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3-11-15 20:59:24

짐 캐논 (리드 울프 전용기)/MSGO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짐 캐논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기동전사 건담 온라인/MS리스트(연방)
,
,
,
,
,


1. 개요2. 타기체와의 비교3. 무장구성 및 운용
3.1. 무기 리스트
4. 특성리스트5. 운용팁6. 단점

1. 개요

파일:external/en.gundam.info/20131225173116-38190.jpg
※ 기체스펙의 괄호 안의 붉은색 글씨는 개조 최대치
아프리카전선에서 활약하며, 춤추는 검은 사신이란 별명으로 공포의 대상이 되었던 지구연방군의 에이스 파일럿 리드 울프(リド・ウォルフ)의 커스텀 기체. 그리고 중저COST의 기체로서는 상상하기 힘들 정도로 준수한 무장구성과 빼어난 스펙을 자랑하며, 설정 그대로 지온측 유저들을 몹시 피곤하게 만드는 파리채 전문요원.

2. 타기체와의 비교

차지 빔라이플을 통한 일명 파리채 플레이가 가능한 기체로 비슷한 스타일의 기체는 연방, 지온을 가리지 않고 많긴 하지만, 울프짐[1]이 가진 가장 큰 장점은 차지 빔을 쏜 후 내장무기로 취급 받는 숄더 캐논이다보니 어떤 의미에서는 제법 독보적인 기체라 볼 수 있다. 거리만 그리 멀지 않다면 차지 빔라이플을 쏘자마자 무기를 바꿔 숄더 로켓포를 발사할 수 있는데, 골때리는 건 이 두 가지 무기 모두를 공중에 떠있는 상태에서 맞출 수가 있다 (...). 일반적으로 울프짐에 비해 더 나은 기체라 평을 받는 울프캐논이나 육전형 겔구그 S형(陸戦型ゲルググS型), 가르발디 알파(ガルバルディα)조차 갖지 못한 메리트다보니 울프짐보다 다른 기체들이 마냥 좋다고 말하기도 조금 미묘한 부분.

3. 무장구성 및 운용

3.1. 무기 리스트

4. 특성리스트

당첨 특성은 굳이 말할 것도 없이 로켓슈터, 나머지는 있으나 없으나 별로 상관 없는 특성들이다보니 설계도를 쉽게 얻을 수 있는 이벤트 기간이라면 과감하게 버리고, 새로 만드는 편이 나을 수도 있다. 애초에 기체 성능 자체가 제법 괜찮은 편이다보니, 로켓슈터가 아니라도 운용 자체는 무난하게 할 수는 있다. 게임의 특성상 거리가 일정수준 벌어지게 되면 명중 자체가 어렵기 때문에 애매한 사격보정보단 차라리 퀵리로드가 나을 듯한 상황도 있고. 그래도 역시 정답은 무조건 로켓슈터.

5. 운용팁

입수방법 자체가 일반적인 방법이 아닌 이벤트에서만 얻을 수 있는 기체다보니, 언젠가는 골드설계를 얻을 수 있는 관계로 굳이 실버를 쓸 이유도 없다. 또한 운용 스타일 자체도 제법 명확해서 무장구성의 디테일은 사용자간의 차이가 거의 없다는 점도 포인트.
격투무장을 빼면 무장의 구색은 근, 중, 원거리 모두 괜찮은 편이고, 설상가상으로 무기들이 가진 기본성능들도 어지간한 중격기와 동급 / 강습기보다 상향조정되어있다. 중격기다보니 속도와 부스터 성능이 아쉽긴 하지만, 애초에 중격기에게 적진을 휘젓고 다니는 플레이를 기대하는 것도 못할 짓이기도 하고, 쉴드도 없고, 몸빵능력도 생각보다 부실하다보니 높은 신뢰성과 명중률을 갖춘 차지빔 위주의 플레이가 역시 주가 될 수 밖에 없다.

어쨌든 전투능력은 원작설정상 결함투성이의 기체인 걸 감안한다면 굉장한 수준. 차지빔은 옵션을 가리지 않고 빠른 탄속과 높은 명중률, 준수한 대미지를 자랑하고, 공중을 휘젓고 다니는 강습기들을 몹시 피곤하게 만드는 것이 특징. 숄더 캐논은 몇 번을 말해도 모자라지만, 내장무기로 취급받아 무기간 전환에 시간이 거의 소요되지 않으므로 차지빔F + 숄더 로켓포F 후 제3의 무기로 마무리하는 것이 보통. 굳이 F형이 아니라면 B3형이 생각보다 위력적이다보니, 차지빔B3 + 숄더 로켓포F 조합을 통해 저COST의 강습기나 지원기를 단 한 번의 콤보로 격추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빠른 리로드 및 차지 시간은 덤.

우주에서 출격할 수 없다는 점이 역시 아쉽지만, 일반 필드, 통로맵을 가리지 않고 준수한 활약을 할 수 있다. 오죽했으면 영상의 제목 역시 けっこう使えるジムキャノン ウォルフ(제법 쓸만한 울프짐).

6. 단점


[1] 보통은 리드 울프 전용 짐 캐논의 경우는 울프짐, 리드 울프 전용 건캐논의 경우는 울프캐논으로 줄여부른다. [2] 물론 울프짐은 울프캐논에 없는 차지빔을 갖기에 마냥 떨어지는 건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