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성어 | |||
老 | 牛 | 舐 | 犢 |
늙을 노 | 소 우 | 핥을 지 | 송아지 독 |
1. 개요
늙은 소가 송아지를 핥다. 부모가 자녀를 아끼고 깊이 사랑하는 마음을 비유하는 말이다.2. 출전
후한서(後漢書)〈양진열전(楊震列傳)〉, 양양기, 삼국지연의3. 유래
중국 삼국시대 위(魏)나라의 조조(曹操:155∼220) 휘하에서 주부(主簿)를 지낸 양수(楊修)는 재능이 뛰어나고 지혜로웠다. 조조는 촉한(蜀漢)의 유비(劉備:161∼223)와 한중(漢中)을 놓고 싸움을 하였는데, 철수할지 진격해야 할지 곤경에 처하였다. 전투에서 불리해진 조조는 닭국을 먹으면서 닭갈비를 보고 그날의 군호를 묻는 부하에게 닭의 갈비뼈를 뜻하는 ' 계륵(鷄肋)'이라고 하였다.하지만 부하들은 조조의 철수 명령을 알아듣지 못하였다. 닭의 갈비뼈는 먹음직스런 살은 없으나 안 먹으면 아까운 것으로 버리기 아까운 한중 땅이지만 철수할 결정으로 암호를 계륵이라고 한 것이다. 이에 조조의 속마음을 알아차린 양수는 군사들과 함께 퇴각 준비를 하였다. 자신의 속마음이 들통나 부끄러워진 조조는 군사들의 마음을 어지럽혔다는 명목으로 양수의 목을 베고 그의 말을 부정하듯이 진격했다가 위연의 화살에 앞니가 부러지는 수모를 당하고 겨우 퇴각했다.
돌아온 후 양수의 아버지
양표(楊彪)에게 조조가 "왜 그리 모습이 파리하고 해쓱하냐?"고 묻자, 양표는 "
선견지명이 없어 자식을 잘 가르치지 못해 죄를 짓게 했습니다. 아들이 죽고 나니 늙은 어미 소가 어린 송아지를 핥아주는 마음처럼 어버이로서 자식에 대한 사랑을 지닌 슬픔에 해쓱해졌습니다"하고 말하자 조조는 양수를 죽인 것을 후회하였다고 전해진다. [1]
그러자 제갈량은 양수가 죽은 것에 대해 시를 지었는데 대강적인 내용은 양수가 조금만 겸손했으면 살았을 텐데 라는 내용이다.[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