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문서: 2022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Spring
관련 문서: 2022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Spring/플레이오프 결산
2022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Spring 플레이오프 경기 일람 |
|
플레이오프 | 결승전 |
플레이오프 결산 | |
정규시즌 경기 일람 |
1. 개요
2022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Spring 결승전 | |
Royal Never Give Up | Top Esports |
2. 경기 전 정보
봄의 황제라는 수식어답게 다시 한번 스프링 시즌 결승전에 진출한 RNG. 만약 이번 스프링도 RNG가 우승한다면 LPL 스프링 역대 최다 우승 기록인 4회 우승을 기록하게 된다.[1] 또한 RNG가 2022 Mid-Season Invitational에 참여할 수 있게 된다면 현재 2회로 공동 최다 우승팀인 T1과 함께 MSI 3회 우승과 단독 최다 우승을 놓고 경쟁하게 된다.Top Esports는 2020년 LPL 스프링 준우승, Mid-Season Cup 우승, LPL 서머 우승, 월즈 4강으로 호성적을 거두었으나 2021년에는 단 한차례도 자국 무대 결승과 국제 대회에 출전하지 못했다. 2년 만에 다시 돌아온 결승전에서 난적 RNG를 상대로 어떤 전략을 준비해왔을지가 관건이다. 또한 TES가 우승하게 된다면 역대 최초로 정규시즌 올프로 퍼스트팀을 한명도 배출하지 못한 팀이 최종 우승을 차지하게 된다.[2][3]
2.1. 관련 영상
2.2. 경기 전 전망
2.2.1. Royal Never Give Up
LPL 전통의 강호답게 벌써 9번째 결승전에 올랐고 5번째 우승을 바라보고 있다. RNG는 위에서 서술했듯이 유독 스프링 시즌에 강력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데[4] 과연 이번에도 봄의 왕좌를 차지하고 또다른 봄의 제왕들인 T1과 G2가 기다리는 2022 MSI에 참가할 수 있을지 기대를 모으고 있다.RNG는 비교적 순탄한 정규시즌을 보냈고, 플레이오프에서도 상대들을 모두 제압하면서 결승에 올랐다. 상대 Top Esports와는 정규시즌에 만나서 2:0으로 이기고, 플옵 승자전에서 만나서 3:1로 승리해 상대전적 5:1이라는 압도적인 전적을 가지고 있다.. 전문가들도 사전 예상에서 RNG의 승리를 점치는 의견이 대부분. TES의 들쭉날쭉한 경기력이 갑자기 고점을 찍지 않은 이상 무난히 승리하고 MSI에 진출할 것으로 보인다.
2.2.2. Top Esports
어느 누구도 시즌 중반에 이 팀이 결승을 갈 것이라 예상하지 못했다. 그 만큼 TES의 이번 시즌은 그 어느때 보다 파란만장했다. 새로 영입한 탑솔러 줌과 정글러 티안이 모조리 부진하고, 설상가상으로 작년에 괜찮은 폼을 보였던 서포터 주오마저 소포모어 징크스에 빠지며 시즌 초에 만난 약팀들에게 0:2로 승점을 퍼다주며 시즌 중반 2승 4패라는 최악의 성적표를 받아들며 그야말로 나락으로 떨어지는 듯 했다. 하지만 나이트가 계속해서 최고의 폼을 보여주고 새로 영입한 서포터 마크가 재키러브와 함께 무난한 활약을 선보이는 한편, 2군에서 콜업한 웨이워드가 예상 외의 활약을 선보이면서 티안의 폼도 살아나는 등 팀 합이 맞아가며 춘절 이후 9승 1패라는 엄청난 성적으로 풀옵에 안착하고, 자신들보다 명백히 강팀이라고 평가받았던, BLG, LNG, V5를 모두 격파하며 결승에 올랐다.TES는 이번 시즌 명백한 약팀이었고 상대하는 모든 팀들에게 언더독으로 평가받았지만, 기적같은 꾸역승과 경기력으로 결승까지 올랐다. 상대는 이번 시즌 단 1세트밖에 가져오지 못한 스프링 시즌 최강의 팀 RNG. 과연 TES가 기적의 미라클 런을 달성하고 다시 한번 우승 타이틀을 가져올 수 있을지 팬들과 관계자들은 기대하고 있다.
2.2.3. 라인별 분석
- TOP: Bin vs Wayward
- 우선적으로 탑 라인에서는 빈의 우세를 점치는 사람들이 많다. 웨이와드는 이번 시즌에서의 성공한 신인이라는 평가를 받지만, 빈을 뚫어낼 수 있을까에 대해 의문이 여전히 많다.
- JGL: Wei vs Tian
- 컨디션에 따라 갈릴 라인. 웨이와 티안은 기복형 정글러라는 말이 대체로 오간다. 하지만, 웨이는 폼이 적게 오락가락하지만 티안은 폼이 하늘과 땅을 찍기 때문에 컨디션에 따라 갈리는 라인이다.
- MID: Xiaohu vs knight
- 가장 주목되는 매치업이다. 샤오후는 미드로 다시 돌아왔는데 기존 팀원들과 호흡도 좋고 원래 라인이었기 때문에 능동적이고 안정적인 플레이를 보여주고 있다. 반면에 나이트는 팀이 2승 4패였을 때 과감하면서 정확하고 침착한 플레이로 팀을 결승까지 올린 원동력이다. 둘의 실력은 거의 호각이기 때문에 한타 과정에서 어떤 플레이를 보여주는지에 따라 달라질 것으로 보인다.
- BOT: GALA vs JackeyLove
- 미드 다음으로 가장 기대되는 매치업이다. 갈라는 최근 폼이 상승세를 타면서 팀의 캐리형 원딜러로 자리매김하였고 재키러브는 2년 만에 국제대회 갈 생각에 행복한지 팀원들과 좋은 호흡을 보여주고 불리할 때도 침착한 판단을 하고 있다. 결승전 와중에도 어느 원딜이 성장을 하면 알 수 없게 된다.
- SPT: Ming vs Mark
- 명백한 밍의 우세.
- 총평
2.3. 이모저모
- 2014 서머 EDG vs OMG 이후 무려 7년 8개월, 일수로는 2807일 만에 열리는 중국 순혈팀간의 결승전 매치이다.
3. 오프닝 영상
4. 개막식
5. 경기 내용
결승전 (2022. 04. 23.) |
|||||||||||
Royal Never Give Up |
3 | 2 | Top Esports | ||||||||
○ | ○ | × | × | ○ | × | × | ○ | ○ | × | ||
우승 | 결과 | 준우승 | |||||||||
MSI 진출 |
파이널 MVP |
|
천쩌빈 (Bin) |
|
2022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Spring 결승전 선발 라인업 |
||
<colbgcolor=#f50909> | ||
Royal Never Give Up |
Top Esports | |
<colbgcolor=#000><colcolor=#FFF>
천쩌빈 (Bin) |
<colbgcolor=#000><colcolor=#ff3e24>
황런싱 (Wayward) |
|
옌양웨이 (Wei) |
가오톈량 (Tian) |
|
리위안하오 (Xiaohu) |
줘딩 (knight) |
|
천웨이 (GALA) |
위원보 (JackeyLove) |
|
스썬밍 (Ming) |
링쉬 (Mark) |
5.1. 1세트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10밴픽, blueteam=Royal Never Give Up, redteam=Top Esports
, d_blueban1=아리(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ban2=라이즈, d_blueban3=그레이브즈, d_blueban4=제이스(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ban5=라칸(리그 오브 레전드)
, p_blueban1=ahri, p_blueban2=ryze, p_blueban3=graves, p_blueban4=jayce, p_blueban5=rakan
, d_redban1=제리(리그 오브 레전드), d_redban2=카밀, d_redban3=르블랑(리그 오브 레전드), d_redban4=오리아나(리그 오브 레전드), d_redban5=코르키
, p_redban1=zeri, p_redban2=camille, p_redban3=leblanc, p_redban4=orianna, p_redban5=corki
, d_bluepic1=나르(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pic2=리 신, d_bluepic3=벡스(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pic4=아펠리오스, d_bluepic5=레오나(리그 오브 레전드)
, p_bluepic1=gnar, p_bluepic2=leeSin, p_bluepic3=vex, p_bluepic4=aphelios, p_bluepic5=leona
, d_redpic1=이렐리아, d_redpic2=비에고, d_redpic3=갈리오, d_redpic4=자야(리그 오브 레전드), d_redpic5=세트(리그 오브 레전드)
, p_redpic1=irelia, p_redpic2=viego, p_redpic3=galio, p_redpic4=xayah, p_redpic5=sett)]
드래곤 |
→ → → |
RNG는 사이드 운영과 한타, TES는 잘라먹는 난전에 특화된 조합을 짰다. 처음엔 잘라먹기에 특화된 이렐리아 갈리오의 힘이 드러나는 듯 보였으나 사이드에서 오히려 RNG가 잘라먹기를 잘 성공하며 손해를 최소화하는 것을 넘어 게임의 흐름을 조금씩 가져갔고, 한타에서는 역시나 조합 자체의 한타력 차이가 크게 드러나며 연달아 승리, TES의 넥서스를 파괴하며 기선제압에 성공한다.
5.2. 2세트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10밴픽, blueteam=Royal Never Give Up, redteam=Top Esports
, d_blueban1=아리(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ban2=라이즈, d_blueban3=그레이브즈, d_blueban4=제이스(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ban5=라칸(리그 오브 레전드)
, p_blueban1=ahri, p_blueban2=ryze, p_blueban3=graves, p_blueban4=jayce, p_blueban5=rakan
, d_redban1=제리(리그 오브 레전드), d_redban2=카밀, d_redban3=르블랑(리그 오브 레전드), d_redban4=벡스(리그 오브 레전드), d_redban5=사일러스(리그 오브 레전드)
, p_redban1=zeri, p_redban2=camille, p_redban3=leblanc, p_redban4=vex, p_redban5=sylas
, d_bluepic1=나르(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pic2=리 신, d_bluepic3=코르키, d_bluepic4=아펠리오스, d_bluepic5=레오나(리그 오브 레전드)
, p_bluepic1=gnar, p_bluepic2=leeSin, p_bluepic3=corki, p_bluepic4=aphelios, p_bluepic5=leona
, d_redpic1=이렐리아, d_redpic2=비에고, d_redpic3=갈리오, d_redpic4=자야(리그 오브 레전드), d_redpic5=노틸러스(리그 오브 레전드)
, p_redpic1=irelia, p_redpic2=viego, p_redpic3=galio, p_redpic4=xayah, p_redpic5=nautilus)]
드래곤 |
→ → → |
TES가 우틀않을 시전했다. 1세트 이렐리아-갈리오 조합으로 초반에는 잘라먹기가 잘되나 싶었지만 한타에서는 낮은 한타 능력이 드러나며 패배했는데, 또 픽했다가 또다시 거의 비슷한 패턴으로 패배했다. 중간에 좁은 길목에서 자꾸 무리하게 이니시를 열다가 코르키, 아펠리오스에게 프리딜각을 준 것도 패인. 아프리카 tv에서 한국어 중계를 하던 빛돌 해설도 잘못된 이니시를 계속해서 열고 있다고 혹평했다.
5.3. 3세트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10밴픽, blueteam=Top Esports, redteam=Royal Never Give Up
, d_blueban1=갈리오, d_blueban2=트위스티드 페이트, d_blueban3=아펠리오스, d_blueban4=이렐리아, d_blueban5=카밀
, p_blueban1=galio, p_blueban2=twistedFate, p_blueban3=aphelios, p_blueban4=irelia, p_blueban5=camille
, d_redban1=제리(리그 오브 레전드), d_redban2=아리(리그 오브 레전드), d_redban3=자야(리그 오브 레전드), d_redban4=볼리베어, d_redban5=비에고
, p_redban1=zeri, p_redban2=ahri, p_redban3=xayah, p_redban4=volibear, p_redban5=viego
, d_bluepic1=나르(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pic2=헤카림, d_bluepic3=라이즈, d_bluepic4=드레이븐, d_bluepic5=노틸러스(리그 오브 레전드)
, p_bluepic1=gnar, p_bluepic2=hecarim, p_bluepic3=ryze, p_bluepic4=draven, p_bluepic5=nautilus
, d_redpic1=그웬(리그 오브 레전드), d_redpic2=리 신, d_redpic3=벡스(리그 오브 레전드), d_redpic4=징크스(리그 오브 레전드), d_redpic5=레오나(리그 오브 레전드)
, p_redpic1=gwen, p_redpic2=leeSin, p_redpic3=vex, p_redpic4=jinx, p_redpic5=leona)]
드래곤 |
→ → → |
RNG가 3연속으로 리 신을 픽하였다. 그리고 TES는 잃을 게 없다는 뜻처럼, 재키러브가 드레이븐을 픽하였다.
5.4. 4세트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10밴픽, blueteam=Royal Never Give Up, redteam=Top Esports
, d_blueban1=아리(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ban2=라이즈, d_blueban3=드레이븐, d_blueban4=직스, d_blueban5=사일러스(리그 오브 레전드)
, p_blueban1=ahri, p_blueban2=ryze, p_blueban3=draven, p_blueban4=ziggs, p_blueban5=sylas
, d_redban1=제리(리그 오브 레전드), d_redban2=아펠리오스, d_redban3=갈리오, d_redban4=리 신, d_redban5=녹턴(리그 오브 레전드)
, p_redban1=zeri, p_redban2=aphelios, p_redban3=galio, p_redban4=leeSin, p_redban5=nocturne
, d_bluepic1=제이스(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pic2=헤카림, d_bluepic3=트위스티드 페이트, d_bluepic4=자야(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pic5=라칸(리그 오브 레전드)
, p_bluepic1=jayce, p_bluepic2=hecarim, p_bluepic3=twistedFate, p_bluepic4=xayah, p_bluepic5=rakan
, d_redpic1=트린다미어, d_redpic2=비에고, d_redpic3=벡스(리그 오브 레전드), d_redpic4=미스 포츈(리그 오브 레전드), d_redpic5=레오나(리그 오브 레전드)
, p_redpic1=tryndamere, p_redpic2=viego, p_redpic3=vex, p_redpic4=missFortune, p_redpic5=leona)]
드래곤 |
→ → → |
웨이가 아브실골에서 보여줄만한 눈썩 플레이로 11분만에 4데스를 박으며 역대급 쓰로잉을 보여주었다. 중반에 비벼지다가 마지막 바론치는 과정에서 어이없게도 헤카림이 잘리고 넘어온 비에고가 강타로 바론을 먹으며 게임을 끝냈다. 작년 스프링, 서머, msi, 월즈, 그리고 올해 스프링처럼 올해도 LPL의 5꽉 이미지가 확고해지는 모양새.
5.5. 5세트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10밴픽, blueteam=Royal Never Give Up, redteam=Top Esports
, d_blueban1=아리(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ban2=라이즈, d_blueban3=드레이븐, d_blueban4=신드라, d_blueban5=제이스(리그 오브 레전드)
, p_blueban1=ahri, p_blueban2=ryze, p_blueban3=draven, p_blueban4=syndra, p_blueban5=jayce
, d_redban1=제리(리그 오브 레전드), d_redban2=아펠리오스, d_redban3=갈리오, d_redban4=라칸(리그 오브 레전드), d_redban5=카밀
, p_redban1=zeri, p_redban2=aphelios, p_redban3=galio, p_redban4=rakan, p_redban5=camille
, d_bluepic1=잭스(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pic2=비에고, d_bluepic3=벡스(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pic4=자야(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pic5=노틸러스(리그 오브 레전드)
, p_bluepic1=jax, p_bluepic2=viego, p_bluepic3=vex, p_bluepic4=xayah, p_bluepic5=nautilus
, d_redpic1=나르(리그 오브 레전드), d_redpic2=리 신, d_redpic3=조이(리그 오브 레전드), d_redpic4=직스, d_redpic5=레오나(리그 오브 레전드)
, p_redpic1=gnar, p_redpic2=leeSin, p_redpic3=zoe, p_redpic4=ziggs, p_redpic5=leona)]
드래곤 |
→ → → |
TES가 갑자기 1페이즈에서 자야를 보고 직스를 뽑으며 대놓고 상체 스노우볼링 게임을 하겠다는 의도를 내비쳤고, 이에 RNG는 제이스를 2페이즈 밴으로 막아버리고 빈의 성명절기 중 하나인 잭스까지 가져가버린다. 이에 웨이워드한테 주어진 막픽은 나르. 결과적으로 TES는 AD딜러가 전무한 극단적 원코인 스노우볼 조합이 되었고 RNG는 그에 비해 초중후반 무난히 강력한 조합을 꾸렸다.
초반에 TES가 이득을 보며 골드를 리드했으나 티안을 시작으로 탑과 원딜이 안일한 플레이로 잘라먹히면서 스노우볼이 멈췄고, RNG의 3용을 끊었으나 한타를 지며 골드 격차가 따라잡힌다. 나이트의 활약으로 4번째 용을 가져오지만 다음 한타에서 레오나가깊게 들어갔다가 고립되며 한타를 패배한다. 그리고 이후 한타마다 RNG가 벡스를 앞세워 TES의 진영을 계속 박살내며 한타를 계속 승리하고 역으로 골드 차이를 내기 시작한다. 조합 차이로 낸 리드가 따라잡힌 순간 TES는 이기기가 힘든 게임이 되어버렸고, RNG는 역전을 허용하지 않으며 게임을 가져온다.
RNG는 한타 집중력, 특히 샤오후의 벡스의 대활약이 인상적이었다.
TES는 초반 우위를 점했으나 나이트를 제외한 전원이 게임을 한 번씩 던져버렸다. 특히 원딜인 재키러브가 한타마다 벡스 궁에 맞으며 포킹을 제대로 하지도 못하고 한타 구도가 무너져버리는 상황이 많이 나온 것이 치명적이었다. 나이트가 끝까지 분전했으나 게임을 뒤집기에는 역부족이었다.
6. 총평
말그대로 천당과 지옥을 오가는 결승전. RNG가 1, 2세트 상대의 무리수 벤픽을 받아먹고 쉽게 이기는가 싶더니 3세트, 4세트에서 터진 웨이의 저점과 맞물려서 연달아 세트를 내주고 다시 한번 리버스 스윕의 위기에 몰렸으나, 5세트 그 유명한 재키러브의 기복이 말그대로 터져나오면서 다시한번 RNG가 MSI 디펜딩 챔피언으로 참가한다.6.1. 우승 - Royal Never Give Up
작년에 이어 한 번 더 LPL의 봄을 RNG가 누리면서 RNG가 2022 MSI로 온다.
승리의 중심에는 파이널 MVP를 수상한 빈과 샤오후, 밍 3명의 활약이 주요했다. 빈의 경우 정규 시즌을 비롯해 플레이오프에 진출하고 나서도 기복이 매우 심한 모습을 보였는데 결승전에서 이런 기복이 많이 줄어들었고 TES의 웨이와드를 상대로 꾸준히 탑 차이를 냈다. 샤오후는 나이트에게 밀리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했으나 저번 승자조 대결과는 다르게 이겼던 세트 경기에서 나이트보다 확실히 넓은 영향력을 선보였고 특히 5세트에서는 불리한 상황에서 재키러브에게 높은 궁 적중률을 선보여 TES의 구도를 완전히 어그러뜨려 역전승에 크게 공헌했다. 밍 또한 수시로 던져대던 TES의 마크와 달리 적재적소에 좋은 이니시를 선보여 서폿 영향력 차이를 크게 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