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18 02:33:59
1. 개요2. 준비 과정3. 내용4. 반응5. 결과6. 관련 문서
대일항쟁기 강제동원 피해의 진상을 규명하여 역사의 진실을 밝히고 나아가 1965년 체결된 「
대한민국과 일본국간의 재산 및 청구권에 관한 문제의 해결과 경제협력에 관한 협정」
#과 관련하여 국가가 인도적 차원에서 위로금 등을 지원함으로써 이들의 오랜 고통을 치유하고 국민화합을 기여하기 위한 목적의
기록물.
#
2. 준비 과정
'
국무총리 소속 대일항쟁기 강제동원 피해조사 및 국외 강제동원 희생자 등 지원위원회'가 2004년 이후 11년간 생산·수집한 강제동원 관련 기록을 총망라하여 2015년 8월 31일 마감된 ‘2016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 신청 대상 기록물 공모’에 접수.
#
'국무총리 소속 대일항쟁기 강제동원 피해조사 및 국외 강제동원 희생자 등 지원위원회'가 2004년 이후 11년간 생산·수집한 강제동원 관련 기록을 총망라한 것이다. 종류별로는 아래와 같다.
-
피해조사서 22만 7,141건
-
지원금 지급심사서 10만 5,431건
-
구술자료 2,525건
-
사진자료 1,226건 등.
이는 국가가 직접 나서 전쟁 피해에 대한 조사를 벌여 얻은 공식 기록으로, 이 중에는 일제가 직접 생산한 문서도 포함되어 있다.
긍정적으로 보는 의견이 많은 편이나
하시마 섬
세계유산 등재에 따른 대응차원이라는 것에 대하여 준비가 부족하진 않았는지,
유네스코의 정치적 이용이라는 비판을 받진 않을지 대한 우려의 시각도 존재하는 편.
한마디로 기대.
중국은 자신들이 등재 신청한
일본군 위안부 기록물의 세계 기록 유산 등재가 실패함에 아쉬워하며 우리나라의 등재 가능성에 기대하고 있다.
한마디로
반발.
공식 반응은 아니다. 유네스코 내부 사정에 밝은 문화계 인사는 최근 한중일의 경쟁적 등재 신청에 반감을 느끼고 있다는 말이 나오며 정치싸움이 벌어진다면 비판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신중하고 치밀하게 등재 작업을 추진해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문화재청 주도로 신청하기 직전 등재 목록에서 제외되었다. 대신 조선왕실어보와어책과
국채보상운동 기록물을 등재신청하였다.
6.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