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10 15:49:39

좀비 아미 트릴로지/무기 및 아이템

<colbgcolor=#000000> 파일:Zombie_Army_Trilogy_Logo.png
좀비 아미 트릴로지 관련 문서
에피소드 1 | 에피소드 2 | 스토리 | 등장인물 | 무기 및 아이템 |

1. 소총(라이플)
1.1. 스프링필드 M1903(Springfield M1903)1.2. 게베어 43(Gewehr 43)1.3. 모신나강(Mosin Nagant)1.4. 카라비너 98k(Karabiner 98k)1.5. SVT-401.6. 리엔필드 Mk.III(Lee Enfield Mk.III)1.7. M1 카빈(M1 Carbine)1.8. M1D 개런드(M1D Garand)1.9. 99식 소총(Type 99)
2. 보조 무기
2.1. MP 40(MP40)2.2. PPSh-412.3. 톰슨 M1(Thompson M1)2.4. 브위스카비차(Blyskawica)2.5. MP442.6. 12 게이지 샷건(12 Gauge Shotgun)2.7. 프리처(Preacher)2.8. 팬저파우스트(Panzerfaust)
3. 권총
3.1. 콜트 M1911(Colt M1911)3.2. 루거 P08(Luger P08)3.3. 토카레프 TT-33(Tokarev TT-33)3.4. 웨블리 Mk.VI(Webley Mk.VI)
4. 아이템
4.1. 슈틸한트그라나테(Stielhandgranate)4.2. 압력식 지뢰(Land Mine)4.3. 인력식 지뢰(Trip Mine)4.4. 다이너마이트(Dynamite)

1. 소총(라이플)

크게 볼트액션과 반자동으로 나뉘는데 아무래도 좀비떼가 몰려오는 게임이다보니 반자동이 우세하지만 반자동소총의 연사 속도가 생각보다는 느리다는데 주의. 사실 탄약이 크게 모자란 게임은 아닌지라 맘에 드는 소총에 감각을 익히게 되면 처음부터 끝까지 그 총만 써도 된다. 참고로 최고 난이도인 스나이퍼 엘리트로 게임을 하면 모든 볼트액션 소총은 1발씩 장전하니 장탄수를 주의하며 사격하자.

1.1. 스프링필드 M1903(Springfield M1903)

파일:external/i0.wp.com/Springfield-M1903.jpg
미군의 기본 소총. 높은 탄속으로 인해서 중력과 바람의 영향을 덜 받습니다.
하지만 볼트액션은 발사속도를 떨어뜨리고 조준경은 기본적인 배율만을 제공합니다.

전통적으로 스나이퍼 엘리트 시리즈에 등장한 스프링필드 소총.
이전부터 스나이퍼 엘리트 시리즈를 한 사람이라면 익숙한 총기로, 성능은 모신나강보다는 약간 약하지만 그래도 무난하게 쓸 수 있다.

1.2. 게베어 43(Gewehr 43)

파일:external/i2.wp.com/Gewehr-43.jpg
이 독일제 소총은 최고의 발사속도를 자랑합니다.
반자동 액션 방식으로 시야확대 수치가 가장 높지만, 낮은 탄속으로 인해 바람과 중력의 효과를 많이 받습니다.[1]

대미지는 M1D Grand와 M1 carbine의 중간 정도의 파워에, 다른 반자동 소총과는 달리 연발로 쏠 때 조준 십자선이 늘어났다 바로 줄어드는 점 때문에 근중거리에서 노줌샷 플레이를 선호 한다면 이녀석이 제격. 명중률도 나쁘지 않아 자신이 초보자라면 이 소총을 들고 연습하는 것을 추천한다.

1.3. 모신나강(Mosin Nagant)

파일:external/i2.wp.com/Mosin-Nagant.jpg
강력한 러시아제 소총. 적당한 시야확대와 높은 탄속으로 균형이 잡혀있습니다. 볼트 액션 재장전으로 인해서 발사 속도가 떨어집니다.

자신이 한방이 강력한 총을 원한다면 이 녀석이 제격. 슈탈헬름을 쓴 좀비도 노줌샷 한 방에 헤드샷을 날려버릴 정도로 강력하며[2] 볼트액션 소총 답게 명중률도 뛰어난 편이다. 조준경 배율이 낮은 편이지만 애초에 원거리 저격이 주된 컨텐츠가 아니니 크게 신경 쓰지 않아도 되는 부분.

1.4. 카라비너 98k(Karabiner 98k)

파일:external/i2.wp.com/Karabiner-98k.jpg
독일제 카라비너 98k는 소총 중에서 가장 높은 시야확대 수치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낮은 탄속으로 인해서 먼 거리에서 사용할 때 불리하며, 볼트액션 방식이라서 발사속도가 떨어집니다.

근접전에서 볼트액션 소총으로 노줌샷을 쏘고 싶다면 이 녀석을 추천한다. 일반 좀비를 쏠 때 다른 총들은 근접전에서 평균적으로 2~4발 정도를 쏴야 죽겠지만, 이 녀석은 1~2발 정도만 쏘면 만사 OK.

1.5. SVT-40

파일:external/i2.wp.com/SVT-40.jpg
동부 전선에서 인기있는 반자동 소총인 러시아제 SVT40은 10발짜리 클립과 높은 발사속도를 자랑합니다. 하지만 제한적인 시야 확대와 높은 반동으로 인해서 먼 거리에서 효과가 떨어집니다.

탄창도 10발에 데미지도 반자동 소총 중에서는 가장 강한 데다 망원 조준경으로 헤드샷을 노릴 시에는 나름 쓸 만한 총이지만, 노줌샷으로 쏠 때는 조준선이 넓게 퍼졌다 느리게 돌아오기 때문에 노줌샷에서는 속사가 힘든 것이 단점.

1.6. 리엔필드 Mk.III(Lee Enfield Mk.III)

파일:external/i2.wp.com/Lee-Enfield-Mk.III_.jpg
영국군의 기본 소총. 10발이 장전되지만 낮은 탄속으로 인해서 바람과 중력에 추가적인 영향을 받습니다.

10발 탄창에 볼트 액션 치곤 빠른 발사 속도를 가진데다 노줌샷으로 일반병 좀비 정도는 한 방에 보내는 준수한 성능을 가졌지만, 데미지가 볼트액션 소총 중에서는 약한 편이고 배율이 낮고 조준선이 완전한 십자 모양이 아니기 때문에 장거리 저격은 힘든 편.[3]

1.7. M1 카빈(M1 Carbine)

파일:external/i2.wp.com/M1-Carbine.jpg
미군에서 널리 사용되는 M1 카빈은 개선된 발사속도를 갖고 있으며 15발을 장전할 수 있습니다. 높은 반동과 낮은 시야확대가 약점입니다.

15발이라는 넉넉한 탄창으로 인해 재장전으로 인한 타임 로스가 매우 적다는게 장점. 조준경 배율이 낮지만 게임 자체가 근접전이 대부분인 관계로 크게 걸리지도 않고 장거리 저격 역시 아예 못할 정도는 아니다. 한 마디로 익숙해지면 그야말로 만능이지만, 탄속이 느리고 모든 저격 소총 중 가장 낮은 데미지를 가진데다 조준선 역시 생각보다 느리게 모이기 때문에 의외로 근접전에서 명중률이 높지만은 않은 편. 능숙하게 다루려면 어느 정도 연습이 필요하다.

1.8. M1D 개런드(M1D Garand)

파일:external/i0.wp.com/M1D-Garand.jpg
표준 미군 개런드 소총의 개조 모델인 M1D는 8발 반자동 클립 급탄방식을 활용합니다. 자매품인 스프링필드와 비교해서 낮은 탄속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재장전 할 때마다 특유의 피잉~! 하는 경쾌한 클립 사출 소리를 들을 수 있으며 재장전 속도가 매우 빠른 편이다. 게베어 43과 마찬가지로 근접전에서 조준선을 활용한 전투를 하기 좋으며, SVT-40보다는 조금 빠르지만 십자선이 다소 늦게 모이므로 조준경 모드를 사용하는 것을 추천한다.

1.9. 99식 소총(Type 99)

파일:external/i2.wp.com/Type-99.jpg
일제의 볼트액션 99식 소총은 겨우 5발짜리 클립을 사용하지만, 높은 탄속과 시야확대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정직한 저격소총. 탄속이 매우 빨라 낙차가 적은 것이 장점이지만, 이 게임은 장거리 저격이 주된 컨텐츠가 아닌 관계로 큰 메리트가 아니라는 게 단점 아닌 단점. 연사력이 그렇게 빠르지는 않지만 모신나강 다음 가는 파괴력과 정확도를 보유한다.

사족이지만 실제 역사에서 99식 소총은 유럽으로 수출된 적이 없었기 때문에 고증상으로 그리 적절한 무기는 아니기도 하다. 고증대로 하면 실제 유럽에 수출된 적이 있는 30년식이나 35년식, 38식을 넣는 것이 더 좋았을 것이다.

2. 보조 무기

대부분 2차 세계 대전 당시의 SMG들로, 저격 소총을 쓰지 않고 시체를 뒤져 탄을 찾아가며 일반 FPS 게임하듯 굴릴 수도 있지만 저격 소총이나 권총류에 비해 대미지가 약하고 연사 시 명중률이 급격하게 떨어지는 데다, 총알이 다른 총기들에 비해 빨리 소모되기 때문에 효율적인 전투를 위해서는 왠만하면 말 그대로 보조용으로만 쓰는 편이 낫다.

2.1. MP 40(MP40)

파일:external/i0.wp.com/MP-40.jpg
독일제 MP40은 톰슨의 정확도는 따라가지 못하지만, 발사속도가 높고 적의 전선 후방에서 탄약을 많이 발견할 수 있습니다.

무난한 편이지만 반대로 말하자면 특정한 상황에선 사용하기 힘들다. 가끔 좀비들이 들고 나와 쏘긴 하지만 조준도 안하고 흐느적거리며 한손으로 쏘는거라 맞진 않는다.

2.2. PPSh-41

파일:external/i1.wp.com/PPSh-41.jpg
러시아제 PPSh는 다른 기관단총보다 훨씬 더 높은 발사속도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반동으로 인해서 정확도가 떨어지며 제어가 힘들다.

드럼 탄창이라 매우 넉넉하고 연사 속도가 매우 빠르지만 반동이 하늘을 찔러 명중률을 기대할 수 없다. 참호처럼 좁고 긴 통로에서 다수의 좀비들을 상대로 난사해야 하는 상황에서는 유용하지만, 그 외의 상황에서는 그야말로 총알 분무기에 가깝다.[4]

2.3. 톰슨 M1(Thompson M1)

파일:external/i2.wp.com/Thompson-M1.jpg
이 미제 기관단총은 뛰어난 정확도와 피해를 갖추고 있지만, 탄약이 부족하며 발사속도가 느립니다.

기관단총 중에서는 준수한 편. 장거리도 제법 잘 맞고 피해도 큰 편이라 돌격소총 쓰듯 하면 된다. 탄약도 모든 적을 이걸로만 잡는게 아닌 보조 무기 용도라면 적지는 않은 편.

2.4. 브위스카비차(Blyskawica)

파일:external/i2.wp.com/Blyskawica.jpg
큰 피해를 입히지만 먼 거리에서 정확도가 크게 떨어지기 때문에 접근전 무기로 좋습니다.

코앞에서 쏴야 하는 총. 그렇다고 ppsh처럼 심하게 탄이 튀는 정도는 아니다. 기관단총 중 대미지가 제일 강해 4~6발만 일반 좀비에 박아주면 저세상으로 가고 중갑 좀비의 가면도 까기 쉬워 MG 좀비와 대적할 수 있는 유일한 SMG이다.

2.5. MP44

파일:external/i0.wp.com/MP-44.jpg
높은 발사속도와 효과적인 사거리로 인해 MP44는 MP40보다 뛰어난 성능을 자랑합니다. 하지만 적에게 입히는 피해량이 약간 낮다는 것이 흠입니다.

명중률이 높다. 코앞에서 싸우는걸 싫어한다면 괜찮은 선택. 톰슨과 이녀석 중 하나를 고르자.

2.6. 12 게이지 샷건(12 Gauge Shotgun)

파일:external/i0.wp.com/12-Gauge-Shotgun.jpg
소형 싱글배럴 펌프 액션 샷건. 6발 관형탄창을 장착하며 12 게이지 탄약을 장전하여, 비좁은 장소에서 다수의 적을 제압하기에 좋습니다.

샷건이다보니 야지에선 쓸게 못되지만 건물 내에선 제법 쓸만하다. 하지만 탄약 여분이 모두 합쳐 30발 뿐이란게 문제. 실내전이고 탄약 수급이 쉬운 특정한 구간에선 최강이다. 대표적으론 케이블카 역 전투. 끝없이 몰려오는 적을 향해 계속 쏴주면 콤보도 안 끊기며 쏠 수 있다.

2.7. 프리처(Preacher)

파일:external/i1.wp.com/Preacher.jpg
대형 더블 배럴 엽총.누구든 아님 무엇이든간에 다 벌집으로 만들어 내버릴 수 있지만, 조준경이 없고 2발 약실형이라는 단점이 있습니다.
이 샷건은 숨겨져 있거나, 특정 지역에서만 얻을 수 있다.

야지에서도 커다란 조준 구역 내부를 청소할 정도로 강력하지만 실내전에서는 산탄이 벽에 도탄되면서 맞지 않은 적을 박살내준다. 그리고 샷건 주제에 장거리도 조준만 잘하면 꽤나 잘 맞는 편이다. 에임 실력이 좋다면 건물 옥상 위를 날아다니는 좀비 저격수들도 공중 격추가 가능하다. 그러니 이게 땅바닥에 있는 것이 보이면 주저하지 말고 줍는 것을 추천한다. MG42를 든 중화기 좀비나 전기톱 좀비를 제외한 대부분의 좀비들을 한 방에 지옥으로 보내버릴 수 있으며, 심지어 모여 있는 중장갑 좀비들까지 한 방에 다 쓸려 나간다. 하지만 탄약이 극히 적은데다 다른 총알들과는 달리 시체를 뒤져도 재보급을 받기 힘드므로 결정적인 순간에 한 방을 노리는 방식으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여담으로 나치 좀비 아미 시절엔 샷건이 아닌 니트로 익스프레스탄을 쓰는 엘리펀트 건이라 조준만 가능하다면 150m 밖에 있는 저격 좀비도 지옥으로 되돌려 보내버리는 경우가 종종 발생했다.

2.8. 팬저파우스트(Panzerfaust)

파일:external/i1.wp.com/Panzerfaust.jpg
중장갑에 매우 유용한 무기입니다.[5]
설명은 저렇지만 의외로 보스급 좀비한테는 쓰기 아까울 정도로 비효율적. 보스는 그냥 머리에 저격소총을 빠르게 박아주거나 프리처로 근접 전탄 발사를 먹여주는게 낫다. 이녀석은 잡좀비 처리용으로 최강이라 머리에만 맞춰준다면 대 보스로도 나쁘진 않지만 그렇게 조준할 수 있을거리면 보스한테 맞아죽거나 자폭하거나 할 것이다. 보통 이게 놓인 경우 곧 좀비떼가 몰려오는 일이 많으므로, 그냥 냅다 주워 쏟아붓고 다시 부무장을 찾아들자. V2 때와 마찬가지로 이상하게도 탄두를 재장전해서 쏜다.

3. 권총

잠입 액션 게임에서 좀비 게임으로 바뀐 만큼 웰로드가 게임에서 삭제되었다.

3.1. 콜트 M1911(Colt M1911)

파일:external/i0.wp.com/M1911.jpg
이 미제 권총은 강력한 .45 구경 탄환으로 큰 피해를 입힙니다. 하지만, 전장에서 발견하기 힘들며, 루거보다 발사 속도가 약간 느립니다.

게임 상에서 웨블리 리볼버 다음으로 데미지가 강한 권총. 웨블리보다는 빠른 연사력을 원하되, 그래도 강력한 한 방을 원한다면 이 권총을 쓰는 것을 추천한다.

3.2. 루거 P08(Luger P08)

파일:external/i1.wp.com/Luger-P08.jpg
독일제 루거는 가장 높은 발사속도를 가졌지만, 적에게 주는 피해가 비교적 낮은 편입니다.

가끔 잡좀비가 들고 나와 흐느적거리며 쏴대긴 하지만 맞진 않는다.
장탄수가 가장 많고 연사력이 제일 좋지만, 명중률과 대미지가 권총들 중 가장 개판이라 은근히 사용하기 어려운 권총이다.

3.3. 토카레프 TT-33(Tokarev TT-33)

파일:external/i2.wp.com/Tokarev-TT-33.jpg
붉은 군대의 든든한 일꾼인 토카레프 TT-33은 대부분의 휴대용 무기보다 피해가 떨어지지만 8발짜리 클립과 개선된 정확도를 갖췄습니다.

연사 속력은 루거와 비슷하지만, 데미지는 콜트보다 약간 낮다. 하지만 권총들 중에서 가장 쓰기 쉬운 총이라 초보자라면 이 권총을 사용하는 것을 추천한다.

3.4. 웨블리 Mk.VI(Webley Mk.VI)

파일:external/i2.wp.com/Webley-Mk.VI_.jpg
고전적인 영국제 권총. 이 6발짜리 권총은 높은 파괴력과 낮은 발사속도로 인해서 아주 독특한 느낌을 갖게 되었습니다.

자신이 대미지를 중시하고 다른 총들이 뭔가 부족하다면 생각을 멈추고 이걸 집어들자.

싱글액션 방식이라 연사 속도가 느리고 재장전이 느릿느릿한데다 6/18이라는 적은 장탄수라는 단점이 있지만, 이 총의 최대 장점은 엄청난 데미지. 일반 좀비들은 몸통만 맞추면 죄다 한 방인데다 갑옷 좀비의 헬맷은 한방, 중장갑 좀비의 헬맷은 3방만 쏘면 부술 수 있고 명중률도 뛰어난 편이라 고수들이 애용한다.

4. 아이템

4.1. 슈틸한트그라나테(Stielhandgranate)

파일:external/i1.wp.com/Stielhandgranate.jpg
슈틸한트그라나테는 막대 모양의 독특한 형태로 인해 먼 거리까지 투척할 수 있지만, 지면과 닿을 때 예측하지 못한 방향으로 튀는 경향이 있습니다.

주로 뭉쳐 있는 좀비들을 학살할 때 쓰거나, 다이너마이트가 있는 장소에 던져 화력 보충용으로 쓰기도 한다. 팁으로 앉아서(키보드 기준, C 한번 누르기, Xbox 컨트롤러는 B버튼 한번 누르기, 듀얼쇼크는 동그라미 버튼 한번 누르기) 던지면 빠르게 던질 수 있다.[6]

4.2. 압력식 지뢰(Land Mine)

파일:external/i2.wp.com/Land-Mine.jpg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Teller Mine 문서
번 문단을
좀비 아미 트릴로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3. 인력식 지뢰(Trip Mine)

파일:external/i2.wp.com/Trip-Mine.jpg
두 지점 사이에 설치해서 당신의 위치를 측면에서 공격하려는 적을 막을 수 있습니다.

인계철선 방식이다. 넓은 범위를 감지할 수 있기에 다이너마이트로 화력을 올려주면 좋다.

4.4. 다이너마이트(Dynamite)

파일:external/i2.wp.com/Dynamite.jpg
다이너마이트는 강력한 폭발을 일으키며 저격 사격으로 먼 거리에서 폭파시킬 수 있습니다. 다수의 좀비를 동시에 제거할 때 유용합니다.

설치해서 총맞추는건 쓰기도 귀찮고 필요할 때 잘 맞지도 않는다. 보통 지뢰 옆에 설치해 화력을 강화하는데 쓴다.[7]
이걸 설치한 후에 팀원이 슈틸한트그라나테를 던지면 자신이 아닌 던진 팀원이 점수를 받는다. 화력 성능이 설명 그대로 강한지라, 개인 캠페인에서 설치하는데 자살 좀비가 와서 터지면 영 좋지 않은 꼴이 날 만큼 범위도 넓고 강력하다.

[1] 저격병 좀비들도 사용하는 소총이다. [2] 중화기 사수 좀비나 전기톱 좀비 같이 멧집이 쎈 좀비들도 헤드샷 10방이면 보낼 수 있을 정도. [3] 하지만 위에도 언급했듯 좀비 아미 시리즈에서는 장거리 저격 능력이 본 편에 비해 크게 중요하지 않다. [4] 정작 오컬트 장군 주변을 맴도는 해골들을 처리할 때는 그냥 소총이나 권총, 아니면 명중률 높은 톰슨이나 StG44를 쓰는 편이 낫다. PPSH-41은 명중률이 개판이라 오히려 해골을 맞추기 쉽지 않은 편이다. [5] 라고는 하지만 갑옷 좀비를 제외하면 중장갑 좀비에게 딱히 유용하지는 않다. 이것 역시 프리처처럼 가끔씩 나타나는 무기다. [6] 다이너마이트를 던지는 것도 동일하다. [7] 스나이퍼 엘리트 3 때처럼 F를 누르면 던질 수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517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517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