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30 18:54:21

강로


이 문서는 토막글입니다.

토막글 규정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colbgcolor=#c00d45,#94153e><colcolor=#f0ad73> 조선 정승
순조 ~ 고종
{{{#!wiki style="margin: 0 -10px -6px; min-height: calc(1.5em + 6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좌의정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제306대

이시수
제307대

서용보
제308대

이시수
제309대

서매수
제310대

이경일
제311대

한용구
제312대

서용보
제313대

이시수
제314대

김재찬
제315대

한용구
제316대

김재찬
제317대

김사목
제318대

남공철
제319·320대

이상황
제321대

이존수
제322·323·324대

이상황
제325대

심상규
제326대

홍석주
{{{#!wiki style="margin: -16px -11px"
제326대

홍석주
제327대

박종훈
제328대

김홍근
제329대

정원용
제330대

권돈인
제331·332대

김도희
}}}
제331·332대

김도희
제333대

박종훈
제334대

김홍근
제335대

김홍근
제336대

이헌구
제337대

조두순
제338대

박회수
제339대

조두순
제340대

이유원
제341대

김병학
제342대

강로
제343대

이최응
제344·345대

김병국
제346대

송근수
제347대

김병국
제348대

김홍집
제349대

김병시
제350대

김홍집
제351대

김병시
제352대

김홍집
제353대

조병세
<colbgcolor=#c00d45,#94153e> 역대 정승
(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역대 영의정
(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우의정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제340대

서용보
제341대

김관주
제342대

이경일
제343대

김달순
제344대

서용보
제345대

김재찬
제346대

김사목
제347대

남공철
제348대

임한호
제349대

이서구
제350대

심상규
제351대

이존수
제352대

정만석
제353대

김이교
제354·355대

박종훈
제354·355대

박종훈
제356대

이지연
제357대

조인영
제358대

정원용
제359대

권돈인
제360대

김도희
제361대

박회수
{{{#!wiki style="margin: -16px -11px"
제362대

박영원
제363대

김좌근
제364·365·366대

조두순
}}}
제367대

이경재
제368대

임백경
제369대

류후조
제370대

홍순목
제371대

한계원
제372대

박규수
제373대

김병국
제374대

김병덕
제375대

심순택
제376대

김병시
제377대

김유연
제378대

조병세
제379·380·381·382대

정범조
<colbgcolor=#c00d45,#94153e> 역대 정승
(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역대 영의정
(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

<colbgcolor=#b82642><colcolor=#f0ad73> 조선 정승
익헌공(翼憲公)
강로
姜㳣
<nopad>파일:강노 초상 .jpg
출생 1809년( 순조 9)
사망 1887년( 고종 24)
시호 익헌(翼憲)
기중(期中)
표운(豹雲), 정은(貞隱)
가족 부친 -강이오 (姜彛五)
조부 - 강인(姜亻)
증조부 - 강세황 (姜世晃)
고조부 - 강현 (姜鋧)

1. 개요2. 생애

[clearfix]

1. 개요

조선후기의 문신,병조판서,좌의정 등을 역임 했다.

2. 생애

1837년 (헌종 3) 진사시를 거쳐 1848년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 1850년(철종 1) 정자(正字)가 된 뒤 홍문관응교를 거쳐 1857년 사간원대사간이 되었다.

원래 북인계열로서 노론 중심의 세도정치 아래 중용되지 못하였으나, 흥선대원군이 집정한 후 남인계와 북인계를 많이 기용함에 따라 1866년에는 병인양요로 피폐해진 강화도에 위유사(慰諭使)로 나가게 되었다.

그뒤 대원군이 계속 중용하여 1871년 병조판서를 거쳐 이듬해 좌의정이 되었다. 1873년 대원군을 탄핵한 최익현(崔益鉉)의 처벌을 주장하였다가 고종이 친정하게 되면서 우의정 한계원(韓啓源)과 함께 파직당하였다.

1874년 재기용되어 판중추부사를 지내던 중 1878년 효휘전(孝徽殿)의 참례(參禮)에 불참한 죄로 평안남도 삼화(三和)에 잠시 유배되었다가 다시 복직되었다. 이듬해 일본의 인천항 개항요구에 반대하였으며 판중추부사로 치사하여 봉조하(奉朝賀)로서 기로소에 들어갔다.

1883년 대원군파로 몰려 임오군란 때 난도(亂徒)와 작당하였다는 탄핵을 받아 경상남도 안의로 유배, 이듬해 풀려나와 1887년 사면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