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Dreidel, Dreidle이디시어: דרײדל
유대인들의 전통 장난감의 하나. 주로 유대교의 명절인 하누카 시기에 드레이들을 이용한 놀이를 한다. 일종의 팽이 형태의 주사위로, 중세 유럽에서 널리 쓰였던 주사위 팽이인 Teetotum이 유대 사회에 도입된 후 변형된 것이다.
2. 구조
4개의 면을 지니고 아래는 둥그스름하게 다듬어져 돌아갈 수 있게 한 도토리 같은 모양의 몸통에 드레이들을 잡고 돌릴 수 있도록 손잡이가 달려 있는 구조다. 몸통의 각 면에는 히브리 문자 'נ'(눈), 'ג'(기멜), 'ה'(헤), 'ש'(쉰)이 쓰여 있는데 이는 본디 이디시어로 '니쉬트(נישט, 없음)', '간츠(גאַנץ, 전부)', '할브(האַלב, 절반)', '쉬텔 아라인(שטעלן אַרײַן, 놓는다)'의 머릿문자다. 하지만 이것이 하누카의 유래와 관련된 탈무드 구절인 '네스 가돌 하야 샴(נֵס גָּדוֹל הָיָה שָׁם, 거기에 위대한 기적이 있었다)의 약어로 여겨지면서 유대인들 사이에서 하누카의 전통놀이로 자리잡게 되었다.재질은 목재가 많지만 찰흙으로 만들어 굳힌 것이나 간혹 금속제도 있다. 현대에 들어서는 플라스틱제도 드물지 않다.
3. 관련 문화
3.1. 드레이들 놀이
드레이들의 4면에는 '없다', '놓다', '모두', 절반' 이 적혀있다.
1.사탕,돈 따위를 준비한다.
2.사탕을 각자 하나씩 내놓고 드레이들을 돌린다.
3.드레이들을 돌려서
a.'없다'라는 문자가 나오면 아무 행동 안함.
b.'놓다'가 나오면 자신이 가진 사탕을 놓는다.
c.'모두'가 나오면 놓여있는 모든 사탕을 자신이 갖는다. 게임 참여자 모두는 자신이 가지고 있는 사탕 중 하나를 내놓아야 한다.
d.'절반'이 나오면 놓여있는 사탕 중에서 반절을 가져간다. 놓여있는 사탕의 개수가 홀수이면 반올림해서 가져간다.
4.이를 반복하여 사탕을 제일 많이 가진 사람이 승리.
1.사탕,돈 따위를 준비한다.
2.사탕을 각자 하나씩 내놓고 드레이들을 돌린다.
3.드레이들을 돌려서
a.'없다'라는 문자가 나오면 아무 행동 안함.
b.'놓다'가 나오면 자신이 가진 사탕을 놓는다.
c.'모두'가 나오면 놓여있는 모든 사탕을 자신이 갖는다. 게임 참여자 모두는 자신이 가지고 있는 사탕 중 하나를 내놓아야 한다.
d.'절반'이 나오면 놓여있는 사탕 중에서 반절을 가져간다. 놓여있는 사탕의 개수가 홀수이면 반올림해서 가져간다.
4.이를 반복하여 사탕을 제일 많이 가진 사람이 승리.
3.1.1. 수학적 분석
출처기본 룰대로면 이 놀이는 선, 즉 시작 플레이어에게 유리한 게임임이 알려져 있다. Feinerman에 따르면 N명이 참여할 때 n번째 돌리기에서 얻을 수 있는 사탕의 개수는 [math(\frac{N}{4}+\left(\frac58\right)^{n-1}\cdot\frac{N-2}{8})]로 나타나는데 이는 곧 최초 플레이어 이후 "보장된 기대값" [math(\frac{N}{2})] 외에 추가로 얻을 수 있는 사탕이 기하급수적으로 줄어든다는 말이다.
Trachtenberg에 의하면 이러한 불균형은 '놓다' 및 '모두' 눈이 나올 때 몇 개의 사탕을 놓느냐에 따라 조정이 가능하다. '놓다' 눈이 뜨면 [math(p)]개의 사탕을 놓고 '모두' 눈이 뜨면 (혹은 게임 시작 시) 사탕을 가져간 후 각자 [math(a)]개의 사탕을 놓는다고 하자. Trachtenberg에 의하면 N명이 참여할 경우 이 둘의 비율이 [math(\frac{p}{a}=\frac{N}{2})]이 되도록 정해지면 이 게임은 공평한 게임이다.[1]
- [증명 펼치기 · 접기]
- 아무 턴이건, 테이블 위의 사탕 개수가 [math(M)]이면 그 턴 눈이 '없다', '놓다', '모두', '절반'으로 나올 때
- 해당 턴 플레이어는 각각 [math(0,-p,M,M/2)] 만큼의 사탕을 가져가고
- 그 턴 플레이어가 가져갈 사탕의 기대값은 [math(\frac14(0-p+M+M/2)=\frac58M-\frac14p)]로 나타난다.
물론 각 턴의 사탕 개수 [math(M)]은 확률변수로 봐야 하지만, 첫 턴에는 확정적으로 [math(M=Na)]이다. 이 경우 첫 턴의 눈이 '없다', '놓다', '모두', '절반'일 때- 테이블에는 각각 [math(Na,Na+p,Na/2,Na)]만큼의 사탕이 남는다.
이 기대값이 [math(Na)]와 같으면 앞서 말한 바에 따라 공평한 게임이 만들어진다. 따라서 [math(Na+\frac14(p-\frac{Na}{2})=Na)] 혹은 [math(\frac{p}{a}=\frac{N}{2})]일 때 (확률적으로) 공평한 게임이 된다.
여기서 나아가면 [math(p<\frac{Na}{2})]일 경우 턴이 진행될 수록 테이블 위에 올라올 사탕의 개수가 점차 줄어들어 첫 플레이어가 더 유리한 게임이 됨을 알 수 있다. 기본 룰인 [math(p=a=1)]이 그런 상황의 하나다. 반면 [math(p>\frac{Na}{2})]이면 턴이 진행될 수록 테이블 위에 올라올 사탕의 개수가 점차 늘어나 뒷 플레이어가 유리한 게임이 된다.
3.2. 드레이들 노래
3.2.1. 영어 버전
디즈니 주니어 버전
사우스 파크 공식 유튜브
한국어 해석본(영어)
일명 I Have a Little Dreidel 혹은 Dreidel Song으로 불리는 드레이들 놀이를 할 때 부르는 동요다. 기본 곡조는 유지되면서 수많은 버전의 가사가 있으며 위의 사우스 파크 버전에서 카일이 동생 아이크와 부르는 버전은 아래의 가사다.
I have a little dreidel. I made it out of clay. And when it's dry and ready, then dreidel I shall play. Oh dreidel, dreidel, dreidel, I made it out of clay. Oh dreidel, dreidel, dreidel, then dreidel I shall play. |
3.2.2. 이디시어 버전
Ikh bin a kleyner dreydl, gemakht bin ikh fun blay. 이크 빈 어 클레이너 드레이들, 게막트 빈 익 푼 블라이 Kumt lomir ale shpiln, in dreydl – eyns, tsvey, dray. 쿰트 로미어 알레 슈필른, 인 드레이들 – 에인스, 츠베이, 드라이 oy, dreydl, dreydl, dreydl, oy, drey zikh, dreydl, drey 오이, 드레이들, 드레이들, 드레이들, 오이, 드레이 지크, 드레이들, 드레이 Kumt lomir ale shpiln, in dreydl, eyns un tsvey. 쿰트 로미어 알레 슈필른, 인 드레이들, 에인스 운 츠베이. Un ikh hob lib tsu tantsn, zikh dreyen in a rod. 운 이크 홉 립 추 탄츤, 직 드레옌 인 어 랏 Kumt lomir ale tantsn, a dreydl-karahod. 쿰트 로미어 알레 탄츤, 어 드레이들-카라핫. Oy, dreydl, dreydl, dreydl, oy, drey zikh, dreydl, drey. 오이, 드레이들, 드레이들, 드레이들, 오이, 드레이 지크, 드레이들, 드레이 Kumt lomir ale shpiln, in dreydl, eyns un tsvey. 쿰트 로미어 알레 슈필른, 인 드레이들, 에인스 운 츠베이. |
[1]
가령 4명이 플레이할 경우 처음에 1개씩 사탕을 내고, '놓다'에서 2개씩 사탕을 놓으면 (확률적으로) 공평한 게임이 된다는 식이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