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3-12-06 23:20:54

나래카드

파일:external/c5.staticflickr.com/6173197492_b53141bea3_b.jpg
외국인 전용
파일:external/i2.media.daumcdn.net/20110326094521644.jpg
내국인용
1. 개요2. 역사3. 사용4. 도입 배경5. 전망

1. 개요

북한의 조선무역은행에서 발행하여 평양 지역에서 사용되는 전자 선불카드이다. 카드에 일정량의 외화[1]를 예치하면, 카드회사에서 북한 원으로 환전해 카드에 충전해 주고, 이를 가지고 현금카드로 사용하는 개념. 그러니까 외환카드(現 하나카드) 글로벌페이의 역순인 셈이다.(...) 기능상 2002년에 한번 폐지된 적이 있었던 외화와바꾼돈표[2]의 자리를 대체하고 있다.

2. 역사

사실 북한에서 신용카드 사용은 1990년대부터 시작됐지만 외국인을 대상으로, 그것도 대단히 제한된 곳에서만 이뤄져 왔다. 하지만 90년대나 2000년대 초반에는 북한의 기업들이 하루, 한달 단위로 바로 바로 매출 결산이 이뤄지는 상황에서 후불로 청구되는 신용카드 사용은 상당히 복잡한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또한 당시 국제사회의 대북 경제제재가 일상화되어 있는 조건에서 혹시나 사후 결재가 이뤄지지 않을 것을 우려하여 많이 쓰이지는 않았다.[3]

그러나 북한도 세계적 추세를 거스를 수 없었는지 전자결제의 도입을 계속 외면할수는 없었고 2005년에 ‘실리silly?’라는 이름의 IC현금카드를 처음으로 발행했다. 이 현금카드는 합영은행인 동북아시아은행이 발행한 것으로 은행에 돈을 미리 넣고, 일부 가맹점에서만 사용할 수 있었으며 제한적이었다. 당시 가맹점은 평양호텔, 창광외국인숙소식당, 네거리상점 등 13개였다. 사실상 북한 주민보다는 외국인과 고위층만을 대상으로 했다고 할 수 있다.

첫 현금카드 발행 후 5년이 지난 2010년 조선무역은행이 북한 내 일반 주민들물론 그나마 북한에서 먹고 살 만한 평양 주민들이 상당수지만도 사용 가능한 전자결제 카드인 [나래]를 발행하고, 다음해 고려은행이 [고려]카드를 발행하면서 북한에서는 본격적으로 현금카드가 보급되기 시작했다.

북한 조선무역은행에서 처음 발행된 이 나래 카드는 전자결제방식을 차용하였는데, 처음 발행된 ‘나래’ 카드는 외화계좌에 예치된 달러화 등 오로지 예치된 외화만으로 결제하는 시스템을 갖고 있었다. 그러다가 이듬해 북한 고려은행도 덩달아 ‘고려’카드를 발행하면서 외화 뿐만 아니라 북한 원으로도 결제가 가능한 카드가 도입되기 시작.

3. 사용

파일:external/img.hani.co.kr/7000618811_20110115.jpg
사용설명서
IC나 마그네틱을 이용한 대금 결제 기능이 있는것까지는 충분히 예상이 가지만, 중국 국내 은련이나 러시아 국내 미르에서 볼법한 카드간 송금(카드-카드사이 송금)과 휴대폰 비접촉 결제(손전화기에 의한 대금결제) 기능까지 지원한다.

나래카드를 사용할 수 있는 가맹점은 2010년 첫 도입 후 2년 만에 평양의 전 구역으로 확대돼 주요 호텔과 식당, 외화상점, 슈퍼마켓, 모든 손전화봉사소(휴대폰판매소) 등 120곳을 넘었다. ‘나래’카드는 대외결제은행 외화교환소에서 미화 3달러의 가입비(카드 발급비)를 내면 발급받을 수 있으며, 전국의 모든 외화 봉사단위들에서 상품과 용역에 대한 대금을 지불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카드를 발급 받을 때 사용자만이 알 수 있는 비밀번호 4자리를 입력하고, 비밀번호를 세 번 연속 틀리면 카드 결제가 자동으로 중지된다. 카드를 파손하거나 분실하면 신분 확인 후 재발급하는 등 국제사회의 카드 사용 방식과 크게 다르지 않다.

평양에서 ‘나래’ 카드를 직접 사용해본 외국인들은 “물건값으로 100유로를 내면 거스름돈이 없어 오랫동안 기다렸지만, ‘나래’카드를 사용하면 훨씬 빨리 지불할 수 있어서 좋다”, “물품을 구입하기 위해 외국인으로서 일일이 환전해야 하는 불편함이 없어졌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여기에 고무된 북한 당국은 한발 더 나아가 외화뿐만 아니라 북한돈 전용 현금카드를 도입하였다. 사용 방식은 일단 국가은행에 돈을 저축하고, 그 금액만큼 상점 등에 가서 물건을 구입할 수 있는 일종의 ‘체크카드’다. 이제 북한도 자국 주민들에게 현금카드 사용을 권장하기 시작한 셈이다.

하지만 적용되는 환율이 공식 환율이라는 게 함정. 이게 무슨 소리냐면, 북한에서는 국가(중앙은행)에서 공식적으로 정한 환율과 실제 시장 환율(이른바 "장마당 환율")에 상당한 차이가 있다. 오라스콤의 보고서에 따르면, 시장 환율이 유로당 8,650원일 때, 공식 환율은 유로당 118원으로 무려 73배 차이를 보였다. 공식 환율을 적용하여 실제 북한 원의 한없이 가벼운 가치를 뻥튀기해, 1센트라도 더 많은 외화를 더 축적하려는 것. 다만 가맹점들이 외화상점 혹은 옥류관 같은 곳이라 실사용에는 문제 없다. 외화상점들은 공식환율대로 280원, 560원과 같은 가격을 책정하기 때문. 따라서 북한 원 체제부터가 껄렁껄렁한 걸 제외하면 엄청난 폭리를 취한다고 보기는 어렵다. 외화와바꾼돈표를 폐지한 이유가 이 나래카드 때문이 아닐까 싶을 정도.

카드간 송금 기능을 이용할 경우 가맹점에서 사용하는 것과 비슷한 결제 단말을 이용한다. 휴대폰/손전화를 통한 카드간 송금이 가능한지는 밝혀지지 않았지만 손전화봉사소에서 처리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4. 도입 배경

이렇게 북한이 현금카드 사용에서 한 발 더 나아가 신용카드 도입을 언급한 것은 전자결제시스템이 안정화되고 주민들이 카드 사용에 익숙해졌다고 판단한 결과로 보인다. 자칭 ‘세계적 추세’가 강조되는 김정은시대에 들어와 세계적으로 통용되는 신용카드 사용까지 적극 검토하고 있는 것이다. 실제로 북한은 지난 5월 “전자결제 방법의 적용은 시대의 요구이며 그 우월성은 이미 우리나라에서 크게 발휘되고 있다”며 “모든 상업기업소(백화점, 상점 등 유통업체)들에서는 결제의 전자화, 정보화를 실현하기 위한 투쟁을 보다 힘있게 벌여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북한은 카드사용 확대를 통해 주민물론 평양 기득권 주민들이겠지만 들과 얼마 안 되는 외국인에게 편의를 제공하고, 민간에 유통되는 외화를 재정으로 흡수하려는 것으로 보인다. 북한 당국의 추산으로는 민간에 40억 달러 상당의 외화가 잠겨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단다.

또한 카드 사용을 권장해 외화와 현금 사용의 투명성을 높이려는 즉 어디에 썼는지 감시하겠다는 불순한 의도도 갖고 있다. 북한 당국이 고위 관리나 고위 장성급 군인들에게 카드를 지급하고 있는 것도 이러한 목적이 있는 것으로 추측된다. 그 전에 일반 사병들에게 식량배급이 우선 아닌가? 일부 보도에 따르면 북한은 지난해부터 인민군 장성들에게 일정액의 외화가 충전된 전자결제카드를 지급해 평양의 외화상점과 식당, 청진과 함흥 등 지방 휴게소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했다고 한다. 생활비 외에 군 산하의 무역회사를 통해 개별적으로 외화를 조달해 보관, 사용하는 것을 차단하고, 현금 사용의 투명성을 높이려는 것이다.

북한은 올해 초부터 외화를 취급하는 모든 개인과 기업소, 기관에 ‘내화 구좌’와 함께 ‘외화 구좌’를 별도로 개설해 거래토록 하고 실제 시장에서 통용되는 환율을 적용하고 있는데, 기업들이 대금을 자체적으로 보유하고 있다가 당국에 압수되거나 높은 시장환율로 불법적으로 환전하는 것을 막기 위한 조치다. 과거 북한에서는 거래대금을 24시간 안에 은행에 예치하도록 했는데, 내화와 외화 계좌가 없는 경우에 자금을 보유하고 있다가 압수 당하는 경우가 있었다. 김정은 시대에 들어와 이처럼 불필요한 사유로 규정을 위반하거나 개별적으로 자금을 보유하고 있는 현상을 없애려 내화와 외화 계좌를 모두 가질 수 있게 허용한 것이다.

5. 전망

북한은 앞으로 현금.신용카드를 활용한 금융분야의 전자결제 외에 전자칩이 내장된 ‘전자 공민증(주민증)’ 도입 등 사회 전반에 전자카드 도입을 확대할 것으로 전망된다.

사실 북한은 2000년대 중반부터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기능을 활용해 인민대학습당, 김책공업종합대학 전자도서관 등의 출입증을 전자카드로 바꿨고, 심지어 남쪽과 기능이 유사한 교통카드도 일부 발급해 사용하기 시작했다고 하긴 하는데... 물론 남쪽과 비슷하다는 말은 100% 신뢰가 되지는 않는다

강윤일 평양정보기술국(구 평양정보쎈터) 카드연구소장도 <로동신문>에 기고한 글에서 세계적으로 전자카드가 전자현금카드, 지하철운임카드, 버스운임카드, 전화카드, 의료카드, 출입카드, 전자여권 등에 이용되고 있다고 소개한 후 북한에서도 전자카드 이용 분야를 확대하기 위한 사업이 활발하다고 주장하며 전자카드가 경제를 현대화, 정보화하는데 기여하고 있다고 밝혔다. 물론 자체 보도이니 업적 과장용 허세일 수도 있다

2011년 5월 평양정보쎈터가 전자결제카드, 출입카드, 급양봉사카드, 도서관리용카드 등의 여러 가지 전자카드를 개발했다고 공개한 바도 있다. 이렇게 볼 때 바야흐로 북한에서도 경제 일상에서 전자 카드 활용이 점차 일반화되어갈 것이라고 조심스럽게 예상할 수 있다.



[1] 참고로 입금할 때는 미국 달러, 유로, 위안화, 엔화를 받는다고 한다. 미제는 싫어하지만 달러는 좋아한다, 러시아 루블, 튀르키예 리라가 없는게 함정. [2] 2019년에 부활했지만 외화와바꾼돈표를 충전할 수 있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3] 물론 지금도 결제망이 살아는 있으나 기존 비자 혹은 마스터카드 가맹점들의 단말기는 안보이는 곳에 고이 모셔지는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