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MLB 디셉션계의 끝판왕 클레이튼 커쇼의 투구 모션. |
야구에서는 deception이라는 단어의 원뜻(속임수)답게 투수가 투구 동작중 공을 잘 숨기거나 릴리스 포인트의 타이밍 혼동을 줘서 타자가 타이밍을 잡기 어렵도록 의도하는 테크닉을 말한다. 노모 히데오같은 트위스티드 딜리버리를 사용하는 투수들에게서 많이 거론되지만 꼭 그 방법을 써야만 하는 것은 아니고, 딜리버리시 공을 숨기는 부분뿐만 아니라 몸으로 가리거나 폼을 조금씩 바꾸거나 릴리즈 포인트를 변화시키는 방식, 심지어 그립을 살짝 바꾸는[1] 등으로 타이밍을 교란시키는 부분도 디셉션에 포함되므로 여러 가지 방법이 있다.
하여튼 워렌 스판 말마따나 타격은 타이밍, 투구는 그 타이밍을 흐트러뜨리는 것이므로 보크를 범하지 않는 범위내에서[2] 타자 입장에서 타이밍 잡기 짜증나게 해주기만 하면 훌륭한 디셉션이 되지만, 투구폼은 구위나 제구, 부상 위험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고 특이한 투구폼이라고 반드시 디셉션 효과가 생기는 것도 아니기 때문에 투수 본인의 원래 장점을 유지하며 디셉션을 추가로 연마하는 것은 매우 힘든 일이다. 구위와 제구의 유지가 어렵다며 디셉션은커녕 오히려 와인드업까지 포기하는 투수들이 나오고 있는 것이 현실.
더러운 공과 혼동되는 경우도 있지만 이쪽은 다른 의미이다. 항목 참고.
2. 디셉션으로 유명한 투수들
- 데이비드 웰스, CC 사바시아, 류현진, 마이클 피네다 - 자연스러운 디셉션을 활용할 줄 아는 투수들로 이 투수들은 자신의 두툼한 덩치에 팔 각도를 잘 조절해서 타자에게 공 놓는 포인트를 거의 보여주지 않는 식의 디셉션이 뛰어나다. 투수 포지션이 상체가 두껍고 뱃살이 나온 몸매여도 투구하는 데 불리하지 않은 이유 중 하나가 이렇게 자연스럽게 릴리스 포인트를 숨기는 디셉션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 미우라 다이스케, 이와쿠마 히사시, 오츠카 아키노리, 기쿠치 유세이, 오세라 다이치, 야나기 유야, 켄리 잰슨, 에릭 해커, 이승현(1991) 등 - 이 투수들의 디셉션은 이중키킹 하나로 정리된다. 2000년대 중반에는 국제대회 대비 등의 이유로 이중키킹이 금지가 됐지만 2017년 이후 금지가 풀리면서 일본 투수들의 이중키킹 빈도가 늘어나고 있다.
- 매디슨 범가너, 크리스 세일, 알렉스 우드, 제임스 팩스턴, 파코 로드리게스, 함덕주 - 투구동작에서 디딤발인 오른발을 홈플레이트 정면이 아닌 1루쪽으로 치우치게 딛어서 투구 궤적을 사선으로 만드는 좌완 크로스파이어 딜리버리를 사용한다.
- 제이크 아리에타 - 왼발을 3루쪽으로 딛어 투구 궤적을 사선으로 만드는 우완 크로스파이어 투구폼으로 디셉션을 일으킨다.[3]
- 심수창, 에버렛 티포드, 브론슨 아로요 - 변칙 사이드암 투구까지 구사하는 등, 한 경기·한 이닝 안에서도 릴리스 포인트를 다양하게 변화시키는 능력이 우수했다.
- 김광현, 윤길현, 고효준 : 높은 팔 각도의 오버핸드 딜리버리로 구속 이상의 체감구위를 보여준 SK 왕조 시절의 투수들이었다.
- 김택형 - 2021시즌부터 1⅔루 정도를 바라보고 서는 스탠스에서부터 투구동작이 시작되며, 한 구 한 구 투구 사이의 인터벌에도 불규칙한 변화를 주려 노력하면서 이전보다 확실히 나은 성적을 보이고 있다.
- 나루세 요시히사 - 마네키네코 투구폼이라 할 정도로 극단적으로 왼팔을 최대한 늦게까지 숨기는 딜리버리를 구사했다.
- 노모 히데오 - 일명 토네이도 투구폼으로 유명하며, 1990년대 현역시절 디셉션이나 트위스티드 딜리버리를 논할 때 반드시 거론되던 투수이다.
- 구대성 - 잘 알려진대로 노모의 투구폼을 따라하며 몸을 돌리기 시작했다가, 말년에는 아예 2루쪽으로 뒤돌아 서서 투구를 시작하는 경지에 이르렀다. 좌투수이기 때문에 도루를 여유있게 견제할 수 있는 장점은 덤이다. 김홍집 투수 역시 구대성만큼은 아니지만 비슷하게 키킹 동작에서 상체가 트위스팅되어 타자에게 등이 보여지는 터닝 메커니즘을 가지고 있었다. 이쪽은 두껍고 우람한 상체 덕에 효과가 배가될 수 있었다.
- 돈트렐 윌리스 - 와일드한 하이키킹과 꼬인 투구폼, 빠른 팔스윙으로 릴리스타이밍을 숨긴 파워피처. 대신 제구력이 막장이라 투구폼을 견디지 못하게 되자 제구가 완전 나락으로 가서 커리어 말기 심하게 폭망했다.
- 무라타 쵸지 - '도끼 투구법'이라 불린, 전신을 크게 사용한 투구폼으로 투구 전 오른손이 거의 종아리까지 내려올 정도였다. 이 폼을 통해 구위 향상과 디셉션 효과를 크게 보았고 탁월한 자기관리가 합쳐져 늦은 나이에도 정통파 강속구 투수로 활약할 수 있었다.
- 박정진 - 극단적인 오버핸드형 투수로 머리 뒤쪽에서 나오는 팔 스윙이 타자의 눈에 보이기 시작하는 시점에는 이미 팔이 반쯤 넘어오고 난 뒤이기에 배트 타이밍을 맞출 기준이 되는 분절동작을 설정하기가 어렵다.
- 백정현 - 디셉션을 굉장히 잘 활용하여 던지기 직전까지 공을 숨긴다, 타자가 봤을 때 갑자기 공이 튀어나오는 듯 보여 타이밍 맞추기도 힘들고 체감구속이 높다고 하며 그와 대비되는 아주 긴 인터벌도 활용, 느린 구속에도 불구하고 2021년 수많은 타자를 요리했다.
- 봉중근 - 현역시절 투구 시작 시 몸을 뒤쪽으로 약간 뒤틀면서 웅크리는 동작이 있었고, 이때 굽힌 왼팔 위치도 살짝 아래쪽이라 공을 효과적으로 감출 수 있는 투구폼을 지니고 있었다. 마이너시절 스카우팅 노트에 sneaky fastball이라고 적혀 있었다.
- 벤자민 주키치 - 몸의 중심을 최대한 왼쪽으로 당기면서[4] 공을 던지기에 웬만한 사이드암 투수보다도 공이 옆에서 날아온다. 또한 자유발을 디딘 후에 공을 뿌리기 까지의 타이밍도 때에 따라서 다르다.
- 셰인 비버, 루카스 지올리토 - 피칭핸드인 오른손을 직각에 가깝게 몸에 딱 붙여 던지면서 디셉션이 엄청 뛰어나다.[5]
- 스기우치 토시야. 와다 츠요시 : 구속이 빠른 것은 아니지만 특유의 투구폼, 빠른 팔 스윙과 궤적을 통해 릴리스 포인트를 잡기 어려운 것으로 정평이 나 있던 2000년대 일본 대표 좌완투수 듀오.
- 야마모토 마사 - 디셉션이 뛰어난 특유의 투구폼과 최고의 자기관리로 50세까지도 선수생활을 계속한 좌완투수.
- 오노 유타카 : 상술한 무라타 쵸지와 비슷하게 전신을 크게 사용하는 투구폼으로 당대 정상급 좌완투수로 군림했다.
- 오승환 - 앞발로 바닥을 더듬는 듯한 동작이 유명하지만, 딜리버리 자체도 타자가 공과 팔을 보기 어렵게 최적화되어 있다.
- 오카지마 히데키 - 극단적인 수직 오버핸드에 빠른 스윙으로 타자 시점에서 투구가 어깨 뒤에서 갑자기 슉 날아오는 듯하게 릴리스 포인트가 형성된다. 클레이튼 커쇼, 박정진과도 유사한 디셉션.
- 와타나베 슌스케 : '세계에서 가장 낮은 릴리스'라 불릴 정도로 극단적인 언더핸드 스로 딜리버리로 유명했지만 릴리스 포인트의 높이, 투구폼의 속도 등에 미세한 변화를 주며 타자를 혼란에 빠트리는데도 능했다.
- 이강철 - 투구동작 중 웅크려 힘을 모으고 있던 몸통 앞 공간에서 팔이 갑자기 채찍처럼 튀어나오는 느낌의 투구폼으로, 타이밍을 잡기 어렵다.
- 자니 쿠에토 - 투구 중간에 뒤돌아서서 벌이는 일명 '어깨춤'으로 유명하지만, 실제로는 어깨춤 외에도 여러 패턴을 가지고 있어 아예 주무기나 다름없는 수준으로 디셉션을 적극적으로 활용한다. 2010년대에 디셉션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투수 중 하나.
- 잭 그레인키 - 잘 주목받지 않아서 그렇지, 일직선 스탠스임에도 팔각도 디셉션이 완벽에 가까운 우투수중 한명이다. 타자시점에서 거의 몸이 1자로 곧게 선채 휙 들어오는 투구폼. 거기다 왼발킥에 딜레이까지 줘가면서 타이밍을 뺏는 피칭까지 구사한다.
- 제러드 위버 - 특유의 트위스티드 딜리버리 덕에 빠르지 않은 공으로도 정상급 투수로 활약했다.
- 조계현 - 주자가 없는 상황에서 투구시 와인드업 동작 및 키킹 동작에 걸리는 시간을 자유자재로 느리게 했다 빠르게 했다 조절하는 기술을 적극적으로 구사하여 타자의 템포를 흐트렸다.
- 카터 캡스 - 릴리스 포인트를 최대한 앞으로 당기기 위해 야구 역사상 전무후무한 전방 점프 투구폼으로 유명했지만 2017년 규정이 바뀌면서 금지된 투구폼이 되었다.
- 클레이튼 커쇼 - 특유의 키킹 동작과 합쳐져 타이밍 맞추기 매우 어려운 투수 중 하나이다. 실제로 보면 왼팔이 거의 안 보이는 수준
- 팀 린스컴 - 스트라이드를 최대한 넓히면서 온몸을 이용한 역동적인 투구폼을 통해 왜소한 신체의 한계를 넘어선 뛰어난 구속과 구위를 보여주며 짧게나마 센세이션을 일으켰던 투수였다.
- 펠릭스 에르난데스 - 트위스티드 딜리버리를 추가한 후 디셉션이 좋아지면서 구속저하에도 불구하고 성적이 상승하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했다.
- 네스터 코르테스 주니어 - 자니 쿠에토와 비슷하게 투구 중 다리를 여러 번 들거나 갑작스럽게 공을 던지면서 딜리버리를 다양하게 변형하고 사이드암으로 투구하는 등 릴리스 포인트를 바꾸어 타자의 타이밍을 빼앗는다.
3. 디셉션과 관련된 일화
- 2017년 4월 27일 한화-롯데전에서는 배영수의 키킹 동작이 문제가 되어 부정투구로 인정되었다.
- 2020년 7월, 타일러 윌슨은 21일 kt전, 28일 SK전에서 연속으로 디셉션 때문에 부정투구 논란이 일었다. 특히 SK전에서는 LG 측이 먼저 상대 투수 리카르도 핀토의 이야기를 꺼냈다가 이에 질세라 SK도 윌슨의 동작을 지적하면서 좋지 않은 분위기가 되었다. 이날 LG가 대승해서 윌슨이 승리투수가 된게 위안거리다. LG 트윈스/2020년/7월/28일 경기 문서도 참고.
- 이영준은 세트 모션 후 킥을 할 때 축이 되는 발을 떠는 버릇이 있었다. 디셉션 용으로는 좋지만 보크를 유발할 수 있고, 허문회나 맷 윌리엄스가 항의를 하면서 축의 발을 떨지 않도록 하는 폼으로 교정하기에 이른다.
- 2021년 6월 17일 SSG-KIA전에서 맷 윌리엄스는 주심에게 오원석의 세트모션과 투구동작에 대해 어필했다. 선발로 등판하는건 처음일뿐 이미 몇차례 KIA전에 나온 적이 있고, 다른 경기에서는 한번도 지적을 당한 적이 없던지라 SSG 팬들은 의문에 빠졌다. 윌리엄스의 입장에서는 전력분석 측에서 봐도 오원석이 신경 쓰이는 존재였을지도 모른다. 이날 오원석은 컨디션이 좋지 않아 꾸역투를 하면서도 WHIP가 1을 넘지 않을 정도로 KIA 타선을 막았지만, 6회말 초구 헤드샷으로 퇴장당하는 수모를 겪게 된다.
[1]
예를 들어
무라타 쵸지는 특유의 투구폼으로 인해 그립이 노출되는 점을 팔 스윙 도중 자연스럽게 속구와 포크볼 그립을 오가는 기술을 익혀 극복하고자 했다.
[2]
타자 못지 않게 주자를 속이려는 이유로 폼을 바꾸다가 보크를 먹는 사례가 의외로 잦다.
[3]
볼티모어 시절 투구 메카니즘에 너무 신경을 쓰다보니 혼란을 겪었지만 시카고 컵스 이적 후 어릴적부터 몸에 익은 느낌대로 자연스럽게 던지는 쪽에 더 집중하니 구위와 크로스파이어 디셉션이 살아났고 볼티모어에서 못 터뜨렸던 포텐을 터뜨렸다.
[4]
자유발(오른발)을 디딜 때 정면에서 좀 왼쪽으로 치우쳐 디딘다. 릴리스 포인트가 완전히 크로스되며 공은 대각선 형태로 타자를 공략하는 것이다.
투구폼.
[5]
팔각도를 꺾어 공을 숨기는 디셉션은 비버 외에도
잭 플리잭이나
칼 콴트릴같은 클리블랜드 팀 내 다른 투수들도 많이 보인다. 팀에서 집중적으로 관리하는 유형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