠마누엘 루베즈키
편집 마이클 칸
음악 토머스 뉴먼
촬영 기간 2003년 11월 10일 ~ 2004년 5월 29일
제작사 파일:미국 국기.svg 니켈로디언
수입사 파일:국기.svg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배급사 파일:미국 국기.svg 파라마운트 픽쳐스
파일:국기.svg 드림웍스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개봉일 파일:미국 국기.svg 2004년 12월 17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5년 1월 28일
상영 시간 103분
제작비 $140,000,000
월드 박스오피스 $211,468,235
북미 박스오피스 $118,634,549
대한민국 총 관객 수 763,829명
국내 스트리밍 (스트리밍 서비스사 이름)
상영 등급 파일:영등위_전체관람가_2021.svg 전체 관람가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PG 로고.svg

1. 개요2. 예고편3. 시놉시스4. 등장인물5. 평가6. 흥행7. 기타

[clearfix]

1. 개요

레모니 스니켓의 소설 《 위험한 대결》을 원작으로 한 2004년 영화로, 1~3권까지의 내용을 압축해 각색했다. 1권의 흐름에 나머지 권수들의 사건이 끼워진 형태. 짐 캐리의 올라프 연기와 엔딩 크레딧의 애니메이션은 훌륭하지만 장단점이 뚜렷해 역작이라고 보긴 힘들다. 사실 영화의 서사가 그렇게 주도력이 있는 편이 아니다.

2. 예고편


3. 시놉시스

먼 친척 올라프 백작 VS. 고아가 된 보들레어가의 세 남매 막대한 유산을 둘러싼 그들의 끝장내기 대결이 펼쳐진다! 화재로 부모님과 집을 한꺼번에 잃는 보들레어가의 세 남매인 바이올렛, 클라우스, 써니! 부모로부터 엄청난 유산을 상속받지만 그들이 성인이 되기 전에는 한 푼의 유산도 사용할 수 없다. 집을 잃은 아이들은 후견인이 되어줄 겁나 먼 친척인 올라프 백작을 만나게 되지만 실제로 그는 아이들의 유산을 노리는 비열하고 사악한 인물! 올라프 백작은 유산을 포기하지 않고 다른 사람으로 계속해서 변장해가며 세 남매를 위협한다. 하지만 특별한 재능을 가진 세 남매는 남다른 지혜로 올라프의 마수로부터 빠져나가는데! 과연 그들의 앞날에는 어떤 운명이 기다리고 있을 것인가!!

4. 등장인물

5. 평가

[include(틀:평가/영화 평점,
메타크리틱=lemony-snickets-a-series-of-unfortunate-events, 메타크리틱_critic=62, 메타크리틱_user=6.9,
로튼토마토=lemony_snicket, 로튼토마토_tomato=72, 로튼토마토_popcorn=63,
IMDb=tt0339291, IMDb_user=6.8, IMDb_list=, IMDb_rank=, IMDb_date=,
레터박스=lemony-snickets-a-series-of-unfortunate-events, 레터박스_user=3.2, 레터박스_list=, 레터박스_rank=, 레터박스_date=,
키노라이츠=46485, 키노라이츠_light=71.58, 키노라이츠_star=2.9,
RogerEbertcom=lemony-snickets-a-series-of-unfortunate-events-2004, RogerEbertcom_user=2.5,
)]
미국에서의 평가는 괜찮은 편에 속하지만, 한국에서는 거의 혹평만이 주를 이룬다. 사실 이건 그럴 만도 한 게 영화 대부분이 영어를 기반으로 한 은유, 트릭, 주요 플롯 장치로 이루어져, 블랙 유머를 내세운 원작을 잘 모르는 한국 관객들은 영화의 분위기 중 어느 장단에 맞춰야 할지 어려움을 느꼈을 수 있다. 영화의 전개가 좀 급박하게 치닫는 것도 한몫해서일 수도. 별개로 엔딩에 나오는 애니메이션 연출은 굉장히 호평받았다.

특색있는 분장과 연출은 매우 호평을 받아 제77회 아카데미 시상식 분장상을 수상하고 미술상, 음악상, 의상상 후보에 올랐다.

6. 흥행

평가가 갈리는 축이지만 그래도 기본 이상은 하는 영화라 북미에서만 1억 2000만 달러를 벌었고 해외에서 추가로 약 9000만 달러를 벌어들여 총 약 2억 1000만 달러를 버는데 성공했다. 다만 제작사와 영화관이 50:50으로 수익금을 가르는 구조에서 제작비 1억 4000만 달러를 회수하긴 힘들었을 것으로 보인다. 감독 브래드 실버링과 짐 캐리 모두 후속편 제작에 관심을 보였지만, 흥행 부진으로 인해 후속편은 결국 제작되지 못한채 넷플릭스 시리즈로 리부트하게 된다.[6]

7. 기타



[1] 드래곤 길들이기에서 고버의 목소리를 맡은 사람이다. [카메오] [카메오] [카메오] [5] 원작자이다. [6] 개봉 이후 시간이 유야무야 흘러가면서 아역 배우들이 성장한 것도 후속편 제작을 어렵게 했고, 어느 시점에선 브래드 실버링이 후속편을 스톱모션 애니메이션으로 만들자는 제안까지 했다. [7] 2020년 기준 무려 15번 후보에 올랐으나 한 번도 수상하지 못한 진기록을 보유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