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18 23:51:07

가위치기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체위와 관련된 단어에 대한 내용은 밴대질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개요2. 특징3. 위험성4. 다른 무술에서5. 대중매체

1. 개요

가노 지고로가 설립한 일본 강도관 도장
가위치기를 시범한다.
蟹挟(かにばさみ)[1]

유도 금지 기술 중 하나다. 금지 이유는 이로 인한 부상 사고가 빈번했기 때문이다.

2. 특징

보통 클린치 상태에서 한쪽 다리를 상대의 복부나 허리에 위치시킨 다음 반대쪽 다리를 상대 무릎 뒤쪽에 깊숙히 집어넣고,[2] 그와 동시에 팔로 바닥을 단단히 짚은 뒤 두 다리를 상대방의 몸에 가위질하듯이 고정시킨 상태에서 온 몸을 상대방의 등쪽으로 뒤틀어 쓰러뜨리는, 모로 누우면서 메치는 기술이다. 개인편차가 있겠지만 연습만 조금 하면 누구나 쉽게 할수있는 간단한 기술이다. -하지만 유도장에서 하면...-

기술의 특징상 두 다리를 모두 봉인해버리기에 되치기를 아예 할 수 없고, 거기에다 한쪽 팔도 봉인해버려서 허리를 틀어 한판만은 면하는 방법이 거의 통하지 않는지라 한판승이 안 나오기가 어려운 기술이다. 즉, 시전하기는 매우 어렵지만 한 번 제대로 걸면 승리는 거의 따놓은 당상이라는 소리다. 그러나 후술하는 것처럼 기술이 제대로 걸리든 걸리지 않든, 피시전자가 부상을 입을 확률이 너무 높기 때문에 금지되었다.

3. 위험성

기습적으로 이 기술에 걸리면 양 다리가 무력화되는지라 균형을 잃고 넘어지게 되어 있는데, 이 과정에서 발목 등에 부상을 입는 경우가 많이 생긴다. 1980년, 전일본 유도 체중별 선수권 대회에서 엔도 스미오(遠藤 純男)가 야마시타 야스히로(山下 泰裕)에게 이 기술을 시전하다 야스히로의 종아리뼈를 부러뜨리는 사고가 일어난 이후 금지되었다.[3]



엔도 스미오가 자신의 다리가 야마시타 야스히로의 다리와 나란히 일직선을 이루는 상황이 아닌 상태에서 성급하게 기술을 시전했고, 게다가 왼팔로 바닥을 짚는데 완전히 실패하는 바람에 몸을 뒤틀어 야스히로의 무게 중심을 뒤로 넘기는 데에 실패했다. 이렇게 기술이 어정쩡하게 걸린 상태에서 바닥을 짚지 못한 스미오는 몸을 옆으로 기울인 채 그대로 바닥에 떨어졌고, 이로 인해 야스히로의 무게 중심은 뒤가 아닌 왼쪽으로 쏠리게 되었다. 이 때 야스히로가 앞으로 무릎을 꿇으면서 자신의 하중과 스미오의 하중이 그대로 야스히로의 종아리에 실리게 되었고, 100kg을 훨씬 초과한 하중을 견디지 못한 야스히로의 종아리뼈는 결국 부러지고 말았다.[4] 위의 영상에서도 볼 수 있지만, 어정쩡한 자세에서 무리하게 기술을 걸었다가 상대방의 다리를 작살낼 확률이 매우 높다. 그리고 경기에서 자신의 힘에 격렬히 저항하는 상대방에게 가위치기를 정석대로 시전하기란 매우 힘든 일이기도 하다. 사실 위 상황은 시전자인 엔도 본인한테도 매우 위험했었는데, 야스히로의 종아리뼈가 먼저 부러지지 않았다면 거꾸로 엔도 본인의 무릎이 작살났을 것이다.

위의 경우는 기술이 제대로 걸리지 않아서 생기는 문제이고, 사실 제대로 걸려도 문제가 될 수 있다. 피시전자는 넘어질 때 온전히 상반신으로만 충격을 받아내야 하기 때문에 턱 당기기 혹은 상체를 웅크리는 등의 낙법에 대한 대비가 없으면 넘어지면서 후두부에 강한 충격이 가해져 뇌진탕을 일으킬 수 있다. 피시전자가 훈련을 받지 않았다면 넘어지면서 무의식적으로 팔을 땅에 짚으려고 하게 되는데, 피시전자가 넘어지는 각도를 조절할 수 없다보니 오히려 짚으려고 한 팔이 부러지는 상황도 나타날 수 있다. 즉 이 기술은 제대로 시전해도 매우 위험하다.

설령 부상을 입을 확률이 낮았다고 해도 기술 자체가 승리를 거의 보장해주는 기술이기에 만약 이 기술이 지금도 여전히 허용되었다면 너도 나도 대회에서 이기기 위해 이 기술을 남용했을지도 모른다. 이는 경기의 질을 떨어뜨릴 뿐만 아니라 유도 정신에도 어긋나므로, 선수들의 안전을 위해서도 있지만 경기의 형평성을 위해서라도 금지되어야 하는 기술이다.

4. 다른 무술에서

종합격투기에서도 드물게 나오는 테이크다운 기술인데, 클린치 상태에서 이걸 썼다가는 역으로 다리를 잡히는 불상사가 생기기 때문에 주로 사용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다만 실패할 시 수세에 몰릴 위험이 많기 때문에 사례는 극히 드물고 반칙기술로 지정한 사례도 거의 없다. 이유는 가위치기자체가 성공할 확률도 드물고, 성공하더라도 서브미션인 레그락(leglock)으로 연결되어야 경기가 끝난다. 애초에 유도 룰에서나 파훼법이 없어서 문제이지 삼보나 MMA라면 이야기가 달라진다

카포에라에도 '치조라 지 코스타스(tesoura de costas; 모로 가위걸기)'라는 이름으로 존재한다.

5. 대중매체

보노보노 너부리가 초반에 상당히 자주 사용한 기술이다. 주 대상은 펭귄과 보노보노.



[1] 직역하면 ' 집게발'. [2] 피시전자가 체급이 많이 나가거나 넘어뜨리기 어려운 경우, 시전자가 두 종아리를 찬다는 느낌으로 걸어야 넘길 수 있다. 이 방법을 쓰면 두 다리로 잡기 → 상반신을 비틀어 넘기기의 2단계 동작을 거의 동시에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후술하는 것처럼 그만큼 피시전자가 넘어지는 것에 대한 대비를 할 수 없게 되어 위험성이 증가한다. [3] 다만 유도의 영향을 받은 러시아의 무술 삼보에서는 지금도 가위치기가 허용된다. 삼보 경기를 보면 가위치기를 시전하는 선수들을 종종 볼 수 있다. [4] 경기 당시 야스히로와 스미오의 체급은 95kg 이상 급이었다. 종아리뼈 골절에서 그친 게 기적이다. 그리고 자세히 보면 발목도 상당히 꺾여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