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공개된
마인크래프트의 모드로,
TrainCraft처럼 마인크래프트 내에서 철도 체계를 구현할 수 있게 해준다.
마인크래프트 내에서 더 현실적인 철도차량을 이용할 수 있는 모드다.
TrainCraft와의 차이점은, 열차의 스케일이 실제와 비슷하고 실제 열차 또는 기타 구성 요소의 3D 모델 파일[1]과 텍스처[2]를 적용할 수 있어 더욱 실감 나는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다.
예시
만약 1.7.10버전에서 프리루트 통합모드 설치기 같은 모드 자동설치 프로그램으로 RTM모드를 설치했다면 NGT 파일이 과거 버전이라 모델팩 적용이 되지 않는다.
모델팩 적용을 원한다면 윈도우의 실행 기능이나 파일 탐색기 주소에 %appdata%를 입력하고 .minecraft\\mod 경로에서 NGT파일이 1.7.10.35 이상인지 확인하고, 아니라면
여기서 Game Version이라고 쓰여있는 곳 중 1.7.10이라고 쓰여있는 문단에 있는 NTG파일을 다운받아 mod파일로 가서 구버젼 NGT파일을 지우고 다운받은걸 집어넣고 모델팩을 넣으면 된다. 자세한 내용은
Real Train Mod/모델 팩 참조.
철도 차량의 연결: 크로우바(Crowbar, 속칭 빠루)를 쥔 채 대차를 오른쪽 클릭하고[14], 철도 차량을 운전하여 연결할 차량에 박으면
연결된다. 보통 4~6량으로 많이 쓰며 연결 가능한 차량 수를 늘리고 싶으면 멀티 시야 청크 설정과 플레이어 시야 청크를 사전에 조정해야한다.[15] 시야가 더 넓을수록, 열차 연결 량수가 더 많을수록 프레임 하락이 있으며 잔렉도 많아질 수 있다. 그리고 너무 빨리 박으면 열차가 겹쳐질 수도 있으니 조절을 잘 할 필요가 있다.
철도 차량의 해방: 연결된 상태에서 크로우바를 쥔 채로 대차를 오른쪽 클릭하면 Deconcatenation 메세지가 출력되며 해방된다.[16]
열차 설정: E 키, 열차 설정 화면에서 출입문 개폐,
집전장치 조작, 안내방송 선택, 행선지 선택, 청크로더 설정[17], 조명 설정 및 편성 정보 조회가 가능하다. 자세한 사항은 아래 항목 참조. 참고로 경적, 안내방송과 같은 일부 설정은 열차 모델에 따라 지원하지 않는 경우가 있음에 유의하자.
조명[일부모델]: 내부 조명[22] 및 전조등/후미등 설정이 가능하며, 버튼을 클릭해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청크로더(Chunkloader): 차량에는 청크로더 기능이 내장되어 있어, 설정된 범위만큼 열차 주변 청크를 상시 로드시킬 수 있다. 차량을 유치한 채로 멀리 이동할 때 이것을 설정하여야만 나중에 해당 차량을 재사용할 수 있다. 만약 그렇지 않다면 좌석이 물음표박스[23]로 변하며 해당 차량은 사용할 수 없게 된다. 최대 주변 8청크까지 로드하게 할 수 있으나, 성능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주변 1청크만 로드하도록 설정하는 것을 권장한다.[24]
출입문 개폐[일부모델]: 한자로
開와
閉가 써진 초록색 네모상자를 마우스 좌클릭. 주의할 점은 대부분의 모델 팩 열차들은 왼쪽 출입문을 열고 닫으려면 오른쪽에 위치한 버튼을, 오른쪽 출입문을 열고 닫으려면 왼쪽에 위치한 버튼을 눌러야 한다. 이렇게 헷갈리게 설계된 이유는 일본의
차장 시스템을 구현한 것이라고.[26]
Real Train Mod 설치 시
NGTLib[28]도 함께 설치해야 한다. 업데이트 날이 같은 버전이어야 한다.[29]
맵을 만들고자 할 때는 동일한 제작자가 만든 MCTE[30]를 추천한다. 월드에딧과 비슷한 용도로 쓰이며, 더 사용하기 쉽다.[31] 거기다 RTM과 같이 쓰는 것을 염두에 뒀기 때문에 RTM과 호환성이 매우 좋다. 다만 에디터로 구역을 설정한 뒤에 설정을 해제하지 않고 게임을 나가면 기능이 먹통이 되어 버리며 게임 종료 후 모드를 재설치해야 된다.
고퀄리티 모드답게 은근히 고사양을 요구한다. 컴퓨터 사양에 따라 다르지만 애드온(모델 팩)을 많이 설치할수록, 모드 블럭을 많이 설치할수록, 열차 연결 량수가 많을수록 성능 하락을 경험할 수 있다. 램 할당을 변경시키면 되지만[32] 그래도 안되면 고사양 컴퓨터로 돌리는 수밖에 없다.[33]
마인크래프트가 로딩된 후 따로 작은 창이 뜨며[34] 적용한 모델 팩의 모델들이 로딩된다. 팩이 많을수록 많게는 몇 분 단위의 시간을 잡아먹는다. 그렇다고 팩 로딩 중에 맵이나 서버를 덜컥 들어가면 로딩되지 않은 모델의 경우는 볼 수도 없고 쓸 수도 없다. 인내심이 요구되는 부분.
분명 Real Train Mod인데
쓸데없이 총이나 비행기, 핵탄두 등이 있다. 이를 이용하여 서버 테러에 악용할 수 있으니 멀티플레이 서버에서는 반드시 사용을 막을 필요가 있다.
아이템 중 Wrench(렌치)를 이용하여 마커를 설치하거나, 선형을 변화시키거나, 궤도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다.
RTM 1.7.10.35 기준으로 열차를 연결한 상태에서 뭔가 잘못되면 편성 정보를 로드하지 못한다. 따라서, 나가기 전 /rtm delAllTrain 명령어(대소문자 구분)를 이용해 모든 열차를 삭제하는 게 좋다.
운전석에 탑승한 상태로 게임에서 나가면 해당 차량이 증발하는 경우가 생긴다. 심하면 맵이 아예 안들어가진다. 반드시 열차에서 내린 상태로 저장하고 끄자.
간혹 월드에 들어가서 처음 열차를 타게 될 경우 마인크래프트가 튕기거나 첫 화면으로 이동되는 버그가 발생할 수 있다. 만약 튕겼다면, 마인크래프트를 재실행하여 다시 차량에 탑승하면 해결되고, 첫 화면으로 이동되었을 때에는 월드에 다시 들어가 차량에 탑승하면 된다.
RTM의 버그로 맵을 다시는 열 수 없게 되는 경우도 있다. 이럴 때 대개
MCEdit 등 외부 맵 에디터로 문제의 청크[35]를 날리면 해결할 수 있다.
급커브 구간 또는 급구배 구간에서 너무 빠른 속도로 운행 시 탈선 사고가 일어날 수 있다.[36]
레일 궤간, 차량에 설치된 대차의 차륜 간격이 서로 일치하지 않아도 운행할 수 있다. 극단적인 예를 들자면, 알웨그 과좌식 모노레일에서 신칸센 차량을 운행할 수 있다.
만약 타인이 만든 애드온(모델 팩)을 사용하거나, 자신이 직접 애드온(모델 팩)을 개발할 예정이라면 특히 저작권에 유의하도록 하자.[37] 이는 꽤 심각한 문제로, 개발자들의 창작 의욕을 저하시켜 개발자 및 사용자 모두에게 피해를 준다. 실제로, 몇몇 비양심적인 인간들의 저작권 위반으로 인하여 관련 커뮤니티가 시끄러워지도 하였다. 만약, 타인의 저작권을 침해한 애드온(모델 팩)을 발견 시, 수정을 유도하고, 해당 애드온(모델 팩) 사용을 자제하도록 하자.
상술한 내용과 마찬가지로 Real Train Mod 및 NGTLib는 재배포가 금지되어 있으니 유의하도록 하자.
오픈 소스이기 때문에 소스 코드를 참고하여 모델 팩 개발에 활용할 수 있다. 다만, 코드를 수정한 후 재컴파일하여 재배포하는 것은 불가능.
간혹 열차의 운전석에서 내리거나 열차를 부술 때 이상한 곳[38]으로 텔레포트 되거나 마인크래프트가 튕기는 경우도 있다. 모드 자체의 오류로, 2020년 3월자 업데이트로 해결되었다.
모드 설치 후 5번 키가 안 눌리는 경우가 있는데, 긴급정차 버튼이 5번 키에 중복 할당되어 발생하는 문제로 설정에서 바꿔주면 된다.
[1]
*.java(Techne), *.obj, *.mqo(
Metasequoia Object), *.ngto(모드 제작자가 제작한 MCTerrianEditor라는 Mod에서 지원하는 블럭 데이터 저장용 포맷으로, *.schematic와 유사하며 기본 열차 모델 중 모1600형 전동차가 이것으로 만든 것이다.)
[2]
*.png
[3]
모델 팩은 버전이 달라도 호환될 수 있지만 모드는 호환이 절대 안 된다. 사용시 주의바람.
[4]
1.10.2버전에서 유일하게 이거 하나만 있다.
[5]
1.7.10은 업데이트 전 차량이였으나 해당 버전 223계 전동차도 리뉴얼 되었다.
[6]
다만 사운드는 0번대의 특징인 도시바 GTO 구동음과 간쿠쾌속 차임이다.
[7]
후술할 카이저 패치를 설치하면 사용가능하다.
[8]
자동차나 버스 같은 경우는 간혹 자동차 아이템에 포함된 경우도 있음.
[9]
경사는 빨간 마커로도 구현이 가능하고 곡선 등 세세한 부분까지 구현할 수 있어서 삭제된 듯 하다.
[10]
|×| 형태의 분기기
[11]
레일이 평면 교차하는 형태의 분기기
[12]
열차 중심을 왼쪽 Shift + 우클릭을 해도 모델 변경이 가능하다.
[13]
제동 부분이 위쪽에, 가속 부분이 아래쪽에 위치한 열차의 조작 레버 형태 때문에 그렇다. 원래 이렇게 운용하는 방법은 원 핸들 사양을 갖춘 열차에게만 해당되고 투 핸들 사양은 운용법이 아예 다른데, 이걸 조작법 단에서 구현한 열차는 현재 존재하지 않는다.
[14]
이때 Concatenation Mode라는 메세지가 출력되면 성공적으로 연결 모드로 진입한 것이다.
[15]
단, 1.7.10 버전 싱글에서는 마인크래프트 클라이언트의 제약으로 인해, 20m급 차량 기준 12량이 한계다.
[16]
그러나 가끔씩 해방시키다가 팅기는 경우가 있다.
[17]
열차를 유치할 때 청크로더를 설정하지 않으면 분홍색 물음표 박스가 생기며 추후 해당 열차를 사용할 수 없게 될 수 있다. 그러니 주의하자.
[일부모델]
지원되는 모델에 한함.
[일부모델]
[일부모델]
[일부모델]
[22]
내부조명은 밝은 공간으로 들어가게 되면 자동으로 소등되고 밝은 곳에서 빠져나오면 다시 점등되며, 낮에는 깜깜한 곳으로 들어가지 않는 이상 점등되지 않는다.
[23]
눈덩이, 달걀 아이템을 물음표박스를 향해 던지거나, 엔티티 삭제 플러그인(또는 모드)로 제거할 수 있다.
[24]
서버 측에서 ForgeChunkLoading 설정을 변경하여 최대 로딩 가능한 청크 반경을 제한할 수 있다.
[일부모델]
[26]
운행방향 뒤쪽을 바라보는 차장 기준으로 생각해보면 정방향이 된다.
[27]
정보 업데이트가 되지 않는다. 참고만 할것.
[28]
API 모드로서, Real Train Mod 및 기타 제작자가 만든 다른 모드가 참조한다.
[29]
그 이상이면 게임 진입은 되나, 정상적인 작동이 안된다.(안정화가 안된다.)
[30]
마인크래프트 지형 에디터의 줄임말.
[31]
마우스로 영역을 선택하고 지우거나 채우는 키를 누르면 끝.
[32]
64비트 자바를 써야한다. 32비트 자바는 램 할당도 안먹고 게임 실행시 바로 튕긴다. 자바 비트 수를 꼭 확인하자.
[33]
만약에 거대한 철도 노선망을 구축하려고 한다면 램이 최소한 16GB 이상이여야 하며 그러한 규모로 서버를 열려면 최소한 32기가는 필요하다. 물론 램 용량은 많을수록 좋다.
[34]
버전마다 모양이 다르다.
[35]
보통 delete entity를 사용한다.
[36]
엄밀히 말하자면, 이동 속도가 너무 빨라 시스템이 레일을 찾을 수 없는 경우가 생기므로, 레일을 찾을 수 없다는 메세지가 뜨면서 열차가 즉시 정지하지만 가끔씩 열차가 날라가는 경우가 종종 있다. 추가로 이건 열차간에 속도 차가 심하거나, 속도가 둘 다 너무 빠를때 충돌해도 자주 그렇다.
[37]
예컨대, 무단 재배포, 무단 수정, 무단
에셋(텍스쳐, 모델, 사운드 등) 및 소스코드 사용 등을 자제해야 하며, 부득이한 경우에도 라이선스를 참고하거나 원작자에게 허락을 받자. 물론 이는 RTM 뿐 아니라 일종의 저작물인 타 모드들에도 해당된다.
[38]
x = 2147483647, z = 2147483647
[39]
한국인 유저들은 보통 카이저패치라고 읽는다.
[40]
캔트 조절 기능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