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9:05:48

참회록(윤동주)

{{{#!wiki style="margin:-10px" <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6495ed><table bgcolor=#6495ed> 파일:윤동주 투명.png 윤동주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f5f5f5,#2d2f34> 생애 <colbgcolor=#fff,#1f2023> 생애
작품 목록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1)
<colbgcolor=#fff,#1f2023> 서시(序詩)
1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詩) 자화상(自畵像) · 소년(少年) · 눈 오는 지도(地圖) · 돌아와 보는 밤 · 병원(病院) · 새로운 길 · 간판(看板) 없는 거리 · 태초(太初)의 아츰 · 또 태초(太初)의 아츰 · 새벽이 올 때까지 · 무서운 시간(時間) · 십자가(十字架) · 바람이 불어 · 슬픈 족속(族屬) · 눈감고 간다 · 또 다른 고향(故鄕) · · 별 헤는 밤
2 흰 그림자 · 사랑스런 추억(追憶) · 흐르는 거리 · 쉽게 씌어진 시(詩) ·
3 참회록(懺悔錄) · 간(肝) · 위로(慰勞) · 팔복(八福) · 못자는 밤 · 달같이 · 고추밭 · 아우의 인상화(印象畵) · 사랑의 전당(殿堂) · 이적(異蹟) · 비오는 밤 · 산골물 · 유언(遺言) · 창(窓) · 바다 · 비로봉(毘盧峰) · 산협(山峽)의 오후(午後) · 명상(瞑想) · 소낙비 · 한난계(寒暖計) · 풍경(風景) · 달밤 · 장 · · 황혼(黃昏)이 바다가 되어 · 아침 · 빨래 · 꿈은 깨어지고 · 산림(山林) · 이런날 · 산상(山上) · 양지(陽地)쪽 · 닭 · 가슴Ⅰ · 가슴Ⅱ · 비둘기 · 황혼(黃昏) · 남(南)쪽 하늘 · 창공(蒼空) · 거리에서 · 삶과 죽음 · 초 한대
4 산울림 · 해바라기 얼굴 · 귀뜨라미와 나와 · 애기의 새벽 · 햇빛·바람 · 반디불 · 둘 다 · 거짓부리 · 눈 · 참새 · 버선본 · 편지 · 봄 · 무얼 먹고 사나 · 굴뚝 · 햇비 · 빗자루 · 기왓장 내외 · 오줌싸개 지도 · 병아리 · 조개껍질 · 겨울
5 트루게네프의 언덕 · 달을 쏘다 · 별똥 떨어진데 · 화원(花園)에 꽃이 핀다 · 종시(終始)
그 외 작품
관련 인물 마광수 · 문익환 · 백석 · 송몽규 · 윤형주 · 이양하 · 정병욱 · 정지용
관련 문서 윤동주문학관 · 연희전문학교 · 릿쿄대학 · 도시샤대학
대중매체/창작물 동주(영화) · 시인의 방 · 윤동주, 달을 쏘다.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background: #FFF; border-radius: 4px"
파일:윤동주_자필서명.png }}}
(1) 1955년 재판본 기준, 1948년 초판본에도 수록된 시는 볼드체로 표기

}}}}}}}}} ||
1. 개요2. 설명3. 내용
3.1. 전문3.2. 원문

1. 개요

윤동주 창씨개명을 하기 닷새 전에 지은 시.[1] 나라를 잃은 백성으로서의 부끄러움, 반성과 성찰 등이 주제로 시를 읽다보면 저절로 마음이 슬퍼지는 시이다.

2. 설명

이 시의 주제는 투철한 역사의식을 동반한 끊임없는 자아 성찰이다. '밤이면 밤마다 나의 거울을/손바닥으로 발바닥으로 닦아 보자.'는 구절은 바로 이러한 자아 성찰의 자세가 극명히 나타난 것으로, 온몸을 바쳐 자신을 꾸준히 되돌아보겠다는 의지가 내포되어 있다. 그렇게 하여 절망과 암흑의 '운석 밑으로 홀로 걸어가는/슬픈 사람'인 자신의 모습을 발견하게 된 화자는, 마침내 욕된 역사에 대한 책임 의식과 철저한 자기 참회의 실존적 자아 성찰을 통해 조국과 민족을 위한 삶의 좌표를 설정하는 것이다.

다음은 송우혜의 윤동주 평전 속 참회록에 관한 내용이다.
윤동주는 1월 29일에 창씨개명계를 신고했다. 그런데 이 ‘1942년 1월 29일’이란 날짜는 반드시 그의 시 ‘참회록’이 쓰인 ‘1942년 1월 24일’이란 날짜와 연결해서 생각해야 한다고 본다.
그가 창씨개명계를 신고한 날은 ‘참회록’을 쓴지 닷새만이다. 그래서 그 시기와 작품의 제목과 내용, 그리고 상황을 볼 때, 그가 ‘참회록을 씀으로써 자신의 감정과 각오를 일단 정리한 뒤에 연전에다 창씨개명계를 신고한 것으로 보는 것이다. 즉, 일본 유학을 결정하고 그걸 위해선 자신의 손으로 창씨개명계를 신고하는 것이 불가피하다고 각오했을때, 그 뼈아픈 욕됨으로 인해 쓰인 것이 ’참회록이라는 주장이다.

3. 내용

3.1. 전문

참회록
윤동주


파란 녹이 낀 구리 거울 속에
내 얼굴이 남아 있는 것은
어느 왕조의 유물이기에
이다지도 욕될까.

나는 나의 참회의 글을 한 줄에 줄이자.
― 만 이십사 년 일 개월을
무슨 기쁨을 바라 살아왔던가.

내일이나 모레나 그 어느 즐거운 날에
나는 또 한 줄의 참회록을 써야 한다.
― 그때 그 젊은 나이에
왜 그런 부끄런 고백을 했던가.

밤이면 밤마다 나의 거울을
손바닥으로 발바닥으로 닦아 보자.

그러면 어느 운석 밑으로 홀로 걸어가는
슬픈 사람의 뒷모양이
거울 속에 나타나 온다.

3.2. 원문

懺悔錄
윤동주


파란 녹이 낀 구리 거울속에
내얼골이 남어있는 것은
어느王朝의遺物이기에
이다지도 욕될까。

나는 나의 懺悔의글을 한줄에 주리자。
― 滿二十四年一介月을
무슨깁븜을 바라 살아왔든가。

내일이나 모레나 그어느 즐거운날에
나는 또 한줄의 懺悔錄을 써야한다。
― 그때 그 젊은 나이에
웨그런 부끄런 告白을 했든가。

밤이면 밤마다 나의 거울을
손바닥으로 발바닥으로 닦어보자。

그러면 어느 隕石 밑으로 홀로거러가는
슬픈사람의 뒷모양이
거울속에 나타나 온다。


一月二十四日。


[1] 다만 창씨개명은 윤동주가 일본 유학을 위한 자금과 도항증명서를 얻기 위해 어쩔 수 없이 한 것이므로 윤동주를 함부로 폄훼해서는 안 된다. 윤동주는 평생 동안 일제에 대해 부정적인 시를 지으며 살았고 독립운동 혐의로 체포되어 마지막 최후를 일제의 감옥에서 맞았으며 단 한 번도 일본어로 시를 지은 적이 없다. 수많은 인물들이 변절하던 1940년대에 변절하지 않았기 때문에 이육사와 함께 민족시인으로 추앙받는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51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51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