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조 이력
* 4량화 (311G01~07편성)
2008년, 311000호대 7차분인 5X79~5X80편성의 중간차와 5X86~5X92편성과 6X01~6X07편성 부수차 일부 그리고 사고로 인해 선두부쪽 2량이 폐차된 5X19편성, 총합 28량에 대해, 일부 중간차에 대하여 선두차화 개조를 실시했다. 다만 5X79~5X80편성의 선두차는 321000호대 전동차의 321C16~15편성의 선두차로 편성되었다. 이를 통해 8량 3편성과 2량 2편성은 4량 7편성으로 적절히 개조되었다. 이렇게 개조된 편성들은 319000호대로 개번되어 운행되고 있다. 이 과정에서 5X79~5X80편성이 결번되었으며, 5000호대가 311000호대로 개정될 때 구 5X81편성부터 구 5X85편성까지는 3씩 앞당긴 후 오름차순으로 대응시켜 311B78~82편성으로 개정되었다.
* 외부 행선안내기 LED 개조
2003년부터 내장재 불연재화 개조와 함께 외부 행선안내기가 기존의 회전 스크린식(흔히 말하는 롤지)인 1~5차분(311B01~63편성)에 대하여 외부 행선안내기를 LED로 변경하는 개조를 실시했다. 불연재화 개조와 함께 2005년에 완료되었다.
* 한국철도공사 신 CI 도색 변경
도입 당시 구 CI로 도입된 311B01~52편성에 한해, 2005년부터 한국철도공사가 신CI의 코레일 블루(남색)+빨간색으로의 도장 변경에 나섰다. 2006년 6월에 내장재 교체 사업과 함께 도장 변경 사업이 모두 완료되었다. 이후 2016~2017년에 311B33, 35, 38, 41~80, 311G01~05편성을 341B07, 12~13, 23~30, 351F61~72편성과 비슷한 시기에 도장 재변경 사업을 했다.
* 객실 간 통로문 자동식 개조
2008년부터 2013년까지 한 편성씩 객실 간 연결문이 자동문(1~2차)으로 모두 교체됐으며 2012년에 도입된 3세대형 9차분부터는 모두 자동 통로문(2차)을 장착해서 도입됐다. 이후 2017년부터 도입되는 4세대형 12차분부터는 자동 통로문(3차)이 2개(319000호대 1개)만 제외하고는 모두 제거되어 도입된다.
5X86~5X92편성을 대상으로 한다. 이들은 본래 수도권 전철 1호선의 모든 구간에서 운행이 가능했으나, 2007년에 수도권 전철 중앙선 전동차로 편입되면서 8량으로 감차됨과 동시에, 직류-교류 컨버터와 필터리액터 등 직류 관련 기기를 철거하여 교류 전용 전동차가 되었다. 직류구간 뛰지도 않으면서 직류 관련 기기가 달려있으면 정비효율만 저하시킬 뿐이기 때문이다. 이와 동시에 중앙선(現 경의·중앙선)에서만 운용할 수 있게 되어, 차량번호도 321C01~07로 변경되었으며 8량화 작업으로 인해 남은 중간차는 새로 신조 투입된 321C15~18편성이나 311G01~05편성의 중간 객차로 들어갔다. 이 과정에서 내부 행선 안내기를 321C15~18편성에 맞춰 LED에서 LCD로 변경하는 개조도 실시했다.
* 전부 표지등 LED 교체
2015년 즈음부터 기존 실드빔 방식의 전조등이 흰색 LED로 변경되기 시작했다.
* 출입문 전동화 개조
311B47, 311B51~54, 311B58~60편성은 출입문이 기존 공기식에서 전동 스크류모터식으로 개조되었다. 개조를 실시함에 따라 출입문 개폐 시 공기 빠지는 소음이 사라졌다. 추가로 311B55~57편성도 전기식으로 개조되었는데 2013년부터 생산되는 신차에 적용되는 저소음 도어가 적용되었다. 해당 차량들은 열릴 때 경고음이 나왔고 닫힐 때는 안 나오다가 아예 출입문 경고음이 나지 않았지만 지금은 안내방송 기기 교체로 경고음이 난다. 노선도 부분에 큰 장치(수동레버)가 붙어서 튀어나와 있는지의 여부로 구분할 수 있다. 이는 비상콕크가 좌석 밑에 설치되는 종전의 공기식 모터와 달리 출입문 옆에 설치되는 전기식 스크류모터를 설치할 만한 공간을 고려하지 않은 구형 전동차의 구조상 어쩔 수 없기 때문이다.
* 운전실 배전반 교체
2019년 전후로 1~8차분(311B01~82편성) 운전실의 청록색의 밀폐형 창을 가진 구형 배전반들이 9~11차분(311B83~312B03편성)에 적용된 흰색의 투명 유리창을 가진 신형 배전반들로 교체되었다.
* 바닥재 장판 교체
도입 당시 6차분(311B64~65편성)은 바닥재 색상이 전면 하늘색으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좌석 형태와 출입문 위 노선도 부착 공간이 기존 도입분과 다르다. 그러나 하늘색 바닥재는 히터열로 인한 변색 및 훼손이 심해져 311B64편성은 회색 장판, 311B65편성은 파란색 장판으로 교체됐다. 출입문 앞쪽 바닥의 철판 양옆을 유심히 살펴보면 하늘색 바닥재의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
* 차내 CCTV 설치
2022년쯤부터 4~10차분(311B42~94편성) 및 11차분 일부 편성(311B99~312B03편성)에 기존 311B95~98, 312B04~최신 편성에 미리 적용된 차내 CCTV 및 CCTV를 위한 운전실 모니터가 설치되었다.
* 측면 행선기 비활성화
12차분 전동차가 운행을 개시한 시점부터 Tc칸을 제외한 모든 객차의 측면 행선기를 꺼 놓았다. 12차분 이후 차량부터는 기본적으로 측면 행선기가 Tc칸에만 달려서 나온다.
* 외부 행선안내기 LED 개조
2003년부터 내장재 불연재화 개조와 함께 외부 행선안내기가 기존의 회전 스크린식(흔히 말하는 롤지)인 1~5차분(311B01~63편성)에 대하여 외부 행선안내기를 LED로 변경하는 개조를 실시했다. 불연재화 개조와 함께 2005년에 완료되었다.
* 한국철도공사 신 CI 도색 변경
도입 당시 구 CI로 도입된 311B01~52편성에 한해, 2005년부터 한국철도공사가 신CI의 코레일 블루(남색)+빨간색으로의 도장 변경에 나섰다. 2006년 6월에 내장재 교체 사업과 함께 도장 변경 사업이 모두 완료되었다. 이후 2016~2017년에 311B33, 35, 38, 41~80, 311G01~05편성을 341B07, 12~13, 23~30, 351F61~72편성과 비슷한 시기에 도장 재변경 사업을 했다.
* 객실 간 통로문 자동식 개조
2008년부터 2013년까지 한 편성씩 객실 간 연결문이 자동문(1~2차)으로 모두 교체됐으며 2012년에 도입된 3세대형 9차분부터는 모두 자동 통로문(2차)을 장착해서 도입됐다. 이후 2017년부터 도입되는 4세대형 12차분부터는 자동 통로문(3차)이 2개(319000호대 1개)만 제외하고는 모두 제거되어 도입된다.
* 자동 통로문(1차): 311B01~30, 311B54~56, 311B58~60, 311B62~63편성
* 자동 통로문(2차): 311B31~53, 311B57, 311B61, 311B64~312B03, 311G01~07편성
* 자동 통로문(3차): 312B04~56, 319F08~10편성
* 교류 전용화 (321000호대 일부)* 자동 통로문(2차): 311B31~53, 311B57, 311B61, 311B64~312B03, 311G01~07편성
* 자동 통로문(3차): 312B04~56, 319F08~10편성
5X86~5X92편성을 대상으로 한다. 이들은 본래 수도권 전철 1호선의 모든 구간에서 운행이 가능했으나, 2007년에 수도권 전철 중앙선 전동차로 편입되면서 8량으로 감차됨과 동시에, 직류-교류 컨버터와 필터리액터 등 직류 관련 기기를 철거하여 교류 전용 전동차가 되었다. 직류구간 뛰지도 않으면서 직류 관련 기기가 달려있으면 정비효율만 저하시킬 뿐이기 때문이다. 이와 동시에 중앙선(現 경의·중앙선)에서만 운용할 수 있게 되어, 차량번호도 321C01~07로 변경되었으며 8량화 작업으로 인해 남은 중간차는 새로 신조 투입된 321C15~18편성이나 311G01~05편성의 중간 객차로 들어갔다. 이 과정에서 내부 행선 안내기를 321C15~18편성에 맞춰 LED에서 LCD로 변경하는 개조도 실시했다.
* 전부 표지등 LED 교체
2015년 즈음부터 기존 실드빔 방식의 전조등이 흰색 LED로 변경되기 시작했다.
* 출입문 전동화 개조
311B47, 311B51~54, 311B58~60편성은 출입문이 기존 공기식에서 전동 스크류모터식으로 개조되었다. 개조를 실시함에 따라 출입문 개폐 시 공기 빠지는 소음이 사라졌다. 추가로 311B55~57편성도 전기식으로 개조되었는데 2013년부터 생산되는 신차에 적용되는 저소음 도어가 적용되었다. 해당 차량들은 열릴 때 경고음이 나왔고 닫힐 때는 안 나오다가 아예 출입문 경고음이 나지 않았지만 지금은 안내방송 기기 교체로 경고음이 난다. 노선도 부분에 큰 장치(수동레버)가 붙어서 튀어나와 있는지의 여부로 구분할 수 있다. 이는 비상콕크가 좌석 밑에 설치되는 종전의 공기식 모터와 달리 출입문 옆에 설치되는 전기식 스크류모터를 설치할 만한 공간을 고려하지 않은 구형 전동차의 구조상 어쩔 수 없기 때문이다.
* 운전실 배전반 교체
2019년 전후로 1~8차분(311B01~82편성) 운전실의 청록색의 밀폐형 창을 가진 구형 배전반들이 9~11차분(311B83~312B03편성)에 적용된 흰색의 투명 유리창을 가진 신형 배전반들로 교체되었다.
* 바닥재 장판 교체
도입 당시 6차분(311B64~65편성)은 바닥재 색상이 전면 하늘색으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좌석 형태와 출입문 위 노선도 부착 공간이 기존 도입분과 다르다. 그러나 하늘색 바닥재는 히터열로 인한 변색 및 훼손이 심해져 311B64편성은 회색 장판, 311B65편성은 파란색 장판으로 교체됐다. 출입문 앞쪽 바닥의 철판 양옆을 유심히 살펴보면 하늘색 바닥재의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
* 차내 CCTV 설치
2022년쯤부터 4~10차분(311B42~94편성) 및 11차분 일부 편성(311B99~312B03편성)에 기존 311B95~98, 312B04~최신 편성에 미리 적용된 차내 CCTV 및 CCTV를 위한 운전실 모니터가 설치되었다.
* 측면 행선기 비활성화
12차분 전동차가 운행을 개시한 시점부터 Tc칸을 제외한 모든 객차의 측면 행선기를 꺼 놓았다. 12차분 이후 차량부터는 기본적으로 측면 행선기가 Tc칸에만 달려서 나온다.
1.1. 내장재 불연재화 개조
개조 후 (1차: 로윈에서 개조) |
개조 후 (2차: 로윈에서 개조) |
개조 후 (3차: SLS 중공업에서 개조) |
1~3차분 열차의 내장재 개조 시기에 따른 특징은 다음과 같다.
- 로윈(1차): 311B01~311B29, 311G06~311G07편성
- 바닥 장판이 파란색이다.
- TC칸의 비상통화장치가 운전실 벽 중앙에 위치하고 돌출형이다.
- TC칸의 통로문 측 비상통화장치는 좌측 상단에 있고 뚜껑이 두껍다.
- 중간 객차의 한쪽 비상통화장치는 매립형이고 뚜껑이 두껍다.
- 반대쪽 비상통화장치는 돌출형이고 뚜껑이 얇다.
- 좌석 양 끝의 차단막에 있는 코레일 로고 마크가 크다.
- 로윈(2차)[1]: 311B30~311B41편성
- 바닥 장판이 회색이다.
- TC칸의 비상통화장치가 운전실 벽 좌측에 위치하고 돌출형이다.
- TC칸의 통로문 측 비상통화장치는 통로문 우측에 있고 뚜껑이 얇으며 매립형이다.
- 중간 객차의 비상통화장치는 모두 매립형이고 뚜껑이 얇다.
- 좌석 양 끝의 차단막에 있는 코레일 로고 마크가 작다.
4~5차분 열차의 내장재 개조 시기에 따른 특징은 다음과 같다. 단, 4~5차분인 경우 바닥재, 좌석 시트, 손잡이만 개조했다.
- SLS 중공업(3차): 311B42~311B63편성
- 바닥 장판이 파란색이다.
- 바상통화장치를 추가로 설치했다.
- TC칸의 비상통화장치가 운전실 벽 중앙에 위치하고 돌출형이다.
- TC칸의 통로문 측 비상통화장치는 통로문 우측에 있고 돌출형이다.
- 중간 객차의 비상통화장치는 양쪽 모두 돌출형이다.
- 좌석 양 끝의 차단막에 있는 코레일 영문 마크가 크다.
1, 3차 개조분들의 경우 바닥이 파란색으로 되어 있는데 2차 개조분들의 경우 바닥이 회색으로 되어 있어 바닥에 커피 등이 묻었을 때 자국이 많이 남는 편이다.
5X07~5X10편성(개번 후 311B07~10편성)은 내장재 첫 개조 시범 대상으로 2003년 11월에 개조되었다.
역시 2003년 12월 ~ 2004년 1월에 개조했던 2X30~2X37, 2X47~2X48, 2X50, 2X55~2X59편성(개번 후 341B01~341B08, 351F01~351F08편성)과 동일하게 분리형 좌석이 달린 전동차는 1호선에 3량이 있는데 현재 311B39, 41편성의 일부 무동력 객차에 해당한다. 311B39편성의 7호차는 4호선 출신 341602호, 311B41편성의 4호차는 4호선 출신 341304호, 7호차는 4호선 출신 341604호이기 때문에 좌석이 한 자리씩 분리되어 있고 의자 맨 끝 부분이 파여 있었다.[2] 하지만 현재는 모두 운행중지되어 더 이상 볼 수 없게 됐다.
1.2. 추진제어장치 교체
2003년부터 일부 차량의 추진제어장치(C/I)가 IGBT 방식으로 교체되었다. 도시바제 2레벨 IGBT를 채용했다.- 2006년 2세대 5차분인 311B63편성 (당시 5X64편성)의 311763, 311863호[3]
- 2012년 1세대 3차분인 311B35편성
- 2013년 1세대 2차분인 311G06~07편성
- 2015년 1세대 2차분인 311B13, 311B16편성
- 2015년 2세대 5차분인 311B48편성
- 2016년 1세대 3차분인 311B37~41편성 (311B39~41편성은 중저항 T칸 부수차 포함)
- 2017년 2세대 5차분인 311B54~56, 311B59편성
- 2018년 2세대 4차분인 311B42~45편성
1.2.1. 오해
GTO에서 IGBT로 넘어가는 과도기형 시대라 다음과 같은 오해가 생길 수 있다.1.2.2. 2003년 5X64편성(현 311B63편성) GTO/IGBT 병용 사유
- 그러면 311B63편성은 왜 도시바 GTO/ IGBT 소자로 혼합되어 반입되었을까?
- 원래 계획상으로는 2003년도에 1호선 311B48~63편성(당시 5X49~5X64편성)을 우선 도시바 GTO(80량) 소자로 반입하고 그다음 분당선 선릉~수서 연장 개통을 대비해 351F23~28편성(2X82~2X87편성)을 도시바 IGBT(18량) 소자로 반입할 예정이었다. 당시 추진제어장치(C/I) 관련해서도 계약이 그렇게 되어 있었다. 하지만 열차 및 도시바 IGBT 소자 반입이 예정을 따라가지 못하게 되었고, 개통을 앞두고도 같은 상황이 지속되자 결국 계획을 급수정하여 351F23~28편성(당시 2X82~2X87편성)을 그냥 도시바 GTO 소자로 반입하고 나머지 도시바 IGBT(18량) 소자를 311B60~63편성(당시 5X61~5X64편성)에 장착해서 반입하기로 결정했다. 이 과정에서 311B63편성(당시 5X64편성)만 도시바 GTO(2량) 소자와 도시바 IGBT(3량) 소자가 혼합되어 반입된 것이다.
1.3. 조성 변경
2010년 1월, 모종의 사유로 1호선 2차분 5X14, 5X23, 5X25편성(현 311B14, 311B22, 311B24편성)의 조성이 1달간 변경된 적이 있었다.
<colbgcolor=#fff,#181818>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2010년 1월 기준 운행 중인 차량 조성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color=#ffffff><colbgcolor=#0052a4> 2010년 1월 기존 운행 중인 차량 조성 | |||||||||||
변경된 부수객차는 볼드체 및 색깔 표시했다. | ||||||||||||
<rowcolor=#ffffff> 편성 / 호차 |
1호차 (Tc) |
2호차 (M) |
3호차 (M') |
4호차 (T) |
5호차 (M') |
6호차 (T1) |
7호차 (T) |
8호차 (M) |
9호차 (M') |
10호차 (Tc) |
비고 | |
5X14 | 5014 | 5214 | 5314 | 5814 | 5514 | 5414 | 5914 | 5623 | 5723 | 5123 | ||
5X23 | 5023 | 5223 | 5323 | 5823 | 5523 | 5423 | 5923 | 5614 | 5714 | 5125 | ||
5X25 | 5025 | 5225 | 5325 | 5825 | 5525 | 5425 | 5925 | 5625 | 5725 | 5114 |
2012년 하반기부터 2013년 12월 8일까지 311B86~87편성은 중앙선 전동차의 객실과 혼용하여 운행했다.
<colbgcolor=#fff,#181818>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2012년 하반기 기준 운행 중인 차량 조성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color=#ffffff><colbgcolor=#0052a4> 2012년 하반기 기준 운행 중인 차량 조성 | |||||||||||
변경된 부수객차는 볼드체 및 색깔 표시했다. | ||||||||||||
<rowcolor=#ffffff> 편성 / 호차 |
1호차 (Tc) |
2호차 (M) |
3호차 (M') |
4호차 (T) |
5호차 (M') |
6호차 (T1) |
7호차 (T) |
8호차 (M) |
9호차 (M') |
10호차 (Tc) |
비고 | |
311B86 | 311086 | 321508 | 311286 | 321408 | 311486 | 311586 | 321412 | 321512 | 311886 | 311986 | ||
311B87 | 311087 | 321513 | 311287 | 321413 | 311487 | 311587 | 321414 | 321514 | 311887 | 311987 |
2014년 하반기에 311B90~91편성이 경춘선 361C14~15편성하고 신규객차 각각 2량씩 재조성하여 운행했지만 311B91편성은 361C14편성으로 바뀌어서 경춘선으로 복귀되었다.
<colbgcolor=#fff,#181818>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2014년 하반기 기준 운행 중인 차량 조성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color=#ffffff><colbgcolor=#0052a4> 2014년 하반기 기준 운행 중인 차량 조성 | |||||||||||
변경된 부수객차는 볼드체 및 색깔 표시했다. | ||||||||||||
<rowcolor=#ffffff> 편성 / 호차 |
1호차 (Tc) |
2호차 (M) |
3호차 (M') |
4호차 (T) |
5호차 (M') |
6호차 (T1) |
7호차 (T) |
8호차 (M) |
9호차 (M') |
10호차 (Tc) |
비고 | |
311B90 | 361014 | 361114 | 361214 | 361314 | 311490 | 311590 | 361414 | 361514 | 361614 | 361914 | ||
311B91 | 361015 | 361115 | 361215 | 361315 | 311491 | 311591 | 361415 | 361515 | 361615 | 361915 |
2014년 상반기에 311B53~54편성의 객차가 서로 바뀌었으나 2015년 초에 다시 원상복구되었다.
<colbgcolor=#fff,#181818>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2014년 상반기 기준 운행 중인 차량 조성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color=#ffffff><colbgcolor=#0052a4> 2014년 상반기 기준 운행 중인 차량 조성 | |||||||||||
변경된 부수객차는 볼드체 및 색깔 표시했다. | ||||||||||||
<rowcolor=#ffffff> 편성 / 호차 |
1호차 (Tc) |
2호차 (M) |
3호차 (M') |
4호차 (T) |
5호차 (M') |
6호차 (T1) |
7호차 (T) |
8호차 (M) |
9호차 (M') |
10호차 (Tc) |
비고 | |
311B53 | 311053 | 311153 | 311253 | 311353 | 311453 | 311553 | 311653 | 311754 | 311854 | 311953 | ||
311B54 | 311054 | 311154 | 311254 | 311354 | 311454 | 311554 | 311654 | 311753 | 311853 | 311954 |
2017년부터 중저항 출신 부수객차들의 노후화로 인해 조성을 변경하게 되었으며, 2023년까지 311B39~41편성까지 총 3개 편성만이 1호선에서 유일하게 조성이 변경되어 있었다. 현재는 3개 편성 모두 기본 내구연한이 만료되어 운행이 중단된 상태이다.
<colbgcolor=#fff,#181818>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2019년 기준 운행 중인 차량 조성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52a4><rowcolor=#ffffff> 편성 | 교체투입된 차량 | 편성제외된 차량 |
<colcolor=#0052a4> |
341602(7) | 311639(7) | |
|
311302(4), 311602(7) | 311340(4), 311640(7) | |
|
341304(4), 341604(7) | 311341(4), 311641(7) |
<colcolor=#ffffff><colbgcolor=#0052a4> 2019년 기준 운행 중인 차량 조성 | |||||||||||
변경된 부수객차는 볼드체 및 색깔 표시했다. | |||||||||||
<rowcolor=#ffffff> 편성 / 호차 |
1호차 (Tc) |
2호차 (M) |
3호차 (M') |
4호차 (T) |
5호차 (M') |
6호차 (T1) |
7호차 (T) |
8호차 (M) |
9호차 (M') |
10호차 (Tc) |
비고 |
311B39 | 311039 | 311139 | 311239 | 311339 | 311439 | 311539 | 341602 | 311739 | 311839 | 311939 | |
311B40 | 311040 | 311140 | 311240 | 311302 | 311440 | 311540 | 311602 | 311740 | 311840 | 311940 | |
311B41 | 311041 | 311141 | 311241 | 341304 | 311441 | 311541 | 341604 | 311741 | 311841 | 311941 |
<colbgcolor=#fff,#181818>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2022년 기준 운행 중인 차량 조성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52a4><rowcolor=#ffffff> 편성 | 교체투입된 차량 | 편성제외된 차량 |
<colcolor=#0052a4> |
341602(7) | - | |
|
341313(4), 341613(7) | 311302(4), 311602(7) | |
|
341304(4), 341604(7) | - |
<colcolor=#ffffff><colbgcolor=#0052a4> 2022년 기준 운행 중인 차량 조성 | |||||||||||
변경된 부수객차는 볼드체 및 색깔 표시했다. | |||||||||||
<rowcolor=#ffffff> 편성 / 호차 |
1호차 (Tc) |
2호차 (M) |
3호차 (M') |
4호차 (T) |
5호차 (M') |
6호차 (T1) |
7호차 (T) |
8호차 (M) |
9호차 (M') |
10호차 (Tc) |
비고 |
311B39 | 311039 | 311139 | 311239 | 311339 | 311439 | 311539 | 341602 | 311739 | 311839 | 311939 | |
311B40 | 311040 | 311140 | 311240 | 341313 | 311440 | 311540 | 341613 | 311740 | 311840 | 311940 | [4] |
311B41 | 311041 | 311141 | 311241 | 341304 | 311441 | 311541 | 341604 | 311741 | 311841 | 311941 |
편성 제외된 객차들은 현재 모두 매각되었다.
[1]
조성이 변경되며 대신 연결된 일부 객차는 제외
[2]
1993년산 4호선과 1993~1994년산 수인·분당선 초기형 차량들의 의자는 모두 이렇게 구성되어 있다. 현 341B01~08, 351F01~08편성이 해당 차량이다. 341B04편성은 1호선 311B01의 부수객차 8량이 들어가 TC칸만 해당되고 341B07편성은 4호선 341B13펀성의 부수객차 2량이 들어가 10량 중 8량만 해당된다.
[3]
2세대 5차분 중 유일한 GTO/IGBT 짬뽕이었던 311B63편성 (구 5X64편성)이 나머지 객차도 IGBT로 교체되면서 모든 객차가 통일되었다.
[4]
2022년 1호선 차량 내구연한 만료로 조성이 변경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