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26 22:12:33

포말하우트

파일:Piscis Austrinus Outline.png
[[남쪽물고기자리#구성원|남쪽물고기자리의 천체{{{#!wiki style="font: Italic bold 1em/1.5 Times New Roman, serif; color: #fff;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text-align: center;"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50%; min-height: 2em;"
{{{#!folding [ 항성 ]
{{{#!wiki style="margin: -5px 0; letter-spacing: -1px;"
바이어 명칭 순
알파성
포말하우트
Fomalhaut
베타성
남쪽물고기자리 베타
β PsA
감마성
남쪽물고기자리 감마
γ PsA
델타성
남쪽물고기자리 델타
δ PsA
엡실론성
남쪽물고기자리 엡실론
ε PsA
제타성
남쪽물고기자리 제타
ζ PsA
에타성
남쪽물고기자리 에타
η PsA
세타성
남쪽물고기자리 세타
θ PsA
이오타성
남쪽물고기자리 이오타 1· 2
ι PsA
람다성
남쪽물고기자리 람다
λ PsA
뮤성
남쪽물고기자리 뮤
μ PsA
파이성
남쪽물고기자리 파이 1· 2
π PsA
타우성
남쪽물고기자리 타우
τ PsA
웁실론성
남쪽물고기자리 웁실론
υ PsA
-
-
플램스티드 명칭 순
남쪽물고기자리 1
남쪽물고기자리 2
남쪽물고기자리 3
남쪽물고기자리 4
남쪽물고기자리 5
남쪽물고기자리 6
남쪽물고기자리 7
남쪽물고기자리 8
그 외 남쪽물고기자리에 속한 항성
라카유 9352 - - -
}}}}}}
}}}
[ 심원천체 ]
||<bgcolor=white,#1c1d1f><width=25%> NGC 7314 G ||<bgcolor=white,#1c1d1f><width=25%> NGC 7130 G ||<bgcolor=white,#1c1d1f><width=25%> PKS 2155-304O ||<bgcolor=white,#1c1d1f><width=25%> 아벨 S1077 G ||
S: 성단, N: 성운, G: 은하, O: 기타 천체, ?: 불명
}}}||
틀:별자리 · 남쪽물고기자리 · 천문학 관련 정보

글리제의 근접 항성 목록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ruby(* 고래자리 타우, ruby=글리제71)] [ruby(* 에리다누스자리 엡실론, ruby=글리제144)] [ruby(시리우스, ruby=글리제244)] [ruby(카스토르, ruby=글리제278)] [ruby(* 루이텐의 별, ruby=글리제279)]
[ruby(프로키온, ruby=글리제280)] [ruby(* 폴룩스, ruby=글리제286)] [ruby(* 볼프 359, ruby=글리제406)] [ruby(* 로스 128, ruby=글리제447)] [ruby(볼프 424, ruby=글리제473)]
[ruby(아르크투루스, ruby=글리제541)] [ruby(* 프록시마, ruby=글리제551)] [ruby(센타우루스자리 알파, ruby=글리제559)] * 글리제581 * 글리제667
[ruby(* 바너드 별, ruby=글리제699)] [ruby(베가, ruby=글리제721)] [ruby(로스 154, ruby=글리제729)] [ruby(알타이르, ruby=글리제768)] * 글리제832
* 글리제876 [ruby(포말하우트, ruby=글리제881)] [ruby(* HD 219134, ruby=글리제892)] * 글리제1132 [ruby(* WD 0806−661, ruby=글리제3483)]
틀에는 등장하지 않은 다른 천체들의 목록
외계 행성이 발견된 별은 *이 붙음
}}}}}}}}} ||

포말하우트
Fomalhaut
파일:포말하우트.jpg
{{{-3 {{{#!wiki style="text-align: center"
파일:attachment/포말하우트/Example.jpg
포말하우트와 대규모 먼지 디스크
관측 정보
위치 적경 A: 22h 57m 39.0465s
B: 22h 56m 24.0533s
C: 22h 48m 04.47s
적위 A: -29° 37′ 20.050″
B: -31° 33′ 56.035″
C: -24° 22′ 07.5″
별자리 A, B: 남쪽물고기자리, C: 물병자리
물리적 성질
형태 A: A형 주계열성
B: K형 주계열성
C: 적색왜성
분광형 A: A3V
B: K5Vp
C: M4V
거리 A: 25.13±0.09 광년
7.70±0.03 파섹
B: 24.793±0.005 광년
7.602±0.002 파섹
반지름 A: 1.842±0.019 R
B: 0.629±0.051 R
질량 A: 1.92±0.02 M
B: 0.725±0.036 M
평균 온도 A: 8,590 K
B: 4,711 K
나이 A, B: 4억 4,000만 년
운동 시선속도 A: +6.5 km/s
B: +6 km/s
자전 속도 A: 93 km/s
B: 2.93 km/s
광학적 성질
겉보기 등급 A: +1.16
B: +6.48
C: +12.62
절대 등급 A: +1.72
B: +7.08
광도 A: 16.63±0.48 태양광도
B: 0.19 태양광도
명칭
A: 포말하우트, 남쪽물고기자리 알파(Alpha Piscis Austrini, α PsA), 남쪽물고기자리 24(24 Piscis Austrini), Gl 881, HD 216956, HIP 113368, HR 8728, SAO 191524
B: 포말하우트 B, 남쪽물고기자리 TW(TW Piscis Austrini), 2MASS J22562403-3133559, Gl 879, HR 8721, HD 216803, SAO 214197, HIP 113283
C: LP 876-10, 2MASS J22480446-2422075, GSC 06964-01226

1. 개요2. 외계 행성의 존재?
2.1. 외계행성은 존재하지 않았다
3. 3중성계
3.1. 남쪽물고기자리 TW3.2. LP 876-10

1. 개요

포말하우트 남쪽물고기자리 알파성이다. 지구로부터의 거리는 25광년, 예상 수명은 약 10억년이고 현재 나이는 2억-3억년 사이이다. 분광형은 A3V로 그 질량은 태양의 1.92배 정도로 추정된다.

포말하우트라는 이름은 아랍어로 '물고기의 입'을 의미하는 풂 알-하우트(فُمْ اَلْحَوْتْ)에서 유래했다.

밤하늘에서 19번째로 밝은 항성[1]으로, 밝기는 약 1.2등급이다. 밝은 항성이 적은 북반구 가을철 하늘에서 홀로 밝게 빛나서 '가을철의 외로운 별'이라는 별명이 있기도 하다. 실제로 가을에 제일 밝다는 별들을 묶어놓은 가을의 대사각형이라는 별들도 죄다 2등성이나 3등성인 지경이고 나머지들은 3등성 이하이니 광공해가 좀 있다 싶으면 텅 빈 밤하늘에 포말하우트만 보인다.

아래에 서술하겠지만 일반적으로 포말하우트는 이 항성을 가리키며 별도로 표기할 경우는 포말하우트 A로 표기한다

먼지 디스크가 유명하며 ' 사우론의 눈'이라는 별명이 있다.

2. 외계 행성의 존재?


파일:attachment/포말하우트/Example2.jpg
태양계와 포말하우트계의 비교

파일:attachment/포말하우트/Example3.jpg
포말하우트b의 상상화

가시광선을 통해 행성의 존재가 확인 된 몇 안되는 항성계 중 하나로, 포말하우트b는 최초의 사례이다. 허블망원경을 통한 사진을 분석하던 중 이동한 행성의 존재가 우연히 확인된 것이다. 지구와 항성 간의 거리, 그리고 항성과 행성의 어마어마한 광도 차이를 감안하면 행성을 광학적인 수단으로 발견해 내는 것은 거의 불가능에 가깝다. 포말하우트b는 극히 예외적인 경우라고 할 수 있다.

포말하우트는 상당한 규모의 먼지 디스크를 형성하고 있는데 여기서 행성 b가 발견되었다. 포말하우트b는 가스행성으로 그 규모는 목성~해왕성 이상일 것으로 추정된다.

거리는 모항성에서 115AU(공전주기는 약 880년)이며 이는 태앙~해왕성 거리의 4배 규모. 다만 모항성 밝기가 16배나 되기 때문에 해왕성이 받는 빛의 양과 비슷할 것이다.

가시광선영역이 밝은데 비해 적외선 영역이 상당히 어두운데, 이는 고리가 존재할 가능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목성규모의 2~3배 정도일 것으로 추정된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738px-NASA%27s_Hubble_Reveals_Rogue_Planetary_Orbit_For_Fomalhaut_B.jpg

과거 2006년에 첫 확인된 이후 스피처 망원경의 추가 추적에서 발견되지 않아 행성존재에 논란이 지속되어왔으나 2010년과 12년 허블망원경에 의해 다시 발견되었다. 허블 우주 망원경은 지속적으로 포말하우트b의 위치 이동을 추적하고 있다.

그러나...

2.1. 외계행성은 존재하지 않았다

그런데 2020년 4월, 포말하우트 b는 외계 행성이 아닌 먼지구름일 뿐이라는 연구 결과가 제시되었다. 안 그래도 외로운 별인데 더 비참해졌다.

허블우주망원경을 위탁받아 운용하는 '우주망원경과학연구소'(STScI)와 애리조나대학 등에 따르면 이 대학 천문학과 스튜워드 천문대의 조지 리케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은 포말하우트b 관측 자료를 재분석해 "행성 크기의 천체는 애초부터 존재하지 않았다"는 결론을 내리고 관련 논문을 미국 국립과학원 회보(PNAS) 최신호에 발표했다. #관련기사

또, 200km 크기의 두 천체가 충돌했다는 설도 나온상태이다. #

파일:STScI-01EVSTTNM01FEPNK9KN2T42CTT.png

NASA에서는 위 사진처럼 허블망원경에서도 더 이상 관측이 되지 않자, 2020년 NASA는 공식적으로 외계행성 확인 후보에서 제거하였다.[2]

파일:STScI-01GWWHJ0YFMD3FBXY26K710WKY.png

또한 정말로 행성이 존재하지 않았다는 것을 실증하기 위해 2023년 제임스 웹으로 다시한번 관측했으나 위의 사진처럼 아무것도 관측되지 않음으로써 결국 먼지구름이 일시적으로 뭉처서 행성처럼 보였을 뿐, 실제 행성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3. 3중성계

포말하우트 계열 항성으로 2개가 더 있다.

3.1. 남쪽물고기자리 TW

파일:포말하우트 B.png
포말하우트 B라고도 불리는 항성으로 포말하우트 A에서는 0.9광년 떨어져 있다. 주계열성( 오렌지색 왜성[3])으로 태양 질량의 80%, 가시광선은 약 12%정도다.

플레어 활동이 격렬하게 발생하는 편으로 목성 질량의 1.2배인 행성 존재 가능성이 추정되고 있지만 검증되지 않아서 단정지을 수 없다.

3.2. LP 876-10

파일:포말하우트 C.png
포말하우트 C라고도 불리는 항성으로 포말하우트 A에서는 2.5광년 떨어져 있다. 적색왜성으로 태양 질량의 20%이며, 빛은 태양의 0.004배이다.

먼지디스크가 발견되었으며 크기는 10-40AU 정도일 것으로 추정된다.

거리가 꽤 멀어 같은 계열성인지에 관한 논란이 있었던 것도 사실이지만 2013년 이후에는 포말하우트 시스템이 6광년 정도의 범위인 것으로 추정되고 있어 같은 계열일 것으로 간주되고 있다.

C가 A를 한번 공전하는데는 2천만년이 걸릴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포말하우트 성계가 지구에서 가까운 편이고 포말하우트 C가 A에서 먼 편이기 때문에 천구상에서는 A와 꽤 멀리 떨어져 보이며, 심지어 남쪽물고기자리 경계를 넘어 물병자리 영역으로 나타난다.


[1] 태양 제외 [2] 점점 원이 커지는 것은 뭉처있던 먼지구름이 퍼져나가면서 커지는 것이다. [3] K5계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