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전적인 의미로는 시침과 분침 이상의 기능[1]이 들어간 시계를 가리킨다. 그러니까 예로 티쏘 PRC 200도 사전적인 의미로는 컴플리케이션[2]인 셈.
하지만 쿼츠 시계가 등장하고 기술이 발달하면서 날짜 표시 같은 기능은 너무 대중화되어 더이상 컴플리케이션이라고 부르지도 않는다. 퍼페추얼 캘린더처럼 아무나 만들 수 없는 기능이 들어가던가, 아니면 최소한 정확도가 높은 고가의 기계식 시계 정도만이 컴플리케이션이라 불린다. 일반적으로 컴플리케이션이라고 하면 다음과 같은 기능들을 말한다.
기능명 | 기능 설명 |
스플릿 세컨드 크로노그래프 | 2개의 초침으로 2명 주자의 시간을 따로 측정 |
플라이백 크로노그래프 |
시작-정지-리셋-재시작의 4단계로 조작되는 일반
크로노그래프와 달리 시작-리셋&재시작의 2단계만으로 작동하는 것 |
퍼페추얼 캘린더 | 각 달마다 30,31일, 그리고 윤년의 2월 29일을 구분하여 달력 표시 |
리피터 | 버튼을 누르면 현재 시각을 타종 소리로 알림 |
조디악 캘린더 | 은하수나 천체, 혹은 별자리등을 표현하는 달력 |
투르비옹 | 중력에 의한 자세차 영향을 상쇄시키는 장치 |
점핑아워 & 점핑미닛 | 시/분이 바늘이 아닌 디스크의 숫자로 표시되는 것.[3] |
그랑 소네리 | Grand Sonnerie. 매시 정각과 각 15분마다 타종. 15분 타종없이 정각에만 타종하는 것은 프티 소네리(Petite Sonnerie)라고 함. |
카리용 | Carillon. 시계에서는 3~4개의 공과 해머로 정시를 알리는 멜로디와 타종음을 내는 것으로, 소네리의 발전형이라 볼 수 있다. 원래는 높낮이가 다른 종 여러개로 멜로디를 연주하는 종탑을 말하는 용어다. 대표적인 것이 빅 벤의 종소리, 즉 웨스트민스터 차임이 있다. 탁상 시계나 궤종 시계에서는 자주 볼 수 있는 기능이지만 손목 시계에서 이것을 구현하는 것은 난이도가 매우 높고, 제작 사례도 희귀하다. |
에뉴얼 캘린더는 세미 컴플리케이션으로 컴플리케이션 취급은 안해준다.
그랜드 컴플리케이션을 넘어선 최고의 복잡도를 가진 시계는 울트라 컴플리케이션이라고 부른다. 역시 명확한 기준이 있는 것은 아니고 최고로 복잡한 수준의 시계 정도의 의미. 이 정도 수준의 시계를 만들 수 있는 곳은 파텍 필립, 바쉐론 콘스탄틴, 브레게 정도다.[4]보면 알겠지만 전부 다 손목 위에 중형차 한 대가 우습게 올라가는, 5대 메이커에 들어가는 브랜드들이다.
대형 시계에서도 그랜드 컴플리케이션이라고 할 법한 물건들이 여전히 만들어지고는 있다. # 해당 시계는 영상 업로더가 호주의 시계장인한테 주문을 넣어서 10년 걸려서 만든 시계이고 디버깅 작업까지 해서 2022년에 완성되었다고 한다.
[1]
지금은 시계에 분침이 있는 게 당연히 여겨지지만 이건 1517년에야 개발되었고, 그러고도 표준이 되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걸렸다. 그래서 박물관에 전시된 옛날 시계나 유럽의 광장에 설치된
천문시계들은 다이얼이 24등분 되어 있고 시침만 있는 경우가 많다.
[2]
날짜 표시 +
크로노그래프.
[3]
점핑 아워는 그래도 꽤 있는 편이고 컴플리케이션으로 쳐주지 않지만, 점핑 미닛까지 함께 구현한 경우는 지극히 희귀하다.
랑에의 짜이트베르크(Zeitwerk), 해리 윈스턴(Harry Winston)이 비아니 할터(Vianney Halter)에게 의뢰하여 제작한 오퍼스(Opus)3,
프랭크 뮬러의 커벡스 CX 마스터 점퍼 등이 있다.
[4]
프랭크 뮬러도 기네스북에 오를 정도로 복잡한 컴플리케이션으로 이름을 날렸지만, 사업 확대 과정에서 엔트리급 라인의 가치 유지에 실패해서 브랜드 가치는 많이 떨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