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1-12-20 22:49:04

계갑일록

1. 개요2. 내용3. 류성룡의 시4. 기타5. 외부 링크

1. 개요

癸甲日錄. 조선 선조 16년, 1583년 6월 1일부터 이듬해 7월 30일까지 문신이자 의병장이었던 우성전(禹性傳)[1]이 쓴 정치 일기.

2. 내용

우성전은 선조 1년, 1568년에 증광 문과에 병과로 급제한 문인으로 동서분당 당시 동인으로 분류되었고, 이발(李潑)과 갈등이 생기자 우성전은 남산에 살아서 남인, 이발은 북악(北岳)에 살아서 북인으로 분당되었다. 남인의 거두였으며,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경기도에서 의병인 추의군(秋義軍)을 모집해 소금과 식량을 조달해 난민을 구제하였다. 또한 강화도에 들어가 김천일과 합세해 전공을 세우고 강화도 주변 지역을 장악해 조선의 보급로가 남북으로 통하게 하였다. 이후 병선을 이끌어 적의 진격로를 차단했으며, 권율 독성산성(禿城山城)에서 행주에 이르자 의병을 이끌고 지원하였다. 용산의 왜군을 쳐서 양곡을 확보해 관군과 의군의 식량을 마련하기도 하였으나 이후 퇴각하는 왜군을 쫓아 경상우도 의령까지 갔다가 지나친 과로로 병을 얻어 사망하였다.

우성전이 계갑일록을 쓸 때는 막 동서분당이 이루어지던 때로 분당의 원인과 그 당시의 정치 상황, 기타 조정의 동향에 대해 잘 알아볼 수 있는 자료이다. 일기의 맨 뒤에는 서애 류성룡이 쓴 시가 있다.

3. 류성룡의 시

고인은 오늘 이미 유명을 달리 했으니 / 故人今日隔幽明
만사는 망연히 한 꿈속에 깨는구나 / 萬事茫然一夢驚
난실에서 좋아한 것 취미 서로 같아서인데 / 蘭室已忻同臭味
모진 바람 몰아쳐도 마음과 정 변치 않네 / 風終不改心情
살아 생전 불우함이 어찌 운명이 아닐소냐 / 生前枘鑿寧非命
죽은 뒤 서주됨은 평론이 다시 있을 테지 / 身後犀珠更有評
한 권의 남긴 책자 못난 친구 보관하네 / 一卷遺編留損友
무덤의 풀 다시 나와도 목이 메어 흐느끼네 / 雖經宿草亦呑聲
눈이 높아 한 세상 사귄 사람 적었고 / 眼高一世從遊少
당시의 인물들을 대단찮게 여겼다네 / 不歎當年大小兒
말과 수레 거리 메워도 문 닫아 거절했고 / 車馬滿街常閉戶
서릿발 같은 정직한 말 온 좌중이 놀라도다 / 風霜驚座聘危辭
바닷 비에 기 젖으니 나라 위해 충성했고 / 旗沾海雨勤王苦
영문의 밤에 별 지니 대명이 쓰러졌다 / 星殞營宵大命隳
살아 남은 이 인생 가시덤불 속인데 / 未死餘生刑棘裏
호소할 길 아득하여 슬퍼만 하네 / 籲天無路只傷悲

4. 기타

원본과 별개로 대동야승(大東野乘) 권 24에 그 내용이 수록되어 있으며, 패림(稗林)에도 수록되어 있다.

일제강점기 이토 히로부미가 국내서 반출해 일본으로 가지고 간 77종 1028책의 조선시대 문헌 중 하나였다. 네이버 기사 2010년에 조선왕실의궤가 반환될 때 함께 반환되었다.

5. 외부 링크



[1] 이 분의 처가 허균의 이복누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