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04 11:21:04

히미코전

파일:attachment/071025himikoden01.jpg

1. 개요2. 미디어 믹스
2.1. 게임2.2. 애니메이션
2.2.1. 주제가2.2.2. 회차 목록2.2.3. 평가
2.3. 코믹스

[clearfix]

1. 개요

火魅子伝 / Legend of Himiko

일본의 광고 회사 하쿠호도가 당시 한창 인기를 끌던 사쿠라 대전에 자극받아 레드컴퍼니에 협력을 제의하여 'JAPAN FANTASY PROJECT'라는 기획으로 추진한 90년대 말의 미디어 믹스 작품. 기획 초기부터 원소스 멀티 유즈를 염두에 두고 있었기 때문에 제작 발표회에서 소설, 애니메이션, 게임, 만화, 피규어들을 전부 한꺼번에 공개하며 의욕을 보여주었고, 소설판은 마이사카 코우에 게임 제작은 히로이 오지, 캐릭터 원안은 Oh!Great, 오프닝과 엔딩의 작감은 고토 케이지 등등 각 방면의 실력자들이 모였기에 이 화려한 스태프진 덕분에 나름 주목받기도 했다.

그러나 정작 발매된 물건은 소설, 게임, 애니메이션, 만화가 죄다 하나도 안맞고 따로따로 노는 안좋은 의미로 장대한 스케일을 보여주었다. 만드는 측에서는 나름 같은 설정을 둔 스핀오프 내지 패러렐 월드로 나간 듯하나, 보는 사람 입장에서는 도저히 그렇게 느껴지지 않는다는 것이 문제.

2. 미디어 믹스

2.1. 게임

게임 버전은 부제가 따로 붙는다. 火魅子伝 〜恋解〜

세미 리얼타임 스타일의 전투에 연애가 옵션으로 붙는 플레이스테이션용의 전형적인 캐릭터 게임. TV판 애니메이션의 악명 때문에 함께 저평가되는 일이 많지만 그 히로이 오지가 손을 댄 덕분인지 생각보다 무난하며, 별로 쿠소게라고 불릴 정도의 심각하게 못 만든 부분도 없는 평작. 그렇지만 사쿠라 대전만큼 확 눈에 띄는 부분도 없었기 때문에 다른 미디어가 박살이 나면서 게임도 같이 묻히고 말았다.

거기다 제목이 히미코전이면서 메인 히로인인 현대의 히미코는 프롤로그 이후로 등장하지도 않는다. 엔딩에 가서야 나올까 말까 한다. 또 2D풍의 캐릭터 디자인을 잘 뽑아놓고 전투가 어정쩡한 3D인 것도 빈축을 샀다. 참고로 오프닝과 엔딩곡이 TV판과 다르다. 히로인 역 성우들이 함께 부른 오프닝 '炎の女王'과 엔딩곡 '忘れないで'. 다만 'PURE SNOW'도 다른 영상으로 함께 들어가 있다.

2.2. 애니메이션

히미코전 (1999)
火魅子伝
파일:히미코전_애니.jpg
{{{#373a3c,#dddddd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원안 마이사카 코우(舞阪 洸)
원작 「히미코전 ~연해~」
감독 토모부키 아미(知吹愛弓)
조감독 시무라 히로아키
스토리 컨셉 토야마 소우(外山 草)
시리즈 구성 쿠라모토 산시로(蔵元三四郎)
히라야나기 마스미(平柳益実)
캐릭터 원안 오구레 이토
캐릭터 디자인 카도노소노 메구미(門之園恵美)
디자인 웍스 고토 케이지
캐릭터 디자인 협력 히가시데 후토시(東出 太)
미술 감독 우라타 켄키치(浦田健吉)
색채 설계 아오야마 마나미(青山まなみ)
촬영 감독 와타나베 히데토시(渡邊英俊)
편집 마츠오 히로시(松尾 浩)
아다치 히로시(足立 浩)
음악 하이시마 쿠니아키(蓜島邦明)
음향 감독 츠루오카 요타
프로듀서 자이젠 켄이치로(財前健一郎)
미네기시 타쿠오(峯岸卓生)
카케 아키라(加計 晃)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오오니시 토시키(大西敏樹)
사쿠라이 히로시(桜井 宏)
애니메이션 제작 그룹 택(グループ・タック)
제작 히미코전 애니메이션 제작위원회
방영 기간 1999. 01. 07. ~ 1999. 04. 01.
방송국 파일:일본 국기.svg 테레비 도쿄 / (목) 01:45
편당 러닝타임 24분
화수 12화
시청 등급 정보 없음
관련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

애니메이션판은 플레이스테이션용으로 개발된 어둠과 주술이 얽힌 정복전쟁을 주 스토리 라인으로 잡은 동명의 게임을 바탕으로 제작되었다. 오구레 이토가 원안을 맡아서 화제를 모았고, 1999년 1월 7일부터 총 12화 완결로 방영되었다. 감독은 토모부키 아미.

본편의 퀄에 비해 성우진이 대단히 화려하다.

2.2.1. 주제가

2.2.1.1. OP
OP (01~12화)
PURE SNOW
TV ver.
Full ver.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사사키 유코
작사 사사키 유코, 야마모토 에이미(山本 英美)
작곡 키네 나오토(木根 尚登)
편곡 니시와키 타츠야(西脇 辰弥)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콘티 고토 케이지
연출
작화감독 카도노소노 메구미(門之園恵美)
원화 고토 케이지, 야마네 마사히로, 미야자와 츠토무(宮澤 努), 니시노 리에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가사)
}}}}}}}}} ||

가사의 내용은 친구의 연인을 사랑하게 되어버린 여자가 괴로워하며 언젠가는 자신에게 와주기를 바라는 이야기다. 국내 인터넷에 재페니메이션이 소개되던 시절의 국내 커뮤니티에서는 오프닝 작화가 고퀄리티라 화제가 되었는데, 막상 일본에서는 아는 사람만 아는 수준인 듯하다. 니코동에 애갤에서 꼽은 애니송 순위가 올라왔을 때 이 노래가 나오자 대부분의 코멘트가 '이게 무슨 노래야?' 였다. # 여담으로 이 오프닝은 후에 아이돌 마스터 신데렐라 걸즈에서 토토키 아이리가 커버해서 부르게 된다. #
2.2.1.2. ED
ED (01~12화)
瞬の色をかえて
순간의 색을 바꾸어
TV ver.
Full ver.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오쿠도이 미카(奥土居 美可)
작사
작곡
편곡 Michael Donovan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콘티 고토 케이지
연출
작화감독 카도노소노 메구미(門之園恵美)
원화 고토 케이지, 토미오카 타카시, 나카시마 리에(中島りえ)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가사)
}}}}}}}}} ||

오프닝의 작화를 담당했던 고토 케이지가 엔딩의 작화도 담당한 덕분에 오프닝처럼 역동적이지는 않지만 나름 고퀄리티를 자랑한다.

2.2.2. 회차 목록

<rowcolor=#373a3c,#dddddd> 회차 제목 각본 콘티 연출 작화감독 방영일
제1화 墨火
봇카
쿠라모토 산시로
(蔵元三四郎)
토모부키 아미
(知吹愛弓)
츠치야 아키라
(土屋 日)
카토 히로토
(加藤洋人)
나가노 노부아키
스기에 토시하루
1999.01.07.
제2화 闇の泉
어둠의 샘
히라야나기 마스미
(平柳益実)
마스이 소이치 이노카와 신타로
(井之川慎太郎)
야나세 유지 1999.01.14.
제3화 夜追いの邪鬼
어둠을 쫓는 사귀
쿠라모토 산시로 오오세키 마사유키
(大関雅幸)
사카모토 다이지로
(坂元大二郎)
1999.01.21.
제4화 隠れ里
숨겨진 마을
히라야나기 마스미 사토 타쿠야 스즈키 카오루
(鈴木 薫)
시마다 히데아키
(島田英明)
1999.02.04.
제5화 天霊
천령
쿠라모토 산시로 코무라 토시아키 오타니 마사히토
(雄谷将仁)
이이다 히로요시
(飯田宏義)
1999.02.11.
제6화 首飾り
목걸이
히라야나기 마스미 코모토 쇼고
(河本昇悟)
츠치야 아키라 카토 히로토 1999.02.18.
제7화 征西都督府
정서도독부
쿠라모토 산시로 사토 타쿠야 사토 히데카즈 소토자키 하루오 1999.02.25.
제8화 信天翁
신천옹
히라야나기 마스미 오오세키 마사유키 사카모토 다이지로 1999.03.04.
제9화 火焔城
화염성
쿠라모토 산시로 코모토 쇼고 스즈키 카오루 시마다 히데아키
(しまだひであき)
1999.03.11.
제10화 火の守
불의 방패
히라야나기 마스미 코무라 토시아키 오타니 마사히토 키요야마 시게타카
(清山滋崇)
1999.03.18.
제11화 枇杷島
비파도
쿠라모토 산시로 코모토 쇼고 코바야시 토모키 카토 히로토 1999.03.25.
제12화 七支之御剣
칠지의 어검
히라야나기 마스미 사토 타쿠야 미도로 무세이
(三泥無成)
미와 카즈미
(三輪和美)
소토자키 하루오
나가노 노부아키
1999.04.01.

2.2.3. 평가

본 작품의 주제가였던 사사키 유코의 노래 'PURE SNOW'가 삽입된 오프닝은 완성도 높은 영상[1]과 노래로 지금까지도 애니메이션 팬들의 입에 오르내릴 정도로 인상적인 오프닝으로 꼽힌다.

그러나 레전드급으로 회자되는 오프닝 영상과 노래에 비해 애니의 스토리 전개와 퀄리티는 최악이라는 평을 듣는다. 감흥은 커녕 지지부진하고 이해되지 않는 막장 스토리 전개, 어색하게 그지없는 동작, 1편 분량 내에서도 병사 모션을 재활용해 쓰는 저예산 퀄리티의 작화를 보여준다. 이 때문에 오프닝만 보고 버리는 애니, 오프닝과 본편이 한없이 반비례하는 애니, 본편을 보겠다면 밥 싸들고 따라다니며 말릴 애니, 오프닝 제작에 제작 예산을 다 써버린 듯한 애니 등의 악평을 들었다. 특히 2화와 6화가 막장 중의 막장으로 일컬어진다.

성우진은 최고급으로 구성되었는데, 전술한 인물들 외에도 와카모토 노리오, 마츠모토 야스노리 등 이름만 들어도 입이 떡 벌어질 만한 성우진들이 대거 포진해 있다. 하지만 이렇게 유명한 성우들을 캐스팅해 놓고도 퀄리티가 매우 떨어진다.

무엇보다 히로인인 히미코의 성우인 오토미야 츠바사의 발연기가 매우 끝내준다. 그나마 북미판은 베로니카 테일러가 담당해서 발연기 논란은 없었던게 다행.

국내에선 스토리상 백제인이 악당으로 나오는 작품이라 알려졌지만, 정작 애니판에선 백제와 관련된 인물은 등장하지 않는다. 그나마 주인공 쿠타니의 최종병기 칠지도가 유일한 백제와의 연결고리일 뿐이다.

2.3. 코믹스

부제는 火魅子伝 〜恋解〜 臥雲の章. 게임판의 프롤로그에 해당하는 이야기로 캐릭터 원안과 소설판 삽화를 맡은 Oh!Great가 직접 그렸으며, 월간 코믹드래곤에서 1998년 12월부터 반 년 동안 연재되었다. 국내에서는 부제 빼고 그냥 '히미코전'이라는 제목으로 (주)대원(현 대원씨아이)에서 일부 페이지를 수정하여 정식으로 번역하여 들여왔다. 헌데 스토리 작가 이름과 일러스트레이터의 이름을 반대로 써 놓았다.


[1] 오프닝의 작화감독을 맡은 사람은 기동전함 나데시코에서 캐릭터 디자인 및 작화를 담당했던 고토 케이지 되시겠다. 여담으로 엔딩 작화도 이 사람이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