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26 19:15:32

ACL

ACL 상향에서 넘어옴

파일:Document_Protect.svg   편집 보호된 문서입니다.
문서의
ACL 탭
을 확인하세요.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AFC 주관 국제 축구 클럽 대항전에 대한 내용은 AFC 챔피언스 리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십자인대에 대한 내용은 십자인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나무위키:접근 제한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00a495,#2d2f34><colcolor=#fff>기능 대문( FrontPage) · 롤백 · 리다이렉트 · 문서 이동 · 분류 · 최근 변경 · 편집 요약 · 편집 요청 · 하이퍼링크( 역링크 · 인터위키)
편집 과정 <colbgcolor=#00a495,#2d2f34><colcolor=#fff>편집 작성( 작성 중) · 윤문 · 서술 폭주 · 저명성 · 출처 필요 · 편집 분쟁 · 동시 수정( 편집 충돌)
토론 끌올 · 닫힌 토론 · 방기 · 복구 토론 · 삭제 토론 · 프로토로너
서술 형태와 관점 독자연구( 집단연구) · POV · NPOV · MPOV · 삭제주의와 포괄주의
관리 및 운영 ACL · 긴급조치 · 다중 계정( 다중 계정 검사 · 오리 실험) · 문서 사유화 · 문서 훼손 · 반달 · 임시조치 · 작성 금지 · 즉결처분 · 차단( IP 차단 · 무기한 차단) · 통신사 IP · 투명성 보고서 · 편집 제한 · 휴지통
문서 종류 고립된 문서 · 더미 · 막다른 문서 · 메타 문서 · 빈 문서 · 없는 문서 · 오래된 문서 · 작성이 필요한 문서 · 중복 문서 · 템플릿 · 토막글 · 특수 문서 ·
구조 개요 · 각주 · 동음이의어 구분자 · 문단 · 목차 · 상세 · 예시 · 여담( 이야깃거리 · 트리비아) · 요약문
사용자 기여 · 기여자 · 사용자 문서 · 사용자 토론 · 유저박스 · 위키 금단증세 · 위키 사용자( 위키니트 · 위키페어리 · 사관) · 위키질
기타 개인 위키 · 고지달성 · 글상자 · 데스크톱 위키 · 뻘문서( 뻘토론 · 뻘분류) · 소송방지바람 · 암묵의 룰 · 애초에 · 위키프로젝트 · 이전 · 취소선 드립 · 위키 엔진
관련 틀 틀:위키 서술 관점 }}}}}}}}}


1. 개요2. the seed engine에서의 ACL
2.1. 나무위키에서의 ACL
3. 모니위키에서의 ACL4. 미디어위키에서의 보호 기능5. 유닉스 및 리눅스의 파일 권한 관리 기능

[clearfix]

1. 개요

Access Control List

방화벽, 웹 사이트 등에서 정보 이용 주체가 정보(객체)에 대해 어떤 권한을 가지는지 정해 놓은 목록. 예시를 들자면 'A 파일에 대해 A 사용자는 읽기와 쓰기 권한을, B 사용자는 읽기 권한을 가진다'와 같이 사용자 이름과 권한을 표시해 두는 것이 있다. 주로 임의적 접근 통제 방식[1]에서 사용한다. 모니위키 나무위키에서 접근 제한에 사용된다. 참고로 접근 제한이라고는 하지만 열람 권한이 아니라 편집 권한이다. 간혹 '아클'이라고 읽는 경우가 있는데 '에이씨엘'이라고 읽어야 한다. 참고로 문자 이름으로 읽기를 하지 않는 경우에도 영어 음소배열론 상으로는 에이클(/eɪkəl/ 혹은 /eɪkl̩/)이 자연스럽다.

2. the seed engine에서의 ACL

파일:theseed.io_acl_ACL.webp 파일:theseed.io_acl_ACL_dark.webp
the seed engine의 ACL 설정 페이지
the seed에서 지원하는 기능이다. ACL의 거부 대상에 해당하는 경우 특정 기능의 이용이 제한된다. 문서에 ACL이 지정되었는지 여부는 문서 역사 및 ACL 메뉴에서 확인할 수 있다. 참고로 나무위키 문서에 걸리는 ACL은 다음과 같다. 자세히 열람하려면 이곳을 보자. ACL은 관리자만 변경할 수 있다. 단 규정 문서, 휴지통 문서나 파일휴지통, 위키운영 문서는 사측 관리자[2]를 제외하면 변경할 수 없다.
(A,B,C,D으로 ACL 변경)

사측 관리자 사용자 문서에 위와 같은 형식이 아니라 (everyone, everyone, everyone, admin, everyone)와 같은 형식으로 기록되어 있는데( #), 이것은 현재 사용 중인 ACL이 아닌 과거에 사용했던 ACL 버전에서 설정한 내용으로 당시에는 현재처럼 상세하게 설정이 불가능했으며, 단순히 모든 사용자, 로그인한 사용자, 관리자 이 세 가지로만 설정이 가능했으며 관리자의 사용자 문서에 나오는 버전은 abcde표기로 앞부터 순서대로 읽기, 쓰기, 삭제, 토론[23], 이동 권한이다.[24] delete로 ACL 변경은 ACL 초기화를 의미했다. 예전에는 abcdef 식에서 d 부분에 true 혹은 false란 표기도 나오는데( #) 이것은 당시 존재했던 봇을 차단하는 ACL 설정 여부를 의미했다.

과거에는 문서 ACL과 달리 IP의 접근을 제어하는 IP ACL 기능이 존재했으나 [25] 4.18.0 업데이트를 통해 ACLGroup 기능이 대신 추가되면서 삭제되었다. IP 접근 제어 기능이라고 부르는 경우보다는 IP 차단 기능이라고 더 많이 불렀다.

2.1. 나무위키에서의 ACL

현재 나무위키에서 사용중인 Access Control List 틀[26]
파일:Document_Protect.svg   편집 보호된 문서입니다.
문서의 을 확인하세요.
{{{#!folding 2024년 9월 13일 까지 나무위키에서 사용했던 Access Control List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Semi_protect.svg   로그인 후 편집 가능한 문서입니다.[예외]
파일:Semi_protect2.svg   가입 후 15일이 지나야 편집 가능한 문서입니다.
파일:Semi_protect3.svg   이 문서를 편집한 기록이 있어야 편집 가능한 문서입니다.[28]
파일:Mobile_protect.svg   모바일 인증된 사용자만 편집 가능한 문서입니다.
파일:Full_protect2.svg   운영진만 편집 가능한 문서입니다.
}}} ||

2단계 이상의 편집 제한이 적용된 문서에는 공통적으로 위 접근 제한 틀이 삽입된다. 2단계부터 각 단계별 별도 접근 제한 틀이 존재했으나 2024년 9월 27일 접근 제한 틀로 통합되었다. 기존에 단계별로 효과가 적혀있던 틀과 달리 ACL을 눌러 내역을 봐야 어떤 제한이 걸려있는건지 알 수 있으며, 그마저도 처음 보는 사람은 문서 ACL이 뭔지 이름공간 ACL이 뭔지, perm:any 같은게 대체 무슨 소리인지 이해하기 힘들 수 있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나무위키:접근 제한 문서
번 문단을
접근 제한의 단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모니위키에서의 ACL

모니위키도 ACL 설정 기능을 제공하고 있으며 나무위키의 것과는 달리 show(열람), editpage(편집) 등 문서 action의 권한을 지정하는 방식이다. 문제는 변변한 관리 인터페이스가 없어 직접 일일이 파일을 수정해야 반영이 되었다는 점인데, 이 때문에 리그베다 위키는 부관리자를 뽑는 데 소극적이게 되었다. 사유화 사태 이후 기능이 금방 만들어진 걸로 봐서는 못 만들었다기보다는 귀찮아서 넣지 않았을 가능성이 크다.

리그베다 위키에서는 2015년 리그베다 위키 사유화 사태 이후 위키지기라는 자리를 도입하면서 기초적인 관리 기능은 만든 것으로 보이나 모니위키 기본 적용 여부는 알 수 없다.

4. 미디어위키에서의 보호 기능

미디어위키 엔진은 역시 생성, 삭제, 편집이나 이동, 열람을 제한하는 기능이 존재하나 이쪽에서는 ACL이 아닌 '보호'라고 불린다. 위키백과의 경우 회원 수정(가입 후 15일이 되지 않은 신규 가입한 사용자 제외)은 '준보호'로, 장기인증된 사용자는 '장기인증보호'로, 관리자 수정은 '완전 보호'로 불린다.

5. 유닉스 및 리눅스의 파일 권한 관리 기능

기본적으로 리눅스의 파일 권한은 소유한 사용자, 소유자가 속한 그룹 구성원, 이외 사용자를 대상으로 각각 읽기, 쓰기, 실행 권한을 지정하는 방식으로 관리한다. 하지만 ACL을 사용하면 파일 소유권과 직접적으로 관련되어 있지 않은 사람을 대상으로도 권한을 지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파일 ACL을 사용하는 방법을 찾을 수 있다.
[1] 과거에 SELinux가 없던 시절 리눅스가 사용했던 방식이다. 임의적 접근 통제는 사용자 ID를 기반으로 자료에 접근하는 것을 제어하는 방식이다. 여기서 ACL은 접근 허용 아이디를 저장해 두는 목록이라고 보면 된다. [2] 정확하게는 nsacl 권한 보유자 [3] 참고로 이 권한이 거부되는 경우 편집을 비롯한 대부분의 권한(ACL, 역링크 확인, 이동, 삭제 제외)이 거부된다. 이 중 이동과 삭제는 브라우저 주소 창에 직접 입력해야 접속이 가능하다. 편집에 들어가면 문서의 RAW(문법을 포함한 모든 글자)를 볼 수 있기 때문. 이외에도 문서의 내용을 볼 수 있는 기능이 막힌다. 과거에는 되돌리기 기능을 이용해서 내용을 볼 수 있는 버그가 있었으나 언제부터인가 패치되었다. 읽기 ACL은 4.15 버전까지는 개별 문서에서 조정할 수 있었으나 2019년 12월 16일, 4.16으로 판올림된 이후로부터는 조정할 수 없게 되었으며 이름공간(네임스페이스)에서만 조정이 가능하다. 대표적으로 휴지통과 위키운영 네임스페이스는 perm:admin ACL이 적용되어 있다. [4] 이게 권한이 없어 거부된다면 이동, 삭제도 거부된다. [5] 토론 발제 ACL하고는 별개로 작동한다. [6] nsacl을 가진 사용자만 조정 가능 [7] gotons로 설정 시 해당 사용자는 이름공간 ACL 규칙을 통과할 경우 허용된다. 즉, 이름공간 ACL은 문서에 개별 설정된 ACL보다 우선순위가 떨어지는데 이 우선순위를 문서별 ACL과 동일한 수준으로 만들어준다. [8] ACL 그룹 개편 이전에는 [*] 표시가 붙은 것은 차단된 사용자는 포함되지 않았고 이름공간 ACL실행이 없었으나 ACL 그룹 개편 이후 새로 생겼고 '허용'은 이전 순서에 거부되는 조건이 없다면 무조건 허용되도록 바뀌었다. [9] 파일:ACL 사용자지정_user.jpg [10] 즉, 기술적으로 선출된 운영진(이하 perm:admin)들도 특정 사용자에 대한 접근 권한도 설정할 수 있으나 현재 규정에는 사측 관리자만 이를 설정할 수 있다고 명시돼 있다. [11] 파일:ACL 사용자지정.jpg [12] 주로 로그인하지 않은 사용자를 칭하는 말이다. [13] 차단 아이피/사용자 권한이 분리되면서 효력이 없어진 것으로 보인다. [14] 2020년 8월 25일 ACL 개편 이후 차단된 사용자 ACL Group로 대체되었다. # [15] 사용자 문서의 이름공간 ACL에 사용되며 해당 사용자만 편집할 수 있도록 한다. [16] 임의의 문서에 한 번이라도 기여한 사용자. 2018년 7월 경 일반 문서에 기본적으로 적용되는 ACL이었으나 2020년 8월 25일 ACL 개편 이후에는 거의 보이지 않는다. [17] 나무위키에서는 관리자만 이 권한을 가지고 있다. [18] 이름대로 차단된 아이피나 사용자가 속하는 그룹으로 기존 차단자 모두 일괄 적용되었다. [19] 데이터센터 IP 등 일반적으로 인터넷 접속에 사용되는 대역이 아닌 경우 적용되며 ACL 개편 전에는 아이피 차단 형태로 되어 있었으나 개편 후 별도 그룹으로 분리되었다. [20] 아이피 중 로그인할 경우 이용을 허용하는 것으로, ACL 개편 전에는 차단 시 로그인 허용 여부를 지정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21] VPNGate의 공유 기능을 사용하는 아이피가 속하는 대역으로, 해당 그룹에 속해 편집이 막히는 경우 소명 게시판에 VPNGate 자원 공유 해제 인증을 하면 풀어준다. [22] 즉, perm:member_signup_15days_ago만 액션:gotons으로 이름공간 ACL을 적용하는 경우 아이피나 가입한 지 15일이 지나지 않은 로그인된 사용자의 계정(단, 가입한 지 15일이 지난 이후에 로그인해서 편집을 실행한다면 그때부턴 편집이 가능해진다)으로 편집시 적용할 ACL이 없어 편집이 거부된다. 대신 편집 요청이 가능한 경우 편집 요청 페이지로 이동된다. [23] 당시에는 토론 발제와 토론 댓글 권한이 따로 분리되지 않았다. [24] 당시 인터페이스 [25] 그래서 IP Access Control List => IPACL이다. [26] 사실상 관리자들이 Access Control List을 설정하면 틀은 수동으로 넣어야 했다. 일반 사용자가 해당 틀들을 단계에 맞지 않게 무단으로 삽입하면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를 받았다. 가끔씩 이 틀을 삽입하면 ACL이 진짜 변경되는 것이라고 신뢰하는 이용자들이 있는데 이 틀은 ACL을 변경하는 것이 아니라 현재 설정되어 있는 ACL이 몇 단계인지 표시하는 역할만 했던 것이니 참고하자. [예외] 2023년 5월 22일 까지 사용되었다. [28] 편집 요청으로 기여시 편집 권한 취득. 운영진이 아닌 사람 중 기존 기여자 제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