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문서: 2021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Spring
2021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Spring 플레이오프 경기 일람 |
|
플레이오프 | 결승전 |
정규시즌 경기 일람 |
1. 개요
2021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Spring 결승 | |
FunPlus Phoenix | Royal Never Give Up |
정규시즌 5위였지만 일명 도장깨기에 성공하며 드라마틱하게 결승전까지 올라온 FPX, 그리고 준결승 최종전에서 치열한 승부 끝에 EDG를 꺾고 올라온 RNG의 대결이다. 가깝게 본다면 플레이오프 4라운드 리매치이고, 멀리 본다면 2019 LPL 서머 결승 리매치라고 할 수 있다. 전자의 경우에는 FPX가 셧아웃으로 완승을 거두었으며, 후자의 경우에도 FPX가 3:1로 승리를 거머쥐었다.
반면 RNG는 창단 이래 최악이었던 2020 시즌 이후 절치부심해 정규시즌 1위를 찍으며 화려하게 부활하는 줄 알았지만, 웬일인지 4라운드에서는 사전 예상과 달리 FPX에게 셧아웃 완패를 당하며 매우 기분 나쁘게 플레이오프을 시작했다. 그나마 TES와 EDG를 접전 끝에 모두 이기고 결승까지 왔으나 내내 5꽉을 치렀기에 전략을 많이 노출할 수밖에 없었고 체력 소모 역시 컸다. 경기력 역시 그렇게 좋았다고 보기 어려웠기에 사전 예상은 FPX가 정배이다. 하지만 강력함을 갖춘 상체가 초반을 잘 이끈다고 해도 FPX의 바텀이 밀려버리면 RNG 입장에서도 충분히 반전을 노릴 근거는 마련될 수 있다. 또한 RNG가 지난 실수를 만회할 줄 안다는 가정 하에 장기전을 많이 겪은 것이 호재가 되어 FPX를 상대로도 뒤집을 확률도 커진다고 볼 수 있다.
FPX가 우승한다면 창단 첫 스프링 시즌 우승을 달성하면서 MSI에서 너구리의 전 소속팀이자 2020 시즌 탑 라이너였던 칸이 소속되어 있는 담원과 맞대결을 펼치게 될 가능성이 생겨난다. 또한 2015 서머의 LGD 이후 역대 2번째로 LPL에서 정규시즌 3위 미만의 팀이 우승을 한다는 기록을 세우게 된다. 그리고 2015 서머의 LGD와 2018 스프링의 RNG가 다전제를 4번 치르고 우승한 것이 역대 LPL 시즌들 중에서 단일 시즌 가장 많은 다전제를 치르고 우승한 기록인데, FPX가 우승하면 다전제를 5번 치르고 우승을 하게 되므로 단일 시즌 가장 많은 다전제를 치르고 우승한 팀의 기록을 경신하게 된다. 반대로 RNG가 우승한다면 2018 서머 이후 3년 만에 LPL 우승을 기록하여 EDG 이후 역대 2번째로 LPL을 4회 우승한 팀이 되고 LPL 팀 최초로 MSI에 3회 진출하게 된다.[1] 또한 2018 스프링 때 본인들이 다전제를 4번 치르고 우승했던 기록을 다시 한 번 반복할 수 있게 된다.
여담으로 결승전은 우한 국제 테니스 센터에서 유관중으로 개최한다. 작년 중국 내 코로나19 대유행의 중심지로서 위로 차원으로 개최를 결정하게 되었다고 한다. 관련기사
2. 경기 내용
결승전 (2021. 04. 18) | |||||||||||
FunPlus Phoenix | 1 | 3 |
Royal Never Give Up |
||||||||
○ | × | × | × | - | × | ○ | ○ | ○ | - | ||
준우승 | 결과 | 우승 | |||||||||
MSI 진출 |
2.1. 1세트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10밴픽, blueteam=FunPlus Phoenix, redteam=Royal Never Give Up
, d_blueban1=알리스타, d_blueban2=루시안(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ban3=카이사, d_blueban4=트위스티드 페이트, d_blueban5=아지르
, p_blueban1=alistar, p_blueban2=lucian, p_blueban3=kaisa, p_blueban4=twistedFate, p_blueban5=azir
, d_redban1=쓰레쉬, d_redban2=탐 켄치, d_redban3=렐(리그 오브 레전드), d_redban4=라칸(리그 오브 레전드), d_redban5=레오나(리그 오브 레전드)
, p_redban1=thresh, p_redban2=tahmKench, p_redban3=rell, p_redban4=rakan, p_redban5=leona
, d_bluepic1=이렐리아, d_bluepic2=헤카림, d_bluepic3=오리아나(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pic4=자야(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pic5=갈리오
, p_bluepic1=irelia, p_bluepic2=hecarim, p_bluepic3=orianna, p_bluepic4=xayah, p_bluepic5=galio
, d_redpic1=제이스(리그 오브 레전드), d_redpic2=우디르, d_redpic3=빅토르(리그 오브 레전드), d_redpic4=트리스타나, d_redpic5=노틸러스(리그 오브 레전드)
, p_redpic1=jayce, p_redpic2=udyr, p_redpic3=viktor, p_redpic4=tristana, p_redpic5=nautilus)]
드래곤 |
→ → → |
밴픽과정에서 RNG가 크리스피을 겨냥한 서폿 5밴에 더해서 노틸러스마저 뺏어오면서 크리스피가 갈리오 서포터를 픽했고, 탑에서 샤오후의 제이스를 상대로 너구리의 이렐리아가 나온 것을 제외하면 서로 무난한 한타조합을 가져갔다.
2.2. 2세트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10밴픽, blueteam=Royal Never Give Up, redteam=FunPlus Phoenix
, d_blueban1=탐 켄치, d_blueban2=트위스티드 페이트, d_blueban3=렐(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ban4=오리아나(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ban5=사일러스(리그 오브 레전드)
, p_blueban1=tahmKench, p_blueban2=twistedFate, p_blueban3=rell, p_blueban4=orianna, p_blueban5=sylas
, d_redban1=쓰레쉬, d_redban2=알리스타, d_redban3=루시안(리그 오브 레전드), d_redban4=라칸(리그 오브 레전드), d_redban5=그라가스
, p_redban1=thresh, p_redban2=alistar, p_redban3=lucian, p_redban4=rakan, p_redban5=gragas
, d_bluepic1=제이스(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pic2=헤카림, d_bluepic3=라이즈, d_bluepic4=자야(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pic5=노틸러스(리그 오브 레전드)
, p_bluepic1=jayce, p_bluepic2=hecarim, p_bluepic3=ryze, p_bluepic4=xayah, p_bluepic5=nautilus
, d_redpic1=이렐리아, d_redpic2=우디르, d_redpic3=빅토르(리그 오브 레전드), d_redpic4=카이사, d_redpic5=레오나(리그 오브 레전드)
, p_redpic1=irelia, p_redpic2=udyr, p_redpic3=viktor, p_redpic4=kaisa, p_redpic5=leona)]
드래곤 |
→ → → |
너구리는 3개의 솔로킬을 따고 이렐리아로 4대 1에서 한명을 데려가거나 샤오후의 제이스를 라인전에서 말 그대로 압도하는등 할 수 있는 최고의 플레이들을 보여주었으나 노답이었던 LWX와 1세트 헤카림과 달리 좋지 못했던 티안의 우디르를 데리고 뭘 할수가 없었다.
2.3. 3세트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10밴픽, blueteam=FunPlus Phoenix, redteam=Royal Never Give Up
, d_blueban1=알리스타, d_blueban2=루시안(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ban3=우디르, d_blueban4=라칸(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ban5=노틸러스(리그 오브 레전드)
, p_blueban1=alistar, p_blueban2=lucian, p_blueban3=udyr, p_blueban4=rakan, p_blueban5=nautilus
, d_redban1=쓰레쉬, d_redban2=탐 켄치, d_redban3=헤카림, d_redban4=릴리아(리그 오브 레전드), d_redban5=트위스티드 페이트
, p_redban1=thresh, p_redban2=tahmKench, p_redban3=hecarim, p_redban4=lillia, p_redban5=twistedFate
, d_bluepic1=제이스(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pic2=볼리베어, d_bluepic3=아칼리, d_bluepic4=트리스타나, d_bluepic5=렐(리그 오브 레전드)
, p_bluepic1=jayce, p_bluepic2=volibear, p_bluepic3=akali, p_bluepic4=tristana, p_bluepic5=rell
, d_redpic1=그라가스, d_redpic2=올라프(리그 오브 레전드), d_redpic3=오리아나(리그 오브 레전드), d_redpic4=카이사, d_redpic5=레오나(리그 오브 레전드)
, p_redpic1=gragas, p_redpic2=olaf, p_redpic3=orianna, p_redpic4=kaisa, p_redpic5=leona)]
드래곤 |
→ → → |
초반 2레벨 구간에 트리스타나-렐 봇듀오의 강함을 근거로 FPX 봇듀오가 앞점멸-철마술로 이니시를 걸었으나, lwx가 와드를 부쉬 밖에 박아 시야가 없던 바람에 평타를 치지 못하면서 카이사가 역으로 더블킬을 챙기면서 사실상 이때부터 FPX의 바텀 구도가 무너진다. 16분 3번째 용을 두고 벌어진 한타에서 RNG가 서포터인 밍만 내주고 에이스를 띄우면서 게임이 터져버린다. 그리고 20분 쯤, FPX가 한타를 유리하게 시작했으나, 끝까지 살아남은 갈라의 카이사가 끝까지 어그로핑퐁을 해내며 펜타킬을 띄우고 만다. 22분 쯤, RNG는 미드에 전령을 깔면서 억제기 타워까지 깨고 4번째 용으로 향했으나, 그 과정에서 티안의 볼리베어와 린웨이샹의 트리스타나가 콜이 갈렸는지 빼지 않다가 카이사에게 더블킬을 헌납, 카이사가 10/0/2를 찍고 만다. 25분 쯤, FPX의 레드측에서 한타가 열렸고, RNG가 한 명도 내주지 않고 에이스를 띄우며 게임을 끝낸다.
이번 세트에서는 린웨이샹(LWX)이 역적으로 보일 정도로 LWX의 저하된 폼이 눈에 띄었다. 초반 듀오킬부터 시작해서, 용에서 빼지 않고 있다가 갈라에게 짤리고, 한타에서 딜링을 잘 해내지 못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이후로도 Lwx는 4용 대치 상황에서 아군 탑과 미드가 아직 합류하지 않았음에도 앞점프로 무리하게 싸움을 걸다 오리아나의 궁으로 터져버리는 등 매우 큰 실수를 연발했다.
LWX과 Crisp가 시원하게 또 말아먹었고, 라인전부터 굴려야 하는 픽을 고른 너구리는 유의미한 격차를 벌리지 못한 경기였다. 2세트부터 대두되기 시작한 바텀차이의 심각함을 여지없이 보여준 경기. 시작부터 무너진 바텀은 그 이후로도 회복되지 못했고, 펜타킬까지 카이사에게 헌납하며 게임이 무너져내렸다. 다음 세트에서는 바텀이 무너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가 될 것으로 보인다.
2.4. 4세트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10밴픽, blueteam=FunPlus Phoenix, redteam=Royal Never Give Up
, d_blueban1=루시안(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ban2=알리스타, d_blueban3=카이사, d_blueban4=레오나(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ban5=노틸러스(리그 오브 레전드)
, p_blueban1=lucian, p_blueban2=alistar, p_blueban3=kaisa, p_blueban4=leona, p_blueban5=nautilus
, d_redban1=쓰레쉬, d_redban2=탐 켄치, d_redban3=렐(리그 오브 레전드), d_redban4=라칸(리그 오브 레전드), d_redban5=트위스티드 페이트
, p_redban1=thresh, p_redban2=tahmKench, p_redban3=rell, p_redban4=rakan, p_redban5=twistedFate
, d_bluepic1=제이스(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pic2=헤카림, d_bluepic3=라이즈, d_bluepic4=자야(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pic5=갈리오
, p_bluepic1=jayce, p_bluepic2=hecarim, p_bluepic3=ryze, p_bluepic4=xayah, p_bluepic5=galio
, d_redpic1=그라가스, d_redpic2=우디르, d_redpic3=오리아나(리그 오브 레전드), d_redpic4=트리스타나, d_redpic5=세트(리그 오브 레전드)
, p_redpic1=gragas, p_redpic2=udyr, p_redpic3=orianna, p_redpic4=tristana, p_redpic5=sett)]
드래곤 |
→ → → |
이번에도 또 명백한 바텀차이에다가 너구리마저 무너지고 만다.
티안과 lwx가 전판과 더불어 결승전에 맞지 않은 경기력을 유지하면서 팀이 점점 안좋게 기울어지는 추세를 보이더니, 너구리가 다이브 실패와 샤오후의 솔킬로 인해 완전히 몰락해버리고 23분이라는 상당히 짧은 시간에 넥서스가 깨진다.
너구리의 제이스는 2,3세트의 티안과 바텀듀오에도 꿀리지 않을 1/9/2 라는 처참한 K/DA를 선보이며 4세트의 패배에 일조하였다. 도인비도 자신의 픽이 무엇보다도 성장이 중요한 라이즈임에도 불구하고, 포탑 방패와 다량의 미니언을 버려둔 채 너구리에 의해 꼬인 탑을 풀러왔으나 웨이의 적당한 개입과 샤오후의 플레이로 시간이 끌려버리면서 성장손해가 가중되어버리면서 FPX의 패배를 막을 수 없었다.
2.5. 총평
우승 Royal Never Give Up |
너구리와 쇼메이커가 다시 만나는 일은 없었다. 3연 도장깨기에 모든 힘을 쏟아부은 FPX는 거짓말같이 RNG에게 참패하고 말았다. RNG는 FPX에게 1년 반만에 다시 결승에서 만나 같은 스코어로 되갚아주며 우승 및 3년만에 MSI에 진출하게 되었다. 반면 FPX는 너구리와 도인비가 분전했으나 정글과 바텀의 폼 저하를 끝내 이겨내지 못하고 씁쓸하게 준우승을 하게 되었다. 다만, 정규시즌 정글 주전이었던 보가 승부조작 이슈로 이탈되고 팀이 매우 어수선한 분위기에서 결승전까지 올라왔다는 점 자체는 긍정적으로 평가할 만한 요소다.
승부의 기점은 정글과 바텀 차이. 갈라는 RNG의 간판스타이자 역체원 소리까지 듣던 우지의 빈자리가 느껴지지 않을 정도의 역대급 폼을 보여주며 결승무대에서 펜타킬까지 쓸어담으며 캐리력을 입증했고, 밍 또한 갈라가 날아다닐 수 있게 라인전 단계부터 초석을 놓음과 동시에 상체가 밀리면 귀신같은 로밍으로 복구시키는 서폿의 정석을 보여줬다. 정글 또한 소리없이 밀리는 모습을 보여줬는데 웨이는 성장이 말려도 퍼스트 팀 정글러 답게 예리한 정글 동선 설계로 극복하는 모습을 보여주었고, 반대로 티안은 1세트에서는 날카로운 모습을 보여주었지만 나머지 세트에서는 꽤 말리는 모습을 보여주었으며, Lwx는 못했다는 말 밖에는 할 말이 없을 정도로 최악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