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베르스카야 역 | ||
호브리노 방면
마야콥스카야 ← -.- ㎞ |
2호선 (033) |
알마-아틴스카야 방면 테아트랄나야 -.- ㎞ → |
7호선으로 갈아타기 | ||
9호선으로 갈아타기 | ||
다국어 표기 | ||
러시아어 | Тверская | |
영어 | Tverskaya | |
주소 | ||
모스크바 중앙구 트베르스코이 지구 Москва Центральный Тверской |
||
운영 기관 | ||
2호선 | ||
개업일 | ||
1979년 6월 20일 |
[clearfix]
1. 개요
모스크바 지하철 2호선 자모스크보레츠카야선의 역.역명은 역 위의 트베르스카야 거리에서 비롯됐다. 소련 시절에는 이 곳을 고리콥스카야역이라고 불렸다.
트베르스카야라는 이름은 이 길이 모스크바 공국의 라이벌이었던 트베리 공국으로 이어졌기 때문. 트베리는 지금도 러시아의 도시로서 그 이름을 이어가고 있다. 다만 소련 시절에는 많은 러시아의 도시들이 그러했듯, 트베리 대신 칼리닌으로 불렸다.
17~18세기에는 러시아 사회의 중심으로 불리며 모스크바 상류층의 거주지이기도 했던 곳. 톨스토이의 소설 안나 카레니나에서도 이 거리의 일부분이 묘사된다.
이 역에서 나와 조금 걸어가면 모스크바를 세운 유리 돌고루키 공의 기마상을 볼 수 있다.
2000년 8월 이 역과 파르크 쿨투리 역에서 폭탄 테러가 일어나 2000명 정도가 사망했다.
타간스코-크라스노프레스넨스카야선의 푸시킨스카야 역과 세르푸홉스코-티미랴젭스카야선의 체홉스카야 역으로 환승할 수 있다. 예전에 이 역이 고리콥스카야 역으로 불렸을 당시에는 러시아를 대표하는 작가 세 명[1]의 이름을 딴 역끼리 환승이 가능했던 것. 고리콥스카야 역이 트베르스카야 역이 된 지금은 그 의미가 퇴색했지만, 지금도 이 환승역은 모스크바 지하철 내에서도 이용객 수가 많은 곳이다.
2. 메체에서
2.1. 메트로 2033
한국어판에는 트베르로 번역됐다. 제4제국에 소속된 역이다. 푸시킨스카야에서 벌어진 유혈사태 때문에 아르티옴의 교수형이 집행되기로 한 곳이다. 아르티옴은 푸시킨스카야로 추정되는 곳에서 심문과 고문을 함께 받은 다음 체홉스카야로 추정되는 곳의 승강장에 있는 감방에 끌려간다.거기서 몇 시간동안 갇힌 아르티옴은 사형 집행시간이 되자 두 명의 자동소총 사수에 의해 트베르스카야의 승강장으로 끌려간다. 승강장에는 교수형을 위한 가설무대가 설치되어 있다. 사형집행인은 가설무대의 발판이 마음에 들지 않아서 상관에게 불만을 표하지만 무시당한다. 이윽고 아르티옴을 끌고 처형장에 끌고 온 사람들은 그의 외투와 스웨터를 벗긴다. 그들은 아르티옴의 목에 헌터가 준 목걸이가 걸린 것을 보고 아르티옴의 주머니에 넣어둔다.[2]
사형집행인이 밧줄을 당기기 시작하자 아르티옴은 자기가 임무를 수행하지 못하여 죽기엔 이르다는 생각을 하기 시작한다. 이 때 아르티옴 앞에 헌터의 괴로워하는 모습이 잠시 나타났으며 수호이의 눈이 아르티옴을 부드럽게 응시하다가 사라진다.
이 때 터널에서 갑자기 비명이 울리고 기관총 소리가 나기 시작한다. 사형집행을 담당하던 지휘관은 주위를 둘러보다가 밧줄을 당기라고 명령한다. 이 때 발판이 움직이자 아르티옴의 발이 발판에서 떨어져 나간다. 올가미가 그의 목을 조이기 시작하자 아르티옴은 죽음의 문턱에 이르기 시작한다.
그때 갑자기 노란 연기가 역을 뒤덮자 아르티옴은 의식을 잃는다. 잠시 후 아르티옴 주위에 여러 사람들이 그를 깨우려고 하자 그는 현 상태가 숨이 끊어지기 직전의 무의식 상태라고 믿는다. 하지만 그는 붉은 여단의 특공대에게 구조되어 목숨을 건진 것이다. 곧 정신을 차린 아르티옴은 제4제국의 추격자들을 피해 특공대원과 함께 파벨레츠카야로 전속력으로 이동하게 된다.
-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