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퀘냐의 문법을 정리한 문서이다.2. 관사
관사는 정관사 i가 존재한다. 부정관사는 존재하지 않는다. i의 형태는 모든 수형에서 동일하다.퀘냐 | 영어 | 한국어 |
elda | elf (= an elf) | 요정 |
i elda | the elf | 그 요정 |
eldar | elves | 요정들, 엘다르 |
i eldar | the elves | 그 요정들 |
3. 대명사
퀘냐의 대명사는 인칭어미형, 독립형, 소유접미사형이 있다. 인칭어미형은 다시 긴 인칭어미형과 짧은 인칭어미형으로 나뉜다.3.1. 인칭어미형
-
긴 어미(3형식 주어)
인칭 단수 양수 복수
-lme[포괄적] ||
-lle ||
별도의 언급이 없으면 혼용해도 상관없다.
4. 명사
퀘냐의 명사는 수, 격에 따라 굴절한다. 문법적 성은 자연적 성을 가지는 일부 명사를 제외하고는 따지지 않는다.4.1. 명사의 수
퀘냐 명사의 수형은 총 4가지이다.- 단수, 양수, 복수, 부분복수
4.2. 명사의 격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퀘냐 격형태는 크게 9가지이다.-
주격(nominative), 대격(accusative), 속격(genitive), 소유격(possessive), 여격(dative), 처격(locative), 향격(allative), 탈격(ablative), 도구격(instrumental)
ex) cirya(배)
단수 | 양수 | 복수 | 부분 복수 | |
주격 | cirya | ciryat | ciryar | ciryali |
대격 | ciryá | ciryat | ciryai | ciryali |
속격 | ciryo | ciryato | ciryaron | ciryalion |
소유격 | ciryava | ciryatwa | ciryaiva | ciryaliva |
여격 | ciryan | ciryant | ciryain | ciryalin |
처격 | ciryassë | ciryatsë | ciryassen | ciryalisse(n) |
향격 | ciryanna | ciryanta | ciryannar | ciryalinna(r) |
탈격 | ciryallo | ciryalto | ciryallon | ciryalillo(n) |
도구격 | ciryanen | ciryanten | ciryainen | ciryalinen |
- 대격(accusative)은 타동사의 직접목적어를 나타낸다. 고대 퀘냐에서는 주격과 대격의 형태가 엄격하게 구분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구분은 후대 퀘냐에 이를수록 희미해져, 이윽고 주격과 완전히 동일한 형태로 굳어지게 되었다. 고형(古形)으로서의 대격형은 문어 퀘냐(The Book Quenya)와 바냐르 퀘냐에서나 찾아볼 수 있게 되었다.
-
속격(genitive)와 소유격(possessive)는 둘다 영어에서의 소유격(-'s, of-), 한국어에서의 소유격('-의')으로 번역되지만, 분명히 다른 격이다. 속격은 1) 대상이 다른 대상에게 속할 때, 2) 이야기의 주제일 때,[4] 3) 가족관계를 나타낼 때 사용되며, 소유격은 1) 대상이 다른 대상을 소유할 때, 2) 대상으로부터 기원했을 때, 3) 대상이 전체의 한 부분일 때 쓰인다. 퀘냐를 모국어로 구사하지 않는 인간들에게는 조금 모호해보일 수도 있지만, 어찌됐든 이 둘은 분명하게 구분되는 편이다.[5]
만약 구분이 힘들면 속격을 우선적으로 쓰는 것을 추천하는데, 3시대에는 속격이 소유격도 대체하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 형태적으로 비슷한 격은 의미도 유사하다. 여격 어미 -n과 향격 어미 -nna, 속격 어미 -o와 탈격 어미 -llo는 각각 '추상적 이동'과 '물리적 이동'의 의미적 근연 관계를 맺고 있다. 비슷한 예시로 처격 어미 -ssë 로부터 파생된 듯한 축약처격(Short Locative) 어미 -s도 간혹 발견되는데, 명확한 의미에 대해서는 여전히 논쟁이 많다.
5. 동사
6. 형용사
7. 부사
[배타적]
이 어미는 청자를 제외한 1인칭 복수에 쓰였다. -mme는 너(-l-)를 제외한 나(-m-)들의 형태로 볼 수 있겠다.
[포괄적]
이 어미는 청자를 포함한 1인칭 복수에 쓰였다. -lme는 너(-l-) + 나(-m-)의 형태로 볼 수 있겠다.
[비격식]
비격식체에서 2인칭이다.
[4]
즉,
실마릴리온(Simarilion)은 실마릴들(simarili)에 관한 이야기다.
[5]
형태론적 관점에서 이 둘을 비교하면 그 차이가 더욱 명확해진다. 속격 어미 -o는 탈격 어미 -llo와 닮았으며, 소유격 어미는 명사의 형용사형과 동일하다는 점으로 미루어 보아, 두 격이 각각의 형태에서 파생되었음을 짐작해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