콜드웰 천체 목록 Caldwell catalog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1 |
C2 |
C3 | C4 | C5 | C6 | C7 | C8 | C9 | C10 |
C11 | C12 | C13 | C14 | C15 | C16 | C17 | C18 | C19 | C20 | |
C21 | C22 | C23 | C24 | C25 | C26 | C27 | C28 | C29 | C30 | |
C31 | C32 | C33 | C34 | C35 | C36 | C37 | C38 | C39 | C40 | |
C41 | C42 | C43 | C44 | C45 | C46 | C47 | C48 | C49 | C50 | |
C51 | C52 | C53 | C54 | C55 | C56 | C57 | C58 | C59 | C60 | |
C61 | C62 | C63 | C64 | C65 | C66 | C67 | C68 | C69 | C70 | |
C71 | C72 | C73 | C74 | C75 | C76 | C77 | C78 | C79 | C80 | |
C81 | C82 | C83 | C84 | C85 | C86 | C87 | C88 | C89 | C90 | |
C91 | C92 | C93 | C94 | C95 | C96 | C97 | C98 | C99 | C100 | |
C101 | C102 | C103 | C104 | C105 | C106 | C107 | C108 | C109 | ||
※ 붉은색 바탕은 성단, 노란색 바탕은 성운, 푸른색 바탕은 은하.
|
콜드웰 천체 | ||||
C 91 용골자리의 산개성단 |
← |
C 92 용골자리의 발광성운 |
→ |
C 93 공작자리의 구상성단 |
NGC 천체 | ||||
NGC 3371 사자자리의 렌즈형 은하 |
← |
NGC 3372 용골자리의 발광성운 |
→ |
NGC 3373 사자자리의 나선은하 |
용골자리 성운의 다른 천체 목록 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RCW 천체 | ||||
RCW 52 용골자리의 발광성운 |
← |
RCW 53 용골자리의 발광성운 |
→ |
RCW 54 용골자리의 발광성운 |
Gum 천체 | ||||
Gum 32 용골자리의 발광성운 |
← |
Gum 33 용골자리의 발광성운 |
→ |
Gum 34 용골자리의 발광성운[1] |
NGC 3372 용골자리 성운 Carina Nebula |
||
|
||
관측 정보 | ||
위치 | 적경 | 10h 45m 08.5s |
적위 | -59° 52′ 00″ | |
별자리 | 용골자리 | |
겉보기 등급 | +1.0 | |
절대 등급 | -13.65 | |
물리적 성질 | ||
형태 |
전리수소영역 발광 성운 |
|
거리 |
8,500
광년 2,600 파섹 |
|
지름 | 65 광년 | |
질량 | 9x105M⊙ | |
겉보기 크기 | 120'x120' | |
명칭 | ||
NGC 3372, Carina Nebula, Eta Carinae Nebula, Grand Nebula, Great Nebula in Carina, Caldwell 92, GC 2197, ESO 128-EN013 |
1. 개요
NGC 3372 / Carina Nebula용골자리 성운은 용골자리에 위치한 거대한 전리수소영역이자 발광성운이다.
1751년 프랑스의 천문학자 루이 드 라카유가 발견하였다. 천구에서 손에 꼽히는 영역을 가진 발광성운이고 대략 보름달 8개 정도의 영역을 가지고 있다. 또 오리온 성운보다 밝고 화려하지만 남반구에 위치하다보니 유명세는 덜 하다.
대부분 용골자리 에타가 워낙 스케일이 크고 저 성운을 만든 것으로 오해를 하는 사람이 있는데, 용골자리 에타는 저 성운에서 탄생한 별이다.
용골자리 에타는 300만 년전에 탄생 했는데 이를 역으로 보자면 저 성운은 용골자리 에타가 탄생한 300만 년 보다 훨씬 이전인 최소 몇 천만~ 억년 전에 여러 극대거성 및 초거성과 볼프-레이에별 등이 초신성 폭발을 일으켜 만들어 낸 성운이란 것이다. 그러니 이걸 보고 오해를 풀기 바란다. 다만 용골자리 에타는 호문쿨러스 성운을 만들었다.
용골자리 성운 내부엔 후술할 모든 구성 천체를 포함하고 있는 용골자리 OB1 성협이 있으며 이 성협은 70광년 크기의, 우리 은하에서 가장 밝고 거대한 OB 성협이다.
별 형성은 성운 내부의 성단들의 나이를 고려할 때 외부에서 중심방향으로 별 형성이 일어났던 것으로 추정되며 고질량 항성들의 형성은 거의 끝났다고 추정된다고 한다.[2]
2. 역사
1752년 1월 25일 프랑스의 천문학자 니콜라 루이 드 라카유(Nicolas Louis de Lacaille)가 남아프리카 희망봉에서 처음 발견하였다.발견 후 그의 개인 기록에 Lac lll.5[3][4]와 Lac lll.6[5]으로 기록되었다.
후에 Lac lll.5는 로날드 스토얀(Ronald Stoyan)이란 학자가 훗날 Collinder 228로 지정된 산개성단을 기록했다는 것을 입증했다.
1826년 4월 4일 스코틀랜드 출신의 천문학자 제임스 던롭(James Dunlop)이 관측 후 기록을 남겼고 또 영국의 천문학자 존 허셜로 기록 미상의 날짜에 용골자리 성운을 관측했다는 기록을 남겼다.
1841년 용골자리 성운 내의 극대거성 용골자리 에타(ηCar)가 폭발을 일으켜 호문클루스 성운을 만들었다.
2022년 7월 13일에는 NASA에서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을 통해 포착한 NGC 3324의 서쪽부분의 사진을 공개하였다.
[출처]
3. 특징
|
전리수소영역이다보니 내부에서 별 생성도 활발하며 여러 산개성단이 모여 있다. 또 성운의 질량이 많다보니 거대한 별도 많은 편인데 우리 은하에서 가장 밝은 축에 속하는 울프-레이에별 중 하나인 WR 25를 비롯, 그 유명한 용골자리 에타가 속해 있다.
4. 내부 천체
4.1. 용골자리 에타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text-align: center;"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50%; min-height: 2em;" {{{#!folding [ 항성 ] {{{#!wiki style="margin: -5px 0; letter-spacing: -1px;" |
바이어 명칭 순 | |||
알파성 카노푸스 Canopus |
베타성 미아플라시두스 Miaplacidus |
엡실론성 아비오르 Avior |
이오타성 아스피디스케 Aspidiske |
|
에타성 용골자리 에타 η Car |
세타성 용골자리 세타 θ Car |
카이성 용골자리 카이 χ Car |
오메가성 용골자리 오메가 ω Car |
|
플램스티드 명칭 순 | ||||
용골자리 1 |
용골자리 2 |
용골자리 3 |
용골자리 4 | |
용골자리 5 |
용골자리 6 |
용골자리 7 |
용골자리 8 | |
그 외 용골자리에 속한 항성 | ||||
OGLE-TR-122b | - | - | - |
}}}
- [ 심원천체 ]
틀:별자리 · 용골자리 · 천문학 관련 정보 |
η Car 용골자리 에타 η Carinae |
||
<nopad>
|
||
관측 정보 | ||
위치 | 적경 | 10h 45m 03.591s |
적위 | -59° 41′ 04.26″ | |
별자리 | 용골자리 | |
물리적 성질 | ||
형태 |
A:
밝은 청색 변광성 B: O형 주계열성[7] |
|
분광형 |
A:
LBV B: O |
|
거리 |
7,500
광년 2,300 파섹 |
|
반지름 |
A: ~240 혹은 60~742
R⊙ B: 14.3~23.6 R⊙ |
|
질량 |
A: ~100
M⊙ B: 30~80 M⊙ |
|
평균 온도 |
A: 9,470~35,200
K B: 37,200 K |
|
나이 | 3백만 년 이하 | |
운동 | 시선속도 | -125 km/s |
자전 속도 | - | |
광학적 성질 | ||
겉보기 등급 | 4.2 | |
절대 등급 | -8.6 | |
광도 |
A: 4,000,000
L⊙ B: 1,000,000 L⊙ 이하 |
|
명칭 | ||
Foramen, Tseen She, 231 G Carinae, HR 4210, HD 93308, CD−59°2620, IRAS 10431-5925, GC 14799, AAVSO 1041–59 |
4.1.1. 개요
용골자리 에타용골자리 에타는 용골자리 성운 내부에 있는 밝은 청색 변광성과 O형 주계열성으로 구성된 항성계이다.
4.1.2. 상세
용골자리 성운 내부에 있는 성단인 트럼플러 14 성단에 포함되어 있으며 우주에서 가장 극단적인 별로 유명한 용골자리 에타A가 포함되어 있다.1837년 이전까진 4등급의 별 볼일 없는 별로 취급받았지만 1837년에 한순간에 0등급까지 밝아지는, 흔히 대분화라고 불리는 기현상이 발생했고 결국 1843년 3월 11일에 겉보기 등급 -0.86[8][9]까지 가면서 기어이 카노푸스까지 뛰어넘으며 시리우스에 이은 2번째로 밝은 항성이 되었다. 그러나 1857년 이후론 급격히 낮아져 1886년에는 7.6등급까지 떨어졌다. 그나마 1940년 이후 서서히 밝기가 증가해 현재는 4.3등급의 겉보기 등급을 가지고 있을 정도로 겉보기 등급이 증가했다.[10][11]
또한 호문쿨루스 성운 외곽에는 대분화 이전에 한번 더 분출을 했을 때 발생한 가스들이 존재한다는 것이 밝혀졌는데 이 가스의 팽창속도를 가지고 계산했을 때 적어도 1250년 전후로 한번 더 대분화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런 대분화가 일어난 이유는 아직까지도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으며 용골자리 에타 A가 은하 1개에 한두개 있을 정도로 매우 희귀한 항성이기 때문에 알려진 매커니즘도 거의 없다.[12] 하지만 쌍성[13]과의 충돌이나 용골자리 에타 B로부터의 물질 흡수, 맥동 쌍불안정성 폭발[14]등의 가설들이 거론되곤 한다.
현재 2개의 별이 발견되었으며 서로 5.54년을 주기로 서로 공전하고 있는 중이다.
|
|
용골자리 에타와 동반성의 크기와 궤도 |
4.1.2.1. 용골자리 에타 A
먼저 용골자리 에타 A는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용골자리 에타로 태양의 500만 배의 광도를 가진, 대부분의 항성들과는 비교조차 되지 않는 밝기와 질량을 가지고 있다.용골자리 에타 A는 현재 약 약 100 태양질량[15]을 가진 매우 큰 항성으로 이는 우리 은하에서 최소 10위권 안에는 드는 어마무시하게 큰 항성이지만 충격적이게도 원래 질량은 최대 250 태양질량으로 예상되는 중이고 현재까지 계속 가스가 빠져나가 100 태양질량까지 질량이 줄어든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 용골자리 에타 A는 수소와 헬륨을 모두 소진한 뒤 볼프-레이에별로 진화하면서 산소로 핵융합을 하는 WO형 볼프-레이에별까지 도달한 뒤 극초신성이나 초신성으로 폭발할 것으로 추정된다.[16]
초신성 폭발 이후도 아직까진 정확하게 알려지지 않았는데 초신성 폭발 자체가 금속성이 고려되지만 아직 용골자리 에타 A의 금속성이 밝혀지지 않았다. 만약 금속성이 태양보다 낮을 경우 쌍불안정성 초신성이 일어나며 그 자리엔 아무것도 남지 않고, 만약 금속성이 태양보다 약간 더 높을 경우 Ib 또는 Ic 유형의 초신성이 일어나며 방사선의 운동에너지로 인해 일반적인 초신성보다 몇배 더 밝고 오래 지속될 것으로 추정된다.[17]
베텔게우스의 초신성 문서에도 있듯 초신성이 발생한다고 해서 지구에 직접적인 피해를 끼칠 정도로 거리가 가깝지도 않고 에너지가 가장 집중되는 항성의 극축도 용골자리 에타 A는 지구 근처를 향하고 있지 않다는 연구가 나왔으므로 걱정할 필요는 없다.[18] 그리고 만약 폭발할 경우 대한민국에선 그 장관을 볼 수는 없지만 남반구에선 약 6개월동안 보름달보다 더 밝게 빛나다가 짧지만 강력했던 삶을 마감할 것으로 추정된다.
반지름은 23.6 태양반지름으로 알려져 있지만 용골자리 에타 A가 너무나 강한 항성풍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별 표면과는 매우 다른 표면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성간 우주와 별 사이의 경계를 특정할 수 없지만 물리적 표면이라고 할 수 있는 반지름은 대략 60 태양반지름이라고 한다. 참고로 대분출이 절정에 이르렀을 때는 그 유명한 큰개자리 VY와 거의 맞먹는 약 1,400 태양 반지름을 가질 정도로 매우 팽창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항성 분류는 밝은 청색변광성으로 추정되나 1800년대 중반에 발생한 대분화처럼 급격한 밝기 증가현상은 백조자리 P등의 매우 극소수의 밝은 청색변광성에서만 발견되었으며 애초에 용골자리 에타 A가 다른 어떤 밝은 청색변광성보다 차이가 날 정도로 밝기 때문에 밝은 청색변광성에 속하는지도 의문이다.
직경은 태양의 100~881배나 크다.
4.1.2.2. 용골자리 에타 B
용골자리 에타 B는 O형 주계열성으로 추정되는 항성[19]으로 용골자리 에타 A에 묻혀 연구가 잘 진행되지 않았기도 하고 애초에 용골자리 에타 A와 용골자리 에타 B를 개별적으로 분리해서 관측하는것이 아직까진 불가능하기 때문에 자세한 것이 알려지지 않은 항성이다.태양질량의 80에서 90배의 질량을 가진 것으로 추정되며 용골자리 에타 A에 비해선 작은 양이지만 지금도 엄청난 양의 가스를 분출하고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4.1.2.3. 여담
여담으로 용골자리 에타와 거의 같은 위치에 복사점이 있는 용골자리 에타 유성우가 있다.이 유성우는 매년 1월 14일부터 27일까지 지속되며 1월 21일에 가장 많은 유성우를 관측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유성우의 개수는 시간당 두세개로 알려져 있다.
4.1.3. 호문쿨루스 성운
호문쿨루스 성운 Homunculus Nebula |
||
관측 정보 | ||
위치 | 적경 | 10h 45m 03.6s |
적위 | −59° 41′ 04″ | |
별자리 | 용골자리 | |
물리적 성질 | ||
형태 | 발광성운및 반사성운 | |
거리 |
7,500
광년 2,300 파섹 |
|
광학적 성질 | ||
겉보기 등급 | 6.21 | |
규모 | ||
크기 | 18' | |
지름 | 0.58 광년 | |
명칭 | ||
호문쿨루스 성운 |
4.1.3.1. 개요
호문쿨루스 성운호문쿨루스 성운은 용골자리 에타가 만들어낸 쌍극형 발광성운 또는 반사성운이다.
4.1.3.2. 상세
1944년에 발견되었으며 1800년대 중반 발생한 대분화로 인해 생겨났다고 추정되고 대부분의 빛은 적외선 파장에서 관측된다.북서쪽과 남서쪽에 총 2개의 엽이 있으며 총 질량은 40 태양질량에 육박한다. 그리고 두 엽의 극쪽에는 지구에서 관측했을 때 움푹 파인 것처럼 생긴 공이 있는데 이것이 실제로 뚫려있는 구멍인지 단순히 움푹 파인 곳인지는 알려지지 않았다고 한다. 또한 두 엽 사이엔 특정 파장으로만 관측할 수 있는 돌출부가 있는데 이 돌출부는 두 엽에 비해 먼지와 분자수소가 부족한 것이 밝혀졌다.
이런 형태가 만들어진 이유는 용골자리 에타 A가 폭발할 때 주변 물질과의 끼임 또는 용골자리 에타를 구성하는 별들의 상호작용과 궤도 운동 때문이라고 추정되나 아직까지 자세하게 밝혀진 것은 없다.
4.2. NGC 3293/RCW 51
NGC 3293의 천체 목록 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NGC 천체 | ||||
NGC 3292 육분의자리의 렌즈형은하 |
← |
NGC 3293 용골자리의 산개성단 |
→ |
NGC 3294 작은사자자리의 중간나선은하 |
콜린더 천체 | ||||
Cr 223 용골자리의 산개성단 |
← |
Cr 224 용골자리의 산개성단 |
→ |
Cr 225 용골자리의 산개성단 |
멜로테 천체 | ||||
Mel 99 돛자리의 구상성단 |
← |
Mel 100 용골자리의 산개성단 |
→ |
Mel 101 용골자리의 산개성단 |
RCW 51의 천체 목록 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RCW 천체 | ||||
RCW 50 용골자리의 발광성운 |
← |
RCW 51 용골자리의 발광성운 |
→ |
RCW 52 용골자리의 발광성운 |
Gum 천체 | ||||
Gum 29 용골자리의 발광성운 |
← |
Gum 30 용골자리의 발광성운 |
→ |
Gum 31 용골자리의 발광성운 |
NGC 3293 | ||
|
||
[20] | ||
관측 정보 | ||
위치 | 적경 | 10h 35m 24s |
적위 | −58° 14′ | |
별자리 | 용골자리 | |
겉보기 등급 | 4.7 | |
물리적 성질 | ||
형태 |
NGC 3293:
산개성단 RCW 51: 발광성운 |
|
거리 |
8,400
광년 2,590 파섹 |
|
지름 | 13.2 광년 | |
겉보기 크기 | 8.2' | |
명칭 | ||
NGC 3324: Cr 224, Mel 100 | ||
RCW 51: Gum 30 |
4.2.1. 개요
NGC 3293/RCW 51NGC 3293과 RCW 51은 용골자리 성운 내부의 산개성단 및 발광성운이다.
4.2.2. 상세
1751년 프랑스의 천문학자인 니콜라 루이 드 르카유에 의해 발견되었으며 100개가 넘는 별들로 이루어진 보통 크기의 산개성단이다.이 100개의 항성중에는 성단 중에서 가장 밝은, 겉보기 등급이 6등급 정도 되는 두 청색 초거성이 있으며 맥동변광성 적색초거성인 용골자리 V361도 포함되어 있다. 성단의 항성들은 대략 1,200만년의 나이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상술한 NGC 3324와 거의 같다. 그때문에 천문학자들은 두 성단은 서로 밀접하게 관련이 있을 것이라고 추정한다.
성단 주위에는 마치 모자처럼 생긴 발광성운과 반사성운으로 구성된 RCW 51이 있으며 성단의 위쪽에 몰려있다.
4.3. NGC 3324/IC 2599
NGC 3324의 천체 목록 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NGC 천체 | ||||
NGC 3323 작은사자자리의 막대나선은하 |
← |
NGC 3324 용골자리의 산개성단 |
→ |
NGC 3325 육분의자리의 타원은하 |
콜린더 천체 | ||||
Cr 224 용골자리의 산개성단 |
← |
Cr 225 용골자리의 산개성단 |
→ |
Cr 226 돛자리의 산개성단 |
IC 2599의 천체 목록 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C 천체 | ||||
IC 2598 작은사자자리의 막대나선은하 |
← |
IC 2599 용골자리의 발광성운 |
→ |
IC 2600 큰곰자리의 은하[21] |
Gum 천체 | ||||
Gum 30 용골자리의 발광성운 |
← |
Gum 31 용골자리의 발광성운 |
→ |
Gum 32 용골자리의 발광성운 |
NGC 3324/IC 2599 | ||
|
||
관측 정보 | ||
위치 | 적경 | 10h 37m 20s |
적위 | −58° 38′ 30″ | |
별자리 | 용골자리 | |
겉보기 등급 | 6.7 | |
물리적 성질 | ||
형태 |
NGC 3324:
산개성단 IC 2599: 발광성운 |
|
거리 |
9,100
광년 2,800 파섹 |
|
지름 | 13.4 광년 | |
겉보기 크기 | 11' | |
명칭 | ||
NGC 3324: ESO 128-EN006 , Cr 225 , Lund 552 , h 3286 , GC 2167 , C 1035-583 , OCl 819.0 , KPR2004b 254 , KPS2012 MWSC 1830 | ||
IC 2599: Gum 31, Ced 108 |
4.3.1. 개요
NGC 3324와 IC 2599는 용골자리 성운 북서쪽에 있는 산개성단 및 발광성운이다.4.3.2. 상세
종종 칠레의 한 시인의 이름에서 따온 가브리엘라 미스트랄 성운으로도 불리며 1826년 제임스 던롭이 처음으로 발견했다.발광성운인 Gum 31또는 IC 2599에 둘러싸여 있으며 이 성운에서 약 1,200만년전 생겨났다고 추정되는 중이다.
주로 뜨겁고 매우 큰 항성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중에는 적색초거성이나 청색초거성도 포함되어 있다. 이들의 강한 항성풍은 지금도 가스들을 흩어지게 하고 있으며 성운을 이온화시키고 있다.
북서쪽에 있는 또다른 성단인 NGC 3293와 관련이 있으며 두 성운 모두 질량분리[22]를 겪었으며 나이도 1,200만년으로 동일하다.
여담으로 제임스웹 우주 망원경이 촬영한 용골자리 성운의 사진이 용골자리 성운 본체가 아니라 이곳의 서쪽부근에서 촬영되었다.
4.4. RCW 52
RCW 천체 | ||||
RCW 51 용골자리의 발광성운 |
← |
RCW 52 용골자리의 발광성운 |
→ |
RCW 53 용골자리의 발광성운 |
Gum 천체 | ||||
Gum 31 용골자리의 발광성운 |
← |
Gum 32 용골자리의 발광성운 |
→ |
Gum 33 용골자리의 발광성운 |
RCW 52 | ||
관측 정보 | ||
위치 | 적경 | 10h 46m 11.5s |
적위 | −58° 39′ 12″ | |
별자리 | 용골자리 | |
물리적 성질 | ||
형태 |
발광성운 전리수소영역 |
|
거리 |
10,000
광년 3,070 파섹[23] |
|
광학적 성질 | ||
겉보기 등급 | -[24] | |
규모 | ||
크기 | 8' X 8' | |
명칭 | ||
RCW 52, Gum 32 |
4.4.1. 개요
RCW 52/Gum 32RCW 52는 용골자리 성운의 북쪽에 위치한 작은 발광성운이다.
4.4.2. 상세
중심에 있는 O형 주계열성인 LSS 1887와 2개의 B형 주계열성에 의해 이온화되며 중심에선 Oii(이중 전리 산소)와 전리수소, 일산화질소 등이 발견되어 별 형성이 일어나고 있는 것이 밝혀졌다.거리 추정치가 2개 존재하지만, 확실하게 어떤 추정치가 실제와 동일한지는 밝혀지지 않았다. 먼저 첫번째 추정치는 10,000 광년 떨어져 있을 것으로 추정하는 추정치로 이 경우 RCW 52는 용골자리 성운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을 것이다. 2번째 추정치는 17,900 광년 떨어져 있을 것으로 추정하며 이 추정치가 맞을 경우 RCW 52는 용골자리 성운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을 것이다.
4.5. 트럼플러 14
트럼플러 천체 | ||||
Tr 13 용골자리의 산개성단 |
← |
Tr 14 용골자리의 산개성단 |
→ |
Tr 15 용골자리의 산개성단 |
콜린더 천체 | ||||
Cr 229 용골자리의 산개성단 |
← |
Cr 230 용골자리의 산개성단 |
→ |
Cr 231 용골자리의 산개성단 |
트럼플러 14 Tr 14 |
||
관측 정보 | ||
위치 | 적경 | 10h 43m 56s |
적위 | −59° 33′ 00″ | |
별자리 | 용골자리 | |
겉보기 등급 | 5.5 | |
물리적 성질 | ||
형태 | 산개성단 | |
거리 |
8,980
광년 2,753 파섹 |
|
규모 | ||
겉보기 크기 | - | |
지름 | 6 광년 | |
명칭 | ||
Tr 14, Cr 230 , C 1041-593 , Cl VDBH 102 , DBS2003 54 , KPR2004b 263 , KPS201 MWSC 1846 |
4.5.1. 개요
트럼플러 14/Cr 230
트럼플러 14는 용골자리 성단 내부의 산개성단이다.
4.5.2. 상세
직경 6광년의 대규모 성단으로 용골자리 OB1 성협의 대표적인 밝은 성단이자 현재 우리 은하에서 가장 밝고 무거운 산개성단중 하나이다.무려 2000여개의 항성들이 발견되었으며 나이는 R136의 두세배인 300~500만년이다.
평균적인 별들의 질량이 태양질량의 10배 이상이며 그중 가장 밝고 무거운 항성인 HD 93129는 삼중성계로 각각 태양질량의 110배, 70배, 52배의 O형 주계열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외에도 O3.5의 스펙트럼 유형을 가진 HD 93128이 속해 있다.
수백만년 뒤에는 성단의 별들이 연이어 초신성을 일으킬 것으로 추정되고 그 초신성은 다시 새로운 항성들을 만들어 낼 것이다.
참고로 사진 중간의 매우 불편한(?) 검은 천체는 보크 구상체이다.
4.6. 트럼플러 15
트럼플러 천체 | ||||
Tr 14 용골자리의 산개성단 |
← |
Tr 15 용골자리의 산개성단 |
→ |
Tr 16 용골자리의 산개성단 |
콜린더 천체 | ||||
Cr 230 용골자리의 산개성단 |
← |
Cr 231 용골자리의 산개성단 |
→ |
Cr 232 용골자리의 산개성단 |
트럼플러 15 Tr 15 |
||
관측 정보 | ||
위치 | 적경 | 10h 44m 43s |
적위 | −59° 22.0′ | |
별자리 | 용골자리 | |
겉보기 등급 | 7.0 | |
물리적 성질 | ||
형태 | 산개성단 | |
거리 |
8,600
광년 2,600 파섹 |
|
규모 | ||
겉보기 크기 | 6' | |
지름 | 6 광년 | |
명칭 | ||
Tr 15, Cr 231 , C 1041-591 |
4.6.1. 개요
트럼플러 15/Cr 231
트럼플러 15는 용골자리 성단 내부의 산개성단이다.
4.6.2. 상세
용골자리 성운 외곽에 있으며 같은 성운에 있는 트럼플러 14와 트럼플러 16보단 덜하지만 우리은하에서 적어도 100위권 안에는 들 정도로 무거운 성단으로 나이는 두 성단보다 약간 더 오래되었다고 추정된다. 나이가 상대적으로 오래된 만큼 질량분리를 겪었었다고 한다.처음에는 거리측정이 어려워 개별적인 성단으로 분류되었었던 적도 있지만 거리가 8,600 광년으로 용골자리 성운과 동일하단 것이 밝혀졌기 때문에 성운에 속한 성단으로 정정되었다.
찬드라 X선 망원경을 이용한 관측에서 트럼플러 14의 외부 영역이 2 파섹 이상으로 이는 트럼플러 15까지 연결되어 있다는 결과가 나왔다.
4.7. 트럼플러 16
트럼플러 천체 | ||||
Tr 15 용골자리의 산개성단 |
← |
Tr 16 용골자리의 산개성단 |
→ |
Tr 17 용골자리의 산개성단 |
콜린더 천체 | ||||
Cr 232 용골자리의 산개성단 |
← |
Cr 233 용골자리의 산개성단 |
→ |
Cr 234 용골자리의 산개성단 |
Cr 233 용골자리의 산개성단 |
← |
Cr 234 용골자리의 산개성단 |
→ |
Cr 235 용골자리의 산개성단 |
트럼플러 16 Tr 16 |
||
[25] | ||
관측 정보 | ||
위치 | 적경 | 10h 45m 10s |
적위 | −59° 43′ 00″ | |
별자리 | 용골자리 | |
겉보기 등급 | 5.0 | |
물리적 성질 | ||
형태 | 산개성단 | |
거리 |
9,270
광년 2,842 파섹 |
|
규모 | ||
겉보기 크기 | 7.3' | |
지름 | - | |
명칭 | ||
Tr 16, Cr 233,234,[26] C 1043-594, Cl VDBH 105, OCl 829.0, KPR2004b 265, KPS2012 MWSC 1850 |
4.7.1. 개요
트럼플러 16/Cr 234트럼플러 16은 용골자리 성운에서 가장 거대한 산개성단이다.
4.7.2. 상세
우리 은하에서 가장 밝은 산개성단중 하나로 총합 560개의 수많은 B형 주계열성과 O형 주계열성, 3개의 볼프 레이에별과 용골자리 에타를 포함하는 산개성단이다.300만년 이내에 생성되었으며[27] 이후 수백만년 안에 수많은 별들이 초신성을 일으킬 것으로 추정된다.
가장 밝은 별은 단연 용골자리 에타로 2번째로 밝은 항성인 WR 25보다 460만배의 밝기를 가져 압도적인 밝기와 질량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이 얘기는 가시광선파장의 얘기로 자외선 파장을 넘어가면 WR 25가 용골자리 에타보다 더 밝다.
이외에도 HD 93250, 용골자리 V560등의 우주에서 눈에 띌 만큼 밝은 항성들이 있으며 이외에도 수많은 O형 주계열성과 B형 주계열성이 성단에 속한다.
수백만년 후 발생할 용골자리 에타의 초신성 이후 점차 사라질 것으로 추정되며 그 자리엔 또 새로운 별들이 탄생될 것이다.
4.8. Cr 228
콜린더 천체 | ||||
Cr 227 용골자리의 산개성단 |
← |
Cr 228 용골자리의 산개성단 |
→ |
Cr 229 용골자리의 산개성단 |
Cr 228 | ||
관측 정보 | ||
위치 | 적경 | 10h 44m 00.0s |
적위 | −60° 05′ 12″ | |
별자리 | 용골자리 | |
겉보기 등급 | 4.4 | |
물리적 성질 | ||
형태 | 산개성단 | |
거리 |
8,600
광년 2,600 파섹 |
|
규모 | ||
겉보기 크기 | 14' | |
명칭 | ||
Cr 228, OCI 828.0, MWSC 1845, C 1041-597, KPR2004b 262 |
4.8.1. 개요
Cr 228은 용골자리 성운 내부의 산개성단이다.
4.8.2. 상세
상술한 트럼플러 14, 15, 16과는 다르게 성운의 남쪽 부근에 위치해 있으며 최근 수백만년 안에 형성되었으리라고 추정되고 있는 중이다. 하지만 트럼플러 16과 서로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사실일 경우 사실상 Cr 228과 트럼플러 16은 같은 성단이라고 할 수 있다.내부 구성원중에 가장 유명한 별은 볼프 레이에별인 WR 24로 용골자리 성운에서 용골자리 에타에 이어 2번째로 밝은 항성이며 질량은 용골자리 에타보다 14% 더 많다.[28]
4.9. Cr 232
콜린더 천체 | ||||
Cr 231 용골자리의 산개성단 |
← |
Cr 232 용골자리의 산개성단 |
→ |
Cr 233 용골자리의 산개성단 |
Cr 232 | ||
관측 정보 | ||
위치 | 적경 | 10h 44m 39s |
적위 | −59° 33′ 36″ | |
별자리 | 용골자리 | |
겉보기 등급 | 6.8 | |
물리적 성질 | ||
형태 | 산개성단 | |
거리 |
8,600
광년 2,600 파섹 |
|
규모 | ||
겉보기 크기 | ? | |
명칭 | ||
Cr 232 |
4.9.1. 개요
Cr 232은 용골자리 성운 내부의 산개성단이다.
4.9.2. 상세
트럼플러 15와 트럼플러 16 사이에 위치해 있으나 두 성단보다는 트럼플러 14와 연관되어 있을 것으로 추정되며 나이도 트럼플러 14와 거의 동일한 것이 밝혀졌다.[29]성단 내부에서 가장 밝은 별은 O형 주계열성인 HD 93250과 HD 303311으로 이중 HD 93250은 용골자리 성운에서 가장 밝은 X선 소스이다.
4.10. 열쇠구멍 성운
|
열쇠구멍 성운의 사진 |
열쇠구멍 성운은 용골자리 성운 내부의 어두운 가스 구름으로 뜨겁고 자체적으로 빛나는 필라멘트가 포함되어 있다.
열쇠구멍 성운이란 명칭은 미국의 과학잡지였던 애플턴의 저널에서 처음 사용되었으며 그전까진 존 허셜이 처음으로 사용했었던 렘니스케이트[30] 타원형 진공이라는 이름을 썼었다.
이런 독특한 모양은 어두운 가스구름과 이온화 가스 필라멘트가 충돌하면서 발생되었고 용골자리 에타의 항성풍도 어느정도 영향을 끼쳤다고 추정된다.
4.11. 신비한 산
|
신비한 산의 사진이자 허블 우주 망원경의 20주년 기념 사진 |
용골자리 성운의 외곽에 있는 지역으로 허블 우주 망원경의 20주년 기념 사진으로 유명한 천체이다.
직경은 약 3광년이고 신비한 산이란 이름은 H.P. 러브크래프트의 소설에서 따왔다.
이 성운에는 막 생성되고 있는 원시별들이 이온화한 가스들이 만들어낸 제트가 주변 먼지구름과 엄청난 속도로 충돌하면서 발생하는 허빅-아로 천체가 있다.[31]
여담으로 모습이 창조의 기둥과 비슷해 헷갈려 하는 사람들이 다수 있는데 창조의 기둥은 수리 성운에 있는 다른 성운이다.
4.12. 신의 손가락
|
신의 손가락의 사진 |
용골자리 성운 내부의 보크 구상체로 볼프-레이에별인 Trumpler 16-244에 의해 이온화되고 있다. 신의 손가락이란 명칭은 모양이 손가락을 닮았기 때문에 붙었다.[32]
여타 다른 보크 구상체처럼 20만년에서 100만년 사이에 사라질 것으로 추정된다.
4.13. 기타
이외에도 성단에 속하지는 않지만 수십만개는 족히 넘는 수많은 항성들이 이 성운에서 생겨났으며 그중에는 WR 22, HD 93129등의 볼프-레이에별과 O형 주계열성도 포함되어 있다. 물론 지금도 원시별이 태어나고 전주계열성이 주계열성으로 진화하는 등 폭발적인 별 형성활동을 이어가고 있다.5. 위치 및 찾는 방법
적위가 대략 -60°로 국내에서는 관측 할 수 없다. 적위가 더 높은 용골자리 알파 카노푸스가 제주도에서 간신히 보이기 때문. 남반구에서 관측한다면 카노푸스와 남십자성 사이의 용골자리 성운을 쉽게 찾을 수 있다.
여담으로 남쪽에는 남쪽 플레이아데스 성단, 동쪽에는 소원의 우물 성단, 서쪽에는 밝은 성단인 NGC 3114가 있다.
6. 관련 문서
[1]
Gum 목록에는 Gum 34a와 Gum 34b로 나누어 등재되어 있다.
[2]
용골자리 에타처럼 질량이 무지막지하게 큰 별들은 현재 형성이 끝났지만 일반
O형 주계열성등의
주계열성들은 폭발적으로 형성되고 있다.
[3]
용골자리 성운 내의 산개성단인 Collinder 228을 가리킨다
[4]
두 개의 작은 별을 성운끼가 감싸고 있다
[5]
"수 많은 작은 별들로 이루어진 큰 무리들, 거의 압축되지 않고 직경 15'~20'의 반원형의 공간을 약간의 성운끼가 꽉 차있다
[출처]
https://www.nasa.gov/image-feature/goddard/2022/nasa-s-webb-reveals-cosmic-cliffs-glittering-landscape-of-star-birth
[7]
볼프-레이에별일 가능성이 존재한다.
[8]
1845년에 -1.0 등급까지 갔다는 연구도 있다.
[9]
절대 등급이 무려 -15.51에 달한다.
[10]
1892년에 한번 더 폭발로 추정되는 현상이 일어났으나 6.0 등급까지 밝아지고 다시 기존 등급으로 돌아갔다. 이 폭발은 첫번째 폭발과 밝기는 일치했지만 폭발로 생긴 잔해인 호문쿨루스 성운이 별의 빛을 막아 6.0 등급까지만 밝아졌다고 추정되는 중이다.
[11]
2011년에서 2018년 사이인 7년만에 0.6 등급이 높아졌으며 이대로 간다면 약 3등급까지 밝아질 것으로 예상되는 중이다.
[12]
적어도 20 태양질량의 분출을 3번 이상 겪고도 별이 파괴되지 않고 수십년동안 밝기가 수배로 증가하는 광도곡선 등 이때까지 한번도 관측된 적이 없는 특이한 특성이 여러가지이기 때문에 이것들을 전부 설명할 수 있는 이론이 가장 실제와 맞을 가능성이 높다.
[13]
용골자리 에타 B와는 다른 쌍성이 A에 흡수되면서 대분화가 발생되었다고 추정하는 가설이며, 현재 가장 가능성이 높은 가설이다.
[14]
일반적인 쌍불안정성 초신성과는 달리 별이 파괴되지는 않는다.
[15]
워낙에 큰 별이라 오차가 대략 40 태양질량으로 매우 크다.
[16]
하지만 용골자리 에타가 개별 별이 아닌 항성계이므로 경우의 수가 너무 많기 때문에 WO형 볼프 레이에별도 단순한 추정이지 정확한 예측은 아니라고 한다.
[17]
그리고 이후에는
블랙홀이 된다고 한다.
[18]
적어도 약간의
오존층 손상은 발생할 가능성은 있다고 한다.
[19]
가끔씩
볼프-레이에별로 분류되기도 한다.
[20]
중간의 밝은 성단이 NGC 3293, 성단 주변의 성운이 RCW 51이다.
[21]
정확한 분류는 알려져 있지 않음
[22]
젊고 무거운 별들은 성단의 내부로, 늙고 차가운 별들은 성단의 바깥쪽으로 밀려나는 현상
[23]
또는 17,900
광년
5,490 파섹 [24] 알려지지 않았다. [25] 전체 사진은 용골자리 성운의 사진으로 트럼플러 16은 사진에서 가장 밝은 별인 용골자리 에타 근처의 별무리이다. [26] 트럼플러 16 전체는 Cr 233, 트럼플러 16중 남쪽의 일부를 Cr 234로 분류한다. [27] 저질량 항성들은 1,000만년 전에 생겨났다고 추정된다. [28] 발견된 항성 중에서는 26번째로 밝으며 질량은 33번째로 크다. [29] 하지만 트럼플러 14의 별들이 Cr 232와는 반대방향인 북쪽과 서쪽에 몰려 있기 때문에 트럼플러 14의 반경이 Cr 232까지 다다르지 못한다는 의견도 있다. [30] ∞ 모양의 곡선을 의미한다. [31] 성운 가장 위쪽의 활모양 가스도 허빅-아로 천체이다. [32] 그런데 어째 모양을 보면 손가락 모양이 뻐큐에 더 가깝다(...).
5,490 파섹 [24] 알려지지 않았다. [25] 전체 사진은 용골자리 성운의 사진으로 트럼플러 16은 사진에서 가장 밝은 별인 용골자리 에타 근처의 별무리이다. [26] 트럼플러 16 전체는 Cr 233, 트럼플러 16중 남쪽의 일부를 Cr 234로 분류한다. [27] 저질량 항성들은 1,000만년 전에 생겨났다고 추정된다. [28] 발견된 항성 중에서는 26번째로 밝으며 질량은 33번째로 크다. [29] 하지만 트럼플러 14의 별들이 Cr 232와는 반대방향인 북쪽과 서쪽에 몰려 있기 때문에 트럼플러 14의 반경이 Cr 232까지 다다르지 못한다는 의견도 있다. [30] ∞ 모양의 곡선을 의미한다. [31] 성운 가장 위쪽의 활모양 가스도 허빅-아로 천체이다. [32] 그런데 어째 모양을 보면 손가락 모양이 뻐큐에 더 가깝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