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28 19:11:41

아스트랄 헬로키티.Ov.R'-0

키티 베이에서 넘어옴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베이블레이드 버스트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헬로키티/완구
{{{#!wiki style="margin: -10px -10px; padding:5px 0" <table align=center><tablewidth=340><tablebordercolor=#fff,#000> 파일:헬로키티 로고.svg 헬로키티
관련 문서
}}} ||
[ 펼치기 · 접기 ]

헬로키티 OVA · 키티즈 파라다이스 · 헬로키티와 스텀프 빌리지

SIMPLE 1500 시리즈 · 헬로키티 스윗파티

리틀퓨처북 헬로키티펜 5 · 아스트랄 헬로키티
도서

헬로키티 썼다 지웠다 따라 그리기 · 헬로키티 다니엘을 만나고 싶어
관련 인물

시미즈 유코 · 야마구치 유코 · 하야시바라 메구미
관련 문서

산리오 ( 산리오/캐릭터 · 산리오 캐릭터즈) · 제품 · 네코무라 이로하 · 은하수미디어 · 제이콥 · 바니랜드 · 다이소

1. 개요2. B-00 아스트랄 헬로키티.Ov.R'-0 3. 이야깃거리

1. 개요

파일:rawingPict키ure_1658214558906~2.png
파일:FW3oF-1acAAeIF실Y.jpg_small.jpg
헬로키티가 슛하는 공식 이미지 키티 베이 실물
산리오 캐릭터들의 시연 영상[1] 제작 예고 영상

헬로키티 타카라토미의 콜라보 제품. 코로코로 이벤트 한정으로 9월 17일 일본에서 먼저 발매하고 영실업을 통해 정발될 예정이었지만, 계약 문제 때문에 출시가 무산되었다.

2. B-00 아스트랄 헬로키티.Ov.R'-0

파일:1660405468422.png
파일:1656941036160.png 파일:1660405446377.png 파일:0_아머.png 파일:Im골ㅡ든a오버ge_737486.png 파일:리볼브 대시.png
DB코어 - 헬로키티(HK) 블레이드 - 아스트랄(A)[2] 아머 - 제로(0)[3] 디스크 - 오버(Ov) 드라이버 - 리볼브 대시(R')

키티베이는 2022년 3월에 콜라보한다는 소식이 나왔으며, 6월달에 시제품이 공개되었다. 시제품이기 때문에 코어가 저런 것이라고 했지만 정말 저대로 출시해 많은 사람들의 아쉬움을 샀다.[시제품이미지]
DB 코어 - 헬로키티
헬로키티 코어는 좌회전쪽은 3락을, 우회전쪽은 높은 4락을, 회전 방향에 따라 다른 락을 가진 양회전 코어다. 그냥 평평한 코어에 키티 그림만 그려져있어 호불호가 갈린다. 대회에서는 스프리건 코어와 다른 개체로 분류될 것으로 예상된다. 무게는 약 7.37g
블레이드 - 아스트랄
아스트랄 스프리건의 아스트랄 블레이드가 재록되었다.
월드 링, 마스터 베이스같은 리버시블 블레이드이다. 우회전 모드는 레이어 상단의 메탈 파츠로 강렬한 공격을 가하며, 좌회전 모드는 레이어 상단에 파란색 러버가 드러나면서 회전 흡수를 한다. 무게는 11.87g. 성능상 장기전에 특화되어 있던 이전 모델[5]과 달리, 아스트랄 블레이드는 공격에 치중된 형태로 되어 있다.

러버, 메탈 파츠가 붙은 부분으로 가하는 공격 위력은 상당하며, 회전력이 떨어진 상태에서도 오버 피니쉬를 노릴 수 있을 정도다. 다만 그만큼 반동을 심하게 받고, 역날 부분을 가격 당할 경우 데미지를 크게 받는 점[6] 때문에 동회전 싸움에 특화된 형태임에도 동회전 싸움에서 약하다는 모순이 생긴다.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 락이 강한 대시 드라이버 채용이 추천된다.

아스트랄 스프리건과 다르게 눈 스티커가 없다.
파일:1660405886975.png
파일:1660406049265.png
좌회전 모드 우회전 모드

아머 - 제로
0 아머는 치우침이 적은 형태를 가지고 있다. 무게는 13.92g. 형태가 심플하고 중량이 크며, 아스트랄 스프리건의 파츠 중 가장 리스크가 적다. 2021년 10월 기준 L기어 제외 아머중 가장 성능이 좋다. 그 다음은 9나 4가 자주 쓰인다.
디스크 - 오버
오버 디스크는 제로 디스크와 유사한 형태이며 원형에 가까운 모양의 중량급 디스크다. 무게는 약 33.68g으로 기가 디스크보다 무겁지만, 저중심 드라이버와 사용하면 스타디움 바닥에 쓸린다는 단점이 있어 범용성 면에서는 떨어진다는 평가가 나온다. 베어링 대시, 메탈 드리프트, 디스트로이 계열 드라이버와 궁합이 좋아 월드 링이나 로어, 다이너마이트(F기어)와 사용되고 있다. 또한 과거 더블오 디스크처럼 개체 차이가 심한 편이며, 심하면 1~2g까지 차이가 난다.
드라이버 - 리볼브 대시
리볼브 대시는 가장 마지막에 출시한 듀얼레이어 세대 대시 드라이버로, 듀얼레이어 시즌 대회에서 탑티어였던 만큼 지금도 성능이 나쁘다곤 할 수 없으나 익스텐드 플러스 등 더 좋은 성능의 드라이버가 여럿 출시 되었기 때문에 채용률이 떨어진다.[7]

3. 이야깃거리


[1] 시연 영상을 보면 알겠지만 디바인으로 스갓발을 잡는다(…) [2] 뒤집은 모양 (좌회전 모드). 파일:1660405865867.png [3] 스티커 미포함. [시제품이미지] 파일:aa3736d017659144716fc46e4aa658b9d4ff68759d85de82707e4d2ce88dc049.jpg [5] 스프리건 레퀴엠, 초제트 스프리건, 로드 스프리건, 월드 스프리건. [6] 이런 단점은 이전 모델 스톰 스프리건, 레전드 스프리건과 유사하다. [7] 리볼드의 강점이 지구력이 좋다는 건데 압도적으로 지구력이 뛰어난 드리프트 시리즈 드라이버가 나왔기 때문에 굳이 리볼브를 써야 할 이유가 없다. [8] 단 랜덤 부스터 조합 포함시, 랜덤 부스터 10에서 획득 가능한 레전드 스프리건.0U(제로 언더).Nt(너싱)이 존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