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17 18:13:14

동해시/정치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동해시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동해시·태백시·삼척시·정선군
,
,
,
,
,

{{{#!wiki style="margin:-12px -0px" <tablebordercolor=#D50037>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파일:강릉시 CI.svg
강릉시
파일:동해시 CI.svg
동해시
파일:삼척시 CI.svg
삼척시
파일:속초시 CI.svg
속초시
}}}
{{{#!wiki style="margin: -33px -1px -11px"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 파일:원주시 CI.svg
원주시
파일:춘천시 CI.svg
[[강원도청|
도청
]] 춘천시
파일:태백시 CI.svg
태백시
}}}
{{{#!wiki style="margin: -33px -1px -11px"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 파일:고성군(강원도) CI.svg
고성군
파일:양구군 CI.svg
양구군
파일:양양군 CI.svg
양양군
파일:영월군 CI.svg
영월군
파일:인제군 CI.svg
인제군
파일:정선군 CI.svg
정선군
파일:철원군 CI.svg
철원군
파일:평창군 CI.svg
평창군
}}}
{{{#!wiki style="margin: -33px -1px -11px"
파일:홍천군 CI.svg
홍천군
파일:화천군 CI.svg
화천군
파일:횡성군 CI.svg
횡성군
}}}}}}}}}

1. 선거구 정보

파일:동해시 CI.svg 강원도 동해시 국회의원/도의원 선거구
<rowcolor=#ffffff> 구분 선거구명 지역
<colbgcolor=#e4002b><colcolor=#ffffff> 국회의원 동해시·태백시·삼척시·정선군 동해시 전역 + 태백시, 삼척시, 정선군 전역
도의원 동해시1 송정동, 북삼동, 북평동, 삼화동
동해시2 천곡동, 부곡동, 동호동, 발한동, 묵호동, 망상동

2. 개요

강원특별자치도의 다른 지역은 국회의원·지방·대통령 선거에서 민주당계 정당이 한두 번이라도 이긴 적이 있지만, 이 지역 만큼은 아니다. 현재 강원특별자치도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당이 깃발을 못 꽂은 곳이 바로 동해시이다. 뿐만아니라 1980년에 동해시로 승격된 이후 대통령 선거에서도 1987년 13대 대선부터 현재까지 민주당계 정당 후보가 단 한 번도 승리한 적이 없었다.[1] 아무래도 보수세가 워낙 강하다보니 민주당 입장에서는 험지를 넘어 서부경남~TK 못지않는 사지(死地)라 봐도 무방하다.

오죽하면 한나라당에서 제명된 이후 복당은 물론 18대 총선에서 무소속으로 출마했음에도 불구하고 성추행 최연희 전 의원을 4선까지 만들게 해줄 정도였다. # 그만큼 지역에서의 입지가 확고했다 하지만 여기가 얼마나 보수적인지 적나라하게 보여준 사례이다.

하지만 2012년 19대 총선에서는 낙선되어 사실상 정계은퇴로 마무리되었다.

대표적으로 문재인 정부의 인기가 폭발적이었던 2018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도 증명되어 아랫 동네마저 최초로 민주당 시장을 배출한 마당에도 불구하고 동해시는 여전히 보수세가 건재함을 과시했다. 재선에 나선 현역시장인 심규언이 공천에서 배제되어 자유한국당을 탈당한 뒤 결국 무소속으로 출마해 2위로 낙선된 더불어민주당 안승호 후보를 10.5%p 차로 꺾어 당선될 정도로 여전히 민주당계 정당의 사지였다. 더군다나 3위로 낙선한 자유한국당 정일화 후보의 25.02% 득표를 합산하면 범보수계열 무려 67.73%로 나오는 서부경남 수준급으로 나온다.

당연히 허니문 기간이었던 2022년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도 말할 필요없이 국민의힘에 복당한 3선에 나선 심규언 시장이 57.09%를 득표하여 24.98%에 그친 민주당 최석찬 후보를 꺾고 싱겁게 낙승했다. 더군다나 같은 국민의힘 계열 후보로 출마한 무소속 심상화 후보의 17.91% 득표를 합산하면 범보수계열이 무려 75%로 나오는 TK급 수준급으로 나왔다.

결국 이러한 분위기가 윤석열 정부의 심판 역풍을 제대로 맞은 국민의힘이 집권여당으로서 역사상 최악의 대참패를 당했던 2024년 22대 총선 역시 3선에 도전한 대표적인 윤핵관으로 불리는 이철규 의원이 이 지역에서 약 59% 득표율로 낙승하여 그의 당선에 일조했다.[2] 이곳은 앞으로 보수세가 강하면 강했지 결코 약해지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3. 역대 선거 결과

파일:동해시 CI.svg 역대 동해시 국회의원 선거 결과
동해시
13대

[[무소속(정치)|
무소속
]]
홍희표 재선[3]
1989

재선[4]
14대

[[통일국민당|
파일:통일국민당 글자.svg
]]
김효영 4선
15대

[[신한국당|
파일: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최연희 초선
동해시·삼척시
16대
최연희 재선
17대

3선
18대

[[무소속(정치)|
무소속
]]
4선
19대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이이재 초선
20대

[[무소속(정치)|
무소속
]]
이철규 초선
동해시·태백시·삼척시·정선군
21대

[[미래통합당|
파일:미래통합당 흰색 로고타입.svg
]]
이철규 재선
22대

3선

||<-5><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e4002b><tablebgcolor=#ffffff,#1f2023><bgcolor=#ffffff,#1f2023><color=#000000,#dddddd> 파일:동해시 CI.svg 역대 동해시장 선거 결과 ||
1995 1998 2002 2006 2010
민주자유당 한나라당 한나라당
김인기[5][6] 김진동 김학기[7][8]
2014 2018 2022
새누리당 무소속 국민의힘
심규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주요 후보 득표율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구분 주요 후보 득표율
1995년 1위: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김인기 26.08%

2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전억찬 22.18%
3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김형민 20.14%
4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홍순성 12.13%
1998년 1위:
김인기 58.81%

2위: 김진모 27.93%
2002년 1위:
김진동 28.65%

2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전억찬 22.01%
3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김진모 20.34%
2006년 1위:

김학기 39.39%

2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김진모 33.29%
3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오원일 16.58%
4위: 최경순 10.72%
2010년 1위:

김학기 42.80%

2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전억찬 35.32%
3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한기선 21.86%
2014년 1위: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심규언 47.52%

2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김원오 20.60%
3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한기선 11.85%
4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홍희표 11.09%
2018년 1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심규언 42.71%

2위:
안승호 32.25%
3위:

[[자유한국당|
파일:자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정일화 25.02%
2022년 1위:

심규언 57.09%

2위:
최석찬 24.98%
3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심상화 17.91%
}}}}}}}}}

3.1. 지선

3.1.1.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3.1.1.1. 강원도지사
동해시
동해시 일원
정당

후보 이계진 이광재
득표수 21,132 22,150
득표율 48.82% 51.17%
순위 2위 1위
선거인 수 73,611
투표 수 44,933
무효표 수 1,651
투표율 61.03%
3.1.1.2. 동해시장
파일:동해시 CI_White.svg 동해시장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김학기(金鶴基) 18,655 1위


42.80% 당선
7 한기선(韓基銑) 9,527 3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21.86% 낙선
8 전억찬(全億燦) 15,396 2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35.32% 낙선
선거인 수 73,611 득표율
61.04%
투표 수 44,932
무효표 수 1,354

3.1.2. 2011년 상반기 재보궐선거

3.1.2.1. 강원도지사
동해시
동해시 일원
정당

후보 엄기영 최문순
득표수 16,761 17,286
득표율 47.97% 49.47%
순위 2위 1위
선거인 수 74,392
투표 수 35,094
무효표 수 157
투표율 47.21%

3.1.3.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3.1.3.1. 강원도지사
동해시
동해시 일원
정당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후보 최흥집 최문순
득표수 23,041 20,786
득표율 51.46% 46.42%
순위 1위 2위
선거인 수 75,796
투표 수 45,629
무효표 수 860
투표율 60.21%
3.1.3.2. 동해시장
파일:동해시 CI_White.svg 동해시장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심규언(沈圭彦) 20,890 1위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47.52% 당선
4 김원오(金源五) 9,057 2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20.60% 낙선
5 한기선(韓基銑) 5,210 3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11.85% 낙선
6 홍희표(洪熙杓) 4,878 4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11.09% 낙선
7 최경순(崔敬洵) 3,922 5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8.92% 낙선
8 김형대(金炯大) 등록무효[9]


[[무소속(정치)|
무소속
]]
선거인 수 75,796 투표율
60.22%
투표 수 45,641
무효표 수 1,684

3.1.4.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3.1.4.1. 강원도지사
동해시
동해시 일원
정당


[[자유한국당|
파일:자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후보 최문순 정창수
득표수 29,034 16,783
득표율 63.36% 36.63%
순위 1위 2위
선거인 수 75,747
투표 수 46,923
무효표 수 1,106
투표율 61.93%
3.1.4.2. 동해시장
파일:동해시 CI_White.svg 동해시장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안승호(安承浩) 14,771 2위

32.25% 낙선
2 정일화(鄭日和) 11,463 3위


[[자유한국당|
파일:자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25.02% 낙선
6 심규언(沈圭彦) 19,565 1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42.71% 당선
선거인 수 75,747 투표율
61.94%
투표 수 46,921
무효표 수 1,122

3.1.5.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3.1.5.1. 강원도지사
동해시
동해시 일원
정당


후보 이광재 김진태
득표수 17,499 23,731
득표율 42.44% 57.55%
순위 2위 1위
선거인 수 76,886
투표 수 42,047
무효표 수 817
투표율 54.68%
8회 지선 광역자치단체장 선거 강원 동해시 개표 결과
정당


격차 투표율
후보 이광재 김진태 (1위/2위) (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17,499
(42.44%)
23,731
(57.55%)
-6,232
(▼15.11)
54.68%
천곡동[A] 42.52% 57.47% ▼14.94 50.69
송정동[B] 35.57% 64.42% ▼28.85 51.72
북삼동[C] 47.91% 52.08% ▼4.16 51.47
부곡동 39.02% 60.97% ▼21.95 55.04
동호동 37.12% 62.87% ▼25.75 53.42
발한동 31.20% 68.79% ▼37.58 55.61
묵호동[D] 33.91% 66.08% ▼32.16 51.67
북평동[E] 44.52% 55.47% ▼10.95 51.09
망상동[F] 34.97% 65.02% ▼30.04 53.24
삼화동[G] 34.40% 65.59% ▼31.18 58.76
후보 이광재 김진태 격차
거소투표 43.75% 56.24% ▼12.49
관외사전투표 51.43% 48.56% △2.87
국회의원
선거구
이광재 김진태 격차 투표율
동해시·태백시·삼척시·정선군 [H][동해·태백·삼척·정선] 43.58% 56.41% ▼12.83 58.99
3.1.5.2. 동해시장
파일:동해시 CI_White.svg 동해시장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최석찬(崔碩燦) 10,284 2위

24.98% 낙선
2 심규언(沈圭彦) 23,502 1위


57.09% 당선
4 심상화(沈相和) 7,376 3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17.91% 낙선
선거인 수 76,886 투표율
54.68%
투표 수 42,045
무효표 수 883
8회 지선 기초자치단체장 선거 강원 동해시 개표 결과
정당


무소속 격차 투표율
후보 최석찬 심규언 심상화 (1위/2위) (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10,284
(24.98%)
23,502
(57.09%)
7,376
(17.91%)
- 13,218
(▼32.11)
42,045
(54.68%)
천곡동[A] 24.17% 56.62% 19.19% ▼32.44 50.70
송정동[B] 22.89% 61.19% 15.91% ▼38.30 51.69
북삼동[C] 28.18% 53.40% 18.41% ▼25.21 51.47
부곡동 22.65% 62.06% 15.27% ▼39.40 55.06
동호동 20.37% 62.94% 16.67% ▼42.56 53.42
발한동 19.68% 63.67% 16.63% ▼43.98 55.52
묵호동[D] 18.90% 60.93% 20.16% ▼40.77 51.56
북평동[E] 25.90% 56.11% 17.97% ▼30.20 51.11
망상동[F] 17.22% 58.93% 23.84% ▼35.08 53.24
삼화동[G] 18.68% 62.97% 18.33% ▼44.29 58.87
후보 최석찬 심규언 심상화 격차
거소투표 31.55% 51.60% 16.83% ▼20.04
관외사전투표 34.67% 52.22% 13.10% ▼17.54

3.2. 대선

3.2.1. 제13대 대통령 선거

동해시
동해시 일원
정당

후보 노태우 김영삼 김대중 김종필
득표수 29,429 13,112 3,429 2,577
득표율 60.48% 26.94% 7.04% 5.29%
순위 1위 2위 3위 4위
선거인 수 57,103
투표 수 49,507
무효표 수 849
투표율 86.77%

3.2.2. 제14대 대통령 선거

동해시
동해시 일원
정당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통일국민당|
파일:통일국민당 글자.svg
]]
후보 김영삼 김대중 정주영 박찬종
득표수 22,316 6,392 15,426 3,968
득표율 45.64% 13.07% 31.54% 8.11%
순위 1위 3위 2위 4위
선거인 수 62,349
투표 수 49,589
무효표 수 694
투표율 79.49%

3.2.3. 제15대 대통령 선거

동해시
동해시 일원
정당
후보 이회창 김대중 이인제
득표수 28,099 10,581 14,077
득표율 52.32% 19.70% 26.21%
순위 1위 3위 2위
선거인 수 71,038
투표 수 54,599
무효표 수 893
투표율 76.87%

3.2.4. 제16대 대통령 선거

동해시
동해시 일원
정당
후보 이회창 노무현 권영길
득표수 29,429 16,989 2,226
득표율 60.14% 34.72% 4.54%
순위 1위 2위 3위
선거인 수 75,071
투표 수 49,535
무효표 수 604
투표율 66.05%

3.2.5. 제17대 대통령 선거

동해시
동해시 일원
정당

[[대통합민주신당|
파일:대통합민주신당 흰색 로고타입.svg
]]




[[무소속(정치)|
무소속
]]
후보 정동영 이명박 권영길 문국현 이회창
득표수 7,256 23,942 1,513 2,594 9,302
득표율 16.05% 52.98% 3.34% 5.74% 20.58%
순위 3위 1위 5위 4위 2위
선거인 수 74,275
투표 수 45,514
무효표 수 326
투표율 61.31%

3.2.6. 제18대 대통령 선거

동해시
동해시 일원
정당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후보 박근혜 문재인
득표수 36,139 18,511
득표율 65.87% 33.74%
순위 1위 2위
선거인 수 74,573
투표 수 55,083
무효표 수 225
투표율 73.93%

3.2.7. 제19대 대통령 선거

동해시
동해시 일원
정당


[[자유한국당|
파일:자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후보 문재인 홍준표 안철수 유승민 심상정
득표수 17,184 19,009 11,345 3,917 3,406
득표율 31.09% 34.39% 20.52% 7.08% 6.16%
순위 2위 1위 3위 4위 5위
선거인 수 76,059
투표 수 55,542
무효표 수 273
투표율 73.02%
19대 대선 강원 동해시 개표 결과
정당


[[자유한국당|
파일:자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격차 투표율
후보 문재인 홍준표 안철수 유승민 심상정 (1위/2위) (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17,184
(31.09%)
19,009
(34.39%)
11,345
(20.52%)
3,917
(7.08%)
3,406
(6.16%)
-1,825
(▼3.30)
73.02%
천곡동[A] 32.45% 32.16% 20.95% 7.64% 6.11% △0.29[27] 72.43
송정동[B] 25.96% 41.62% 19.21% 6.60% 5.45% ▼15.67 69.90
북삼동[C] 36.32% 27.84% 20.94% 7.26% 7.0% △8.48 73.81
부곡동 24.41% 41.80% 21.11% 6.21% 5.80% ▼17.39 67.76
동호동 23.75% 47.15% 18.61% 5.19% 4.27% ▼23.40 64.30
발한동 23.78% 47.75% 19.17% 4.33% 4.17% ▼23.97 66.35
묵호동[D] 22.92% 50.52% 17.70% 4.48% 3.83% ▼27.60 64.07
북평동[E] 28.56% 39.69% 19.83% 6.09% 5.21% ▼11.13 72.30
망상동[F] 24.42% 44.96% 19.83% 5.53% 4.41% ▼20.54 65.72
삼화동[G] 22.45% 45.21% 19.32% 6.25% 6.25% ▼19.76 69.51
후보 문재인 홍준표 안철수 유승민 심상정 격차
거소 및 선상투표 29.75% 15.93% 33.83% 12.72% 4.69% ▼4.08
관외사전투표 41.02% 17.82% 20.82% 10.16% 9.55% △20.20
재외투표 53.89% 11.98% 15.57% 5.39% 13.17% △38.32

3.2.8. 제20대 대통령 선거

동해시
동해시 일원
정당


후보 이재명 윤석열
득표수 22,896 31,739
득표율 40.19% 55.71%
순위 2위 1위
선거인 수 77,147
투표 수 57,515
무효표 수 548
투표율 74.55%
20대 대선 강원 동해시 개표 결과
정당


격차 투표율
후보 이재명 윤석열 (1위/2위) (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22,896
(40.19%)
31,739
(55.71%)
-8,843
(▼15.52)
74.55%
천곡동[A] 40.44% 55.88% ▼15.43 71.90
송정동[B] 34.88% 60.82% ▼25.94 74.21
북삼동[C] 44.70% 51.16% ▼6.46 72.75
부곡동 38.92% 57.23% ▼18.31 74.22
동호동 36.02% 60.65% ▼24.63 72.60
발한동 30.96% 65.74% ▼34.78 71.12
묵호동[D] 34.51% 62.76% ▼28.25 67.96
북평동[E] 41.46% 54.19% ▼12.73 72.77
망상동[F] 33.54% 63.13% ▼29.59 69.82
삼화동[G] 33.00% 63.01% ▼30.01 74.84
후보 이재명 윤석열 격차
거소선상투표 41.79% 48.57% ▼6.78
관외사전투표 44.53% 49.80% ▼5.27
재외투표 69.15% 24.29% △44.86
국회의원
선거구
이재명 윤석열 격차 투표율
동해시·태백시·삼척시·정선군[H][동해·태백·삼척·정선] 39.01% 57.39% ▼18.39 74.04

3.3. 총선

3.3.1. 동해시(13~15대)

3.3.2. 동해시·삼척시(16~20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동해시·삼척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3.3. 동해시·태백시·삼척시·정선군(21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동해시·태백시·삼척시·정선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1대 총선 동해시 개표 결과
국회의원 선거 (동해시·삼척시·태백시·정선군)
정당


[[미래통합당|
파일:미래통합당 흰색 로고타입.svg
]]
격차 투표율
후보 김동완 이철규 (1위/2위) (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20,493
(41.85%)
26,690
(54.51%)
- 6,197
(▼12.66)
49,535
(64.71%)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16px"
천곡동[A] 42.60% 54.09% ▼11.49 62.68
송정동[B] 39.08% 57.36% ▼18.28 63.02
북삼동[C] 47.45% 49.50% ▼2.05 63.93
부곡동 37.33% 59.17% ▼21.83 62.24
동호동 34.65% 60.78% ▼26.13 62.46
발한동 31.22% 65.58% ▼34.36 61.55
묵호동[D] 31.02% 65.35% ▼34.33 58.52
북평동[E] 43.71% 53.59% ▼9.88 63.43
망상동[F] 34.99% 60.47% ▼25.48 60.71
삼화동[G] 33.90% 63.09% ▼29.20 64.98
후보 김동완 이철규 격차
거소·선상투표 44.15% 42.33% △1.82
관외사전투표 51.66% 43.12% △8.55
재외투표 68.18% 31.81% △36.36
}}}}}} ||

3.3.4. 비례대표

3.3.4.1.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비례대표 선거
정당

[[미래한국당|
파일:미래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격차 투표율
득표수
(득표율)
20,039
(42.30%)
12,915
(27.26%)
4,287
(9.05%)
2,733
(5.76%)
2,095
(4.42%)
+ 7,124
(△15.04)
49,546
(64.71%)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16px"
천곡동[A] 42.22% 27.99% 9.21% 6.51% 4.17% △14.23 62.69
송정동[B] 47.34% 25.03% 7.77% 4.60% 4.15% △22.31 63.02
북삼동[C] 37.48% 30.15% 10.84% 6.41% 5.19% △7.34 63.94
부곡동 45.76% 25.69% 6.79% 4.76% 4.25% △20.07 62.26
동호동 48.12% 24.06% 8.38% 4.24% 3.24% △24.06 62.46
발한동 52.92% 19.62% 6.62% 4.34% 3.72% △33.30 61.55
묵호동[D] 51.96% 22.57% 4.88% 3.72% 3.98% △29.38 58.52
북평동[E] 42.31% 28.08% 9.50% 5.06% 4.31% △14.23 63.43
망상동[F] 48.85% 23.73% 7.07% 4.78% 2.82% △25.12 60.71
삼화동[G] 51.18% 21.28% 7.37% 3.68% 4.34% △29.90 64.98
정당

[[미래한국당|
파일:미래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격차
거소·선상투표 26.68% 27.89% 9.37% 12.67% 4.63% ▼1.21
관외사전투표 28.60% 32.56% 11.62% 6.58% 6.23% ▼3.95
재외투표 32.00% 24.00% 4.00% 0 32.00% =동률
}}}}}} ||


[1] 특히 동해시는 박근혜-최순실 게이트라는 희대의 국정농단 스캔들로 인해 치러진 2017년 19대 대선 때에도 자유한국당 홍준표 후보가 34.39%를 득표하여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후보를 3.3%p 차로 꺾을 정도로 여전히 보수강세 지역임을 드러냈다. [2] 심지어 더불어민주당 후보였던 한호연은 동해에서 38.76%를 득표하여 비록 선전했지만 40%도 넘지 못했다. 더군다나 2022년 20대 대선에서만 봐도 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민주당계 정당 후보 통틀어서 최초로 40% 이상 득표한 걸 감안하면 한호연 입장에서 좋은 성과라 볼 수 없다. [3] 89.3.14 당선무효 (선거법 상의 절차 위반) [4] 본인이 다시 출마해서 당선되었다. [5] 01.9.7 시장직 상실 (뇌물수수) [6] 잔여 임기 1년 미만으로 재보궐선거 미실시 [7] 13.8.14 시장직 상실 (뇌물수수) [8] 잔여 임기 1년 미만으로 재보궐선거 미실시 [9] 공직선거법 제49조제6항에 의한 등록무효 [A] 법정동 천곡동 · 평릉동. 동해시청이 있는 신도심 [B] 법정동 송정동 · 용정동. 동해항 해군기지가 있는 동네 [C] 법정동 나안동 · 쇄운동 · 동회동 · 효가동 · 지흥동 [D] 법정동 묵호진동 · 어달동 · 대진동 [E] 법정동 북평동 · 구미동 · 구호동 · 추암동 · 대구동 · 내동 · 호현동 · 단봉동 · 이도동 · 지가동 · 귀운동. 북평국가산업단지, 동해자유무역단지가 있는 동네 [F] 법정동 망상동 · 심곡동 · 초구동 · 괴란동 · 망우동 · 발한동(일부). 망상해수욕장이 있는 동네 [G] 법정동 삼화동 · 이로동 · 달방동 · 신흥동 · 이기동 · 비천동. 쌍용양회 공장이 있는 동네 [H] 동해시 일원, 태백시 일원, 삼척시 일원, 정선군 일원 [동해·태백·삼척·정선] 지역구 국회의원: 이철규 (미래통합당 → 국민의힘, 3선) [A] 법정동 천곡동 · 평릉동. 동해시청이 있는 신도심 [B] 법정동 송정동 · 용정동. 동해항 해군기지가 있는 동네 [C] 법정동 나안동 · 쇄운동 · 동회동 · 효가동 · 지흥동 [D] 법정동 묵호진동 · 어달동 · 대진동 [E] 법정동 북평동 · 구미동 · 구호동 · 추암동 · 대구동 · 내동 · 호현동 · 단봉동 · 이도동 · 지가동 · 귀운동. 북평국가산업단지, 동해자유무역단지가 있는 동네 [F] 법정동 망상동 · 심곡동 · 초구동 · 괴란동 · 망우동 · 발한동(일부). 망상해수욕장이 있는 동네 [G] 법정동 삼화동 · 이로동 · 달방동 · 신흥동 · 이기동 · 비천동. 쌍용양회 공장이 있는 동네 [A] 법정동 천곡동 · 평릉동. 동해시청이 있는 신도심 [27] 불과 46표 차이였다. [B] 법정동 송정동 · 용정동. 동해항 해군기지가 있는 동네 [C] 법정동 나안동 · 쇄운동 · 동회동 · 효가동 · 지흥동 [D] 법정동 묵호진동 · 어달동 · 대진동 [E] 법정동 북평동 · 구미동 · 구호동 · 추암동 · 대구동 · 내동 · 호현동 · 단봉동 · 이도동 · 지가동 · 귀운동. 북평국가산업단지, 동해자유무역단지가 있는 동네 [F] 법정동 망상동 · 심곡동 · 초구동 · 괴란동 · 망우동 · 발한동(일부). 망상해수욕장이 있는 동네 [G] 법정동 삼화동 · 이로동 · 달방동 · 신흥동 · 이기동 · 비천동. 쌍용양회 공장이 있는 동네 [A] 법정동 천곡동 · 평릉동. 동해시청이 있는 신도심 [B] 법정동 송정동 · 용정동. 동해항 해군기지가 있는 동네 [C] 법정동 나안동 · 쇄운동 · 동회동 · 효가동 · 지흥동 [D] 법정동 묵호진동 · 어달동 · 대진동 [E] 법정동 북평동 · 구미동 · 구호동 · 추암동 · 대구동 · 내동 · 호현동 · 단봉동 · 이도동 · 지가동 · 귀운동. 북평국가산업단지, 동해자유무역단지가 있는 동네 [F] 법정동 망상동 · 심곡동 · 초구동 · 괴란동 · 망우동 · 발한동(일부). 망상해수욕장이 있는 동네 [G] 법정동 삼화동 · 이로동 · 달방동 · 신흥동 · 이기동 · 비천동. 쌍용양회 공장이 있는 동네 [H] 동해시 일원, 태백시 일원, 삼척시 일원, 정선군 일원 [동해·태백·삼척·정선] 지역구 국회의원: 이철규 (미래통합당 → 국민의힘, 재선) [A] [B] [C] [D] 법정동 묵호진동 · 어달동 · 대진동 [E] 법정동 북평동 · 구미동 · 구호동 · 추암동 · 대구동 · 내동 · 호현동 · 단봉동 · 이도동 · 지가동 · 귀운동. 북평국가산업단지, 동해자유무역단지가 있는 동네 [F] 법정동 망상동 · 심곡동 · 초구동 · 괴란동 · 망우동 · 발한동(일부). 망상해수욕장이 있는 동네 [G] 법정동 삼화동 · 이로동 · 달방동 · 신흥동 · 이기동 · 비천동. 쌍용양회 공장이 있는 동네 [A] [B] [C] [D] 법정동 묵호진동 · 어달동 · 대진동 [E] 법정동 북평동 · 구미동 · 구호동 · 추암동 · 대구동 · 내동 · 호현동 · 단봉동 · 이도동 · 지가동 · 귀운동. 북평국가산업단지, 동해자유무역단지가 있는 동네 [F] 법정동 망상동 · 심곡동 · 초구동 · 괴란동 · 망우동 · 발한동(일부). 망상해수욕장이 있는 동네 [G] 법정동 삼화동 · 이로동 · 달방동 · 신흥동 · 이기동 · 비천동. 쌍용양회 공장이 있는 동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917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917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