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color=gold><colbgcolor=#000> 제4근위전차사단 4-я гвардейская танковая дивизия 4th Guards Tank Division |
||||||
창설일 | 1957년 6월 25일 | |||||
소속 | 러시아 육군 | |||||
상급부대 | 제1근위전차군 | |||||
규모 | 사단 | |||||
부대번호 | 19612 | |||||
사단장 | 예브게니 주라블료프 대령 (권한대행) | |||||
참전 |
제2차 세계 대전 8월 쿠데타 1993년 러시아 헌정위기 제1차 체첸 전쟁 제2차 체첸 전쟁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
|||||
위치 | 러시아 모스크바주 나로포민스크 |
[clearfix]
1. 개요
러시아 육군 제1근위전차군 산하 전차사단이다. 별명은 '칸테미롭스카야(Кантемировская)'러시아가 정예 사단 중 하나이자, 각종 열병식 및 8월 쿠데타, 1993년 러시아 헌정위기, 체첸 전쟁, 우크라이나 참공에 참여했다.
2. 역사
|
77주년 행사 |
2.1. 소련 시절
제2차 세계대전 직후인 1945년 7월 3일에 창설되었다.1945년 9월 13일 모스크바 군관구에 편입되었고 나로포민스크에 배치되었다.
이 사단은 이미 소련 시절부터 NATO를 상대하는 주요 전력이었고, 그러한 일환으로 최신 장비를 우선적으로 배치받았다. 대표적인 예시로, T-72가 제일 먼저 배치된 사단이 바로 이 사단이었다.
|
1977년 혁명 기념식에서 등장한 제4근위전차사단 소속 T-72 |
1984년 2월 23일에는 사단에 소련 공산당 전 서기장 유리 안드로포프의 이름이 붙여졌다.
|
모스크바로 이동하는 제4근위전차사단 소속 T-80U |
이후 1991년, 소련의 반옐친 보수파가 일으킨 8월 쿠데타 당시 제4근위전차사단은 쿠데타군의 주요 전력으로 동원되어 모스크바에 진주하였다. 그러나 쿠데타는 실패했고 얼마 못 가고 소련은 붕괴된다. 이것이 제4근위전차사단의 마지막 소련 시절 활동이었다.
2.2. 러시아 시절
|
러시아 국회의사당에 포격을 가하는 제4근위전차사단 소속 T-80UD |
이후 1990년대에는 제1차/2차 체첸 전쟁에 모두 참전하는가 하면, 코소보 전쟁과 남오세티야 분쟁[2] 당시 평화유지군 소속으로 분쟁지역에 투입되기도 했었다.
여하튼 이렇게 소위 말하는 "러시아 육군의 창" 역할을 수행했기에, 러시아가 내부적으로 굉장히 어려운 상황에 처해 있었던 1990년대에도 이 사단은 상시 80%의 인력 보충률과 100%의 장비 보급률을 유지하고 있었다. 당시 러시아군의 수많은 사단들이 해체되거나 보급 부족으로 훈련조차 제대로 하지 못했던 걸 생각하면 가히 파격적인 대우였다.
그리고 이후 블라디미르 푸틴이 집권하고 러시아의 경제가 회복되자 제4근위전차사단은 다시 대중의 앞에 섰다. 대표적으로 2005년 실시된 2차 세계 대전 승전 60주년 기념 열병식에서는 이 사단 소속 T-80BV 8대가 투입되었으며, 이후로도 매년 5월 승전 기념 열병식에는 거의 대부분 이 사단 소속 전차가 등장한다.
2008년에는 러시아군 내부에서 대규모 군 개혁이 진행되며 수많은 사단들이 해체되고 여단 편제로 개편되었으나, 제4근위전차사단은 예외였고, 결과적으로 개혁을 거치고도 살아남은 3개[3] 사단 중 하나가 되었다. 이후 2015년, 마찬가지로 개혁에서 살아남은 제2근위차량화소총사단과 함께 제1근위전차군 휘하로 편입되었다.
2019년에는 러시아군이 라오 인민군의 T-34-85와 T-72를 물물교환했는데, 이때 얻어낸 T-34-85가 해당 사단에 의장용으로 배치되었다.
2.2.1.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도 투입되었다. 제1근위전차군이 키이우를 목표로 한 것과는 다르게 제4근위전차사단은 따로 하르키우 점령을 목표로 북동부 전선에서 진격했지만, 우크라이나군의 맹렬한 반격으로 하르키우 점령은 커녕 시가지에 진입하는 것조차 실패했고, 결정적으로 수미 주에서 벌어진 트로스얀네츠 전투에서 제93기계화여단에게 패배하여 후퇴했다.트로스얀네츠 전투 이후로는 계속 하르키우 주에서 주둔했는데, 2022년-2023년 우크라이나 역공세를 정면으로 얻어맞음과 동시에 피해를 입고 후퇴하였다.
이후로는 딱히 들려오는 소식이 없다.
3. 편제
3.1. 1946년
- 제12근위전차연대
- 제13근위전차연대
- 제14근위전차연대
- 제3근위차량화소총연대
- 제43근위중자주연대
- 제264근위차량화연대
- 제120근위대공포연대
- 곡사포대대
- 제240근위박격포대대
- 제76오토바이대대
- 제106공병대대
- 제413통신대대
- 제165의무대대
- 자동수송대대
- 전차훈련대대
3.2. 1960년
- 제12근위전차연대
- 제13근위전차연대
- 제43근위중전차연대
- 제423근위차량화소총연대
- 제275근위포병연대
- 제538근위대공포연대
- 제137정찰대대
- 제330공병대대
- 제413통신대대
- 화학방호중대
- 제165의무대대
- 차량화수송대대
3.3. 1970년
- 제12근위전차연대
- 제13근위전차연대
- 제43근위전차연대
- 제423근위차량화소총연대
- 제275근위포병연대
- 제538근위대공포연대
- 제137정찰대대
- 제339로켓대대
- 제330공병대대
- 제413통신대대
- 제196정비구조대대
- 화학방호중대
- 제165의무대대
- 차량화수송대대
3.4. 1980년
- 제12근위전차연대
- 제13근위전차연대
- 제43근위전차연대
- 제423근위차량화소총연대
- 제275근위포병연대
- 제538대공로켓연대
- 제137정찰대대
- 제339로켓대대
- 제330공병대대
- 제413통신대대
- 제196정비구조대대
- 제616화학방호대대
- 제165의무대대
- 제1088군수대대
3.5. 1988년
- 제12근위전차연대
- 제13근위전차연대
- 제43근위전차연대
- 제423근위차량화소총연대
- 제275근위포병연대
- 제538대공로켓연대
- 제137정찰대대
- 제339로켓대대
- 제330공병대대
- 제413통신대대
- 제196정비구조대대
- 제616화학방호중대
- 제165의무대대
- 제1088군수대대
3.6. 2007년
- 제12근위전차연대
- 제13근위전차연대
- 제14근위전차연대
- 제423근위차량화소총연대
- 제275근위포병연대
- 제638대공로켓연대
- 제137정보대대
- 제413통신대대
- 제996전자전대대
- 제616화학방로대대
4. 역대 사단장
- 레오니트 유델레비치 라비노비치 전차군 근위소장 (1946.6~9)
- 니콜라이 미하일로비치 필리펜코 근위소장 (1952~1957)
- 보리스 빅토로비치 쿠르체프 근위소장 (1957~1960)
- 블라디미르 페트로비치 도로드노프 근위소장 (1960~1965)
- 유리 이바노비치 모모토프 (1979~1982)
- 블라미디르 니콜라예비치 카르트마조프 근위소장 (1982~1985)
- 이반 루키치 데니소프 소장 (1985~1987)
- 니콜라이 이고리예비치 로크티오노프 근위소장(1987~1989)
- 블라미디르 페트로비치 추지코프 근위소장 (1989~1991)
- 보리스 폴야코프 소장 (1991~1994)
- 알렉산드르 니콜라예비치 데니소프 근위소장 (1995~1998)
- 예브게니 이바노비치 푸젠코 근위소장 (1999~2002)
- 아나톨리 아나톨리예비치 욜킨 소장 (2002~2003)
- 알렉산드르 로만추크 소장 (2003.11~2006.7)
- 세르게이 바실리예비치 쿠랄렌코 근위소장(2006.7~2009.6)
- 세르게이 유리예비치 네크라소프 근위대령 (2009.6~2010.10)
- 안드레이 니콜라예비치 모르드비체프 근위대령 (2011.4~2012.3)
- 세르게이 니콜라예비치 콤바로프 소장 (2012.3~2015.8)
- 안드레이 보리소비치 콜레스니코프 근위소장 (2015.8~2018.8)
- 블라디미르 바실리예비치 자바드스키 근위소장 (2018.8~2021.6)
- 예브게니 니콜라예비치 주라블료프 근위대령 (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