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6 13:55:47

전국통합공무원노동조합

파일:전국통합공무원노동조합 로고.svg
전국통합공무원노동조합
Korean United Government Employees' Union
약칭 통합노조(한), KUGEU(영)
창립일 2015년 6월 16일
위치 서울특별시 관악구 남부순환로 2082-33(성광빌딩 6층)
위원장 이충재
공식 사이트 http://www.kugeu.org
1. 명칭2. 역사3. 캐치프라이즈4. 설립취지5. 조직현황(4개 지역본부와 4개 직능본부 36지부, 2만3 천여명)6. 연대(상급)단체7. 주요 교섭채널8. 중점 추진과제9. 타임라인(연혁)10. 외부 링크

1. 명칭

전국통합공무원노동조합(약칭 ‘통합노조’). 영어표기 ‘Korean United Government Employees' Union(약칭 KUGEU)

2. 역사

2015년 공무원연금 국민대타협기구. 합의 후 전국공무원노동조합에서 내부갈등을 겪고 일부 노조가 통합공무원노동조합을 결성하여 2015년 6월 16일 설립되었다.

3. 캐치프라이즈

조합원과 국민을 위한 단 하나의 노동조합

4. 설립취지

∙ 공무원과 공직사회의 애환을 함께하는 조합원 중심의 노조!
∙ 노동자 민중의 일자리와 복지를 보살피는 실력 있는 노조!
∙ 민주주의와 인간의 존엄성을 실현하는 국민의 노조!

5. 조직현황(4개 지역본부와 4개 직능본부 36지부, 2만3 천여명)

공공서비스노동조합총연맹은 2016년 11월 12일 창립총회 및 출범식을 진행하여 공식적으로 12월 6일 창립되었다. 공공노총은 전국통합공무원노동조합, 전국지방공기업노동조합연맹, 경찰청공무직노동조합으로 출범하여, 이후 서울교사노동조합 출범(2016.12.08.)을 시작으로 국립중앙의료원제1노동조합(2018.03.07.)에 이르기까지 공공부문 노동조합의 가맹조합 구성이 점차 확대하고 있는 추세이다.

6. 연대(상급)단체

공공서비스노동조합총연맹:2016.12월 설립, 공공부문 중심 노조, 통합노조에서 조직운영

∙통합공무원노조서울지역본부 : 6개 본부 36개 지부(민주노총 탈퇴)
∙교사노조연맹 : 중등,서울,광주 등 5개 노조
∙전국우체국노조 : 7개 본부 00개 지부(한국노총 탈퇴)[1]
∙지방공기업노조연맹 : 서울주택공사 등 50여개 노조
∙국가공무직노조연맹 : 경찰청,국세청,법무부 등 6개 노조
∙중앙의료원 전문의노조, 제1노동조합
∙새마을운동중앙회노조(한국노총 탈퇴)

공무원노동조합전국연맹:2018.2월 설립, 대정부교섭주도, 통합공무원노조에 사무실 소재

∙통합공무원노조 : 6개 본부 36개 지부(민주노총 탈퇴)
∙창녕군공무원노조(민주노총 탈퇴)
∙대구민주공무원노조
∙여수시청공무원노조(민주노총 탈퇴)
∙광주서구청공무원노조(민주노총 탈퇴)

7. 주요 교섭채널

∙ 인사혁신처 정책간담회(상, 하반기) : 본교섭, 실무교섭
∙ 노사공동연구회(월 1회)
∙ P.M Day(월 1회)
∙ 인사혁신처 국별 정책소통간담회 년 6회
∙ 행정안전부 정책간담회(예정) 등

8. 중점 추진과제

∙ 직급체계 • 보수체계 개편(연구용역 중)
∙ 초과근무, 비상근무 제도 개선
∙ 정년연장(연금수급개시연령 연장에 따른 대책)
∙ 공무원 평가체계 개선(고위직 승진 평가제도 개선, 채용제도 연계)
∙ 직무상 정치적 중립 강화 및 개인적 정치기본권 확대
∙ 공무원 노동기본권 확대(단결권, 단체교섭권 중심)

9. 타임라인(연혁)

2015년
∙ 2015.6.16. 전국통합공무원노동조합 설립
∙ 2015. 창원시노조 통합노조 가입
∙ 2015.7.3. 인사혁신처 인사제도 관련 정책 간담회
∙ 2015.8.12. 전국통합공무원노동조합 개소식
∙ 2015.8.22. 통합노조 출범식
∙ 2015.8.29. 경기교육청노조, 통합노조 가입
∙ 2015.9.9. 목포시노조 통합노조 가입
∙ 2015.10.7. 서울특별시청지부 교통방송지회 출범
∙ 2015.11.2. 인사혁신처에 ‘직업공무원제도 개선7대 요구서’ 및 ‘공무원 노사 공동사업 제안서’ 전달
∙ 2015.11.10. 공무원노동단체총연합 결성
∙ 2015.11.17. 양천구노조 통합노조 가입
∙ 2015.12.18. 하반기 정기중앙위원회의 개최

2016년
∙ 2016.1.20 목포시지부 단체교섭 체결
∙ 2016.2.3~ 2016.2.29. 성과급제 폐지를 위한 릴레이 1인 시위 진행
∙ 2016.4.4. 공무원 성과급제도 전면 폐지요구 기자회견 개최
∙ 2016.5.18. 공공부문노동운동 진단 토론회 개최
∙ 2016.5.17. 인사혁신처와 2차 정례간담회 개최
∙ 2016.5.26. 성과보수제도 폐지 공공부문 결의대회 개최
∙ 2016.6.13. 행정자치부와 간담회 개최
∙ 2016.7.5. 공공부문 노동조합 운동방향 토론회 개최
∙ 2016.7.8. 교육청본부 출범식 개최
∙ 2016.7.12. 전북교육청지부 출범식 개최
∙ 2016.7.22. 공공성강화 공동투쟁본부 출정식 기자회견 개최
∙ 2016.8.22. 가습기살균제참사 대국민 사과 기자회견
∙ 2016.8.30. 공공부문 성과주의 이대로 좋은가? 토론회 개최
∙ 2016.10.10. 서울교육청노조 통합노조 가입
∙ 2016.11.2. 공공부문노동조합의 이념 및 사업기조 토론회 개최
∙ 2016.11.14. 공공서비스노동조합총연맹 출범식
∙ 2016.11.25. 공무원재해보상법 제정을 위한 의견수렴회 참가
∙ 2016.11.28. 제10차 인사혁신처 소통간담회 개최

2017년
∙ 2017.1.12. 행정실법제화를 위한 교문위 소속 의원 면담 진행
∙ 2017.1.24. 노사사전간담회(PM-day) 회의 개최 (제1차 ~제11차 / 11월)
∙ 2017.2.21. 노사공동연구회 참여
∙ 2017.2.24. 인사혁신처장과 면담 진행
∙ 2017.3.6. 더불어민주당 전국노동위원회와 간담회 진행
∙ 2017.3.15 보건복지위원회 의원 여.야당 간사 면담투쟁
∙ 2017.4.20. 지방분권강화, 100만 대도시 어떻게 할것인가 토론회 개최
∙ 2017.6.22. 공무원노동조합의 단체교섭 정상화 촉구 기자회견 개최 / 공무원노조법 개정을 위한 국회토론회 개최
∙ 2017.7.1. 대정부단체교섭 승리 및 공직 적폐청산 선포대회 개최
∙ 2017.7.3. 국정기획자문위원회와 간담회 개최
∙ 2017.8.8. 시간선택제공무원 제도개선을 위한 국회토론회 개최 / 시간선택제본부 출범식
∙ 2017.9.27. 시간선택제 제도개선을 위한 기자회견 개최
∙ 2017.9.29. 초과근무제도 개선을 위한 국회토론회 개최
∙ 2017.10.26. 초과근무제도 개선 촉구 기자회견 개최 / 노사정위원회 위원장과 간담회 개최
∙ 2017.11.6. 시간선택제본부 처우개선 요구 기자회견 개최
∙ 2017.11.9. 문재인정부 공직쇄신과 소통 촉구 기자회견 개최
∙ 2017.11.14. 적폐연대 인사혁신처-공노총 규탄 기자회견 개최
∙ 2017.11.27. 초과근무수당.연가보상비 일방적 삭감 반대 기자회견 개최

2018년
∙ 2018.1.23. [2017대정부교섭단]1. 25 “공무원의 영혼을 살리자” 국회토론회 개최!
∙ 2018.2.2. 인사혁신처장과 신년 간담회 개최
∙ 2018.2.2. 행정안전부 지방자치분권실장 면담 진행
∙ 2018.2.7. 개헌, 대한민국 100년을 생각한다 토론회 개최
∙ 2018.3.27. 인사혁신처 제1차 실무협의회 개최
∙ 2018.4.9. 중앙선관위에 선거사무원 수당 인상 요구서 전달
∙ 2018.4.11. 행정안전부 지방자치분권실 면담 진행

2019년
∙ 2019.1.13-20. 일본정당∙노동조합 교류방문
∙ 2019.1.21. 행정안전부와 정책협의체 성료
∙ 2019.1.23. 시간선택제본부 주 35시간 확대 관철
∙ 2019.3.15. 지방공무원 임용령 개정 확정
∙ 2019.4.8. 행정안전부와 2019 정책협의체 상견례 진행
∙ 2019.5.30. 문재인정부 규탄 기자회견
∙ 2019.6.19. 사서직본부, 행정부본부 설립
∙ 2019.7.31. 행정안전부 정책협의체 1차 회의
∙ 2019.10.22. 2020 단체교섭요구서 제출

10. 외부 링크

전국통합공무원노동조합.
페이스북 페이지.
트위터.

[1] 2024년 3월 22일 개정된 우체국노조의 규약 제5조의 2에 따르면, 조합의 연합단체는 한국노총(공무원노조연맹)으로 명시되어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