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7-21 14:00:54

검강

강기에서 넘어옴
무공의 경지
<colbgcolor=black><colcolor=white> 경지 삼류 → 이류 → 일류 절정 초절정 화경 현경 생사경
검도 검기 검사 검강/ 신검합일 검환 이기어검술 무형검/ 심검
관련 문서 무협 용어/ 분류 · 무림의 세력 · 무공

1. 개요2. 설명3. 판타지 소설의 검강4. 기타

1. 개요

劍罡[1]
무협 소설의 용어.

2. 설명

검기는 보통 육안으로 구별할 수 없이 아지랑이 같은 수준으로 발산된다. 이러한 검기가 뭉쳐지고 육안으로 구분이 가는 유형화 된 형태를 검기성강(劍氣成罡), 줄여서 검강(劍罡)이라 불리며, 무공에 따라 초승달이나 일직선의 광선 등의 형태로 쏘아보낸 것으로 묘사된다. 검기 같은 것이 다양한 매개체를 통하여 기를 물체에 이슬처럼 맺히게 하는 것이라면, 검강은 맺힌 이슬들을 얼리고 굳혀서 더 날카롭고 견고한 형태로 만드는 것이라고 보면 된다.

검기와 검강 사이에 검사(劍絲)라는 단계가 있는 경우도 있는데, 이 경우 검기가 압축되어 하나의 실처럼 유형화되는걸 검사라 칭하며 검강은 이 검사가 짜여서 비로소 무기 자체를 뒤덮는 걸 칭한다.

일반적인 이미지는 반투명하거나 색상이 분명한 무언가가 무기를 뒤덮은 형상이다. 스타워즈의 라이트세이버가 광선이 묶인 형상 대신 검의 형상을 띄고 좀더 무기질적인 이미지를 가지면 대충 위력도 비슷하다.

중국 무협이나, 뫼 출판사 시절에 나온 무협 소설에서는 검강은 고사하고, 검기조차 보기 어려운 경우가 많았기에 검강은 나왔다 하면 그야말로 최강의 절기, 어떤 것도 파괴하는 무적의 힘이라고 묘사되는 경우가 많았지만, 무협 소설의 파워 인플레이션이 진행된 지금은 검기와 마찬가지로 고수다 싶으면 누구나 쓰는 보편적인 절기로 전락했다.[2]

이 때문이 검강 같은 것이 나오는 작품은 90%를 웃도는 확률로 검기 같은 건 아무나 쓰고 다니는 세계관이라고 생각하면 편하다. 물론 모든 작품이 그런 건 아니다. 위에서 말했듯이 뫼 출판사나 드래곤북스 시절이나, 중국무협 같은 데에서는 검기만 써도 엄청난 고수로 인정받았다. 하지만 흔히 말하는 와룡강의 색협지(色俠誌)가 출간되던 구무협 시절에는 검강 같은 강기무공이 곧잘 나오곤 했다.

경지가 올라갈수록 무기를 코팅하는 수준을 넘어서 점점 더 길어지면서 사실상 병장기의 길이가 길어지고 좀 더 두꺼워지는 효과는 낳는데 일부 소설에선 이 길이로 강함을 측정한다. 그 길이도 기본 2m를 넘어 가끔 10m 이상의 강기를 뽑아내기도 하는데, 실제로 10미터면 웬만한 건물 높이는 가볍게 뛰어넘는 엄청난 높이다. 다만, 길이가 아니라 검강의 강도 로 강함을 측정하는 작품들도 있다. 검강이라는 단어가 나오지 않고 검기의 강도 차이가 묘사된다든가.

검강의 사용법을 그것만 있는게 아니라서 처음 검에 기 또는 마나라고 불리는 힘을 넣어 검기를 발출하기 전 무기의 강도와 절삭력을 높이는 단계에서 착안 또는 그 단계와 혼동해서 나온 내강기(무기 안에 강기를 넣어 검 자체의 강도와 절삭력을 한층 더 올리는 수법), 그리고 아예 그것을 검강을 외부로 발출하기 위한 하나의 단계로 나타나기도 하고 강기를 한번 더 압축시키는 강환, 검이 아니라 육체에 갑옷처럼 두르는 호신강기, 병장기의 형태와 속성에 구여받는 단계를 벗어나서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형태와 속성이 변화하는 의형강기/강기공 등 다양한 사용법으로 분화한다.

검강이 아닌, 일반적인 몸을 매개로 한 강기무공은 보통 앞에 XXXXX강이라는 식으로 거창한 이름이 붙는다. 보통 익히고 있는 내공심법의 이름을 따서 붙는다.[3]

검기 강철 같은 건 푸딩처럼 자르는 것처럼, 검강은 검기로는 쉽게 벨 수 없는 현철 같은 희귀한 금속 같은 것을 자를 수 있다. 작품에 따라 검기와 검강은 벨 수 있고 없는 것이 달라지는 편이지만 기본적으로 검기보다 파괴력과 절삭력이 뛰어나다고 생각하면 된다. 당연히 검기의 상위호환이기에 검기와 검강이 부딪히면 검기가 개박살난다. 위력이 지나치게 강한 만큼 작가의 역량이 부족하면 전투장면이 매우 단조롭게 되기 쉽다.[4]

3. 판타지 소설의 검강

임경배의 《 카르세아린》에서 소드마스터라는 개념은 검강이 아닌 검기를 사용했지만, 판타지든 무협이든 파워 인플레가 가속되자 《 소드 엠페러》에서 이르러서는 검기가 아닌 검강을 사용하게 되었다.

한자로 쓰면 판타지 소설에서 어울리지 않는다고 생각했는지, 양판소에서는 검기를 오러라고 부르고, 검강은 오러 블레이드라고 하며, 무협지의 검강과 동일시한다. 단순히 내공이 이런 짓을 할만큼 많아야 되는 것은 기본이고 고도의 깨달음을 얻어야 되는 게 대부분이다.

다만 대부분의 판타지 소설은 무협 소설과는 달리 전투장면이 무협 소설보다 더 단조로운데, 마법 등의 다른 이능력의 존재와 발달로 응용무공 같은 것도 없는 경우가 많고 전투의 양상도 많이 다르기 때문이다.

주로 검으로 싸우는 무협 소설과 달리 도검류를 든 사람들은 주인공을 제외하면 아군 마법사진 같은 원딜들을 지키는 탱킹 또는 습격, 소방수담당이라 전투의 주력이라고 할 수는 없다. 도검이 전투의 주역인 무협 소설과 달리 판타지 소설의 전투의 주역은 다용도와 누킹, 화려한 효과담당을 맡는 마법이 담당하는데 이 마법사는 전투 초기에 검을 든 기사와 전사, 무사들을 보내서 어떻게든 쓱삭해서 제거해버리고 전투를 시작하는 게 판타지 소설 전투의 정석(안되면 암살자라도 보내서 뚝배기를 날려버리고 시작하려 한다)이라 그렇게 되어버렸다.

4. 기타



[1] 통신 연재 시절 확장 한자인 罡(U+76F1)을 지원하지 않아서, 비슷한 剛을 쓰기도 했다. 이것 때문에 두 개의 강은 이름만 같지 사실 다른 거라는 설정을 가진 소설도 있다. [2] 물론 여전히 대부분의 작품에서 검강은 초고수의 상징이기에 주인공이 검강을 쓰기 시작하면 검강을 쓰지 못하는 적 캐릭터들은 엑스트라로 전략한다. [3] 나무위키에 문서가 있는 무공으로 예를 들자면 파극심공으로 형성한 강기는 파극마강이라고 부른다거나 자하신공으로 형성한 강기를 자하강기라 부르는 정도. 천마신공의 천마강기나 천살성의 천살강기등 여러 바리에이션이 있다, [4] 예를 들어서 《 묵향》에서 검강이 본격적으로 나오자, 초반에는 검기와 검사 등 조화롭게 쓰고 묘사도 제대로 하였으나, 나중에 묵향의 무공 수준이 많이 오르게 되자, 가면 갈수록 전투장면의 묘사는 "묵향은 검을 신속히 휘두르고 강기 다발을 쏟아냈다."로 때워버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