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7:37:27

어둠의 인형사 사콘

인형조종사 사콘에서 넘어옴
어둠의 인형사 사콘
人形草紙あやつり左近
Karakurizōshi Ayatsuri Sakon
파일:sakon.jpg
장르 분라쿠, 추리
작가 스토리: 샤라쿠 마로
작화: 오바타 타케시
출판사 파일:일본 국기.svg 슈에이샤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서울문화사
연재처 파일:일본 국기.svg 주간 소년 점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아이큐 점프
레이블 점프 코믹스
연재 기간 1995년 23호 ~ 1996년 1호
단행본 권수 파일:일본 국기.svg 4권 (1996. 03. 04. 完)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4권 (2001. 03. 31. 完)

1. 개요2. 줄거리3. 발매 현황4. 특징5. 등장인물
5.1. 주역5.2. 에피소드별 등장인물
5.2.1. 폐교의 복수귀5.2.2. 즈슈 식면귀 괴뢰 지옥5.2.3. 사콘 꼭두각시 변화의 장5.2.4. 신슈 백호 핏빛 비 지옥5.2.5. 이집트 파라오 주술 지옥5.2.6. 타키기노우 훈비연정5.2.7. 오쿠히다 유령기담
6. 미디어 믹스
6.1. 애니메이션
6.1.1. 음악
6.1.1.1. 주제가6.1.1.2. 삽입곡
6.1.2. 회차 목록6.1.3. 평가
7. 기타8.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일본 추리 만화. 스토리는 샤라쿠 마로(写楽麿)[1], 작화는 오바타 타케시가 담당했다.

2. 줄거리

분라쿠 인간문화재인 할아버지 문하에서 분라쿠를 익힌 소년 타치바나 사콘. 그리고 복화술을 뛰어넘어 정말 살아있는 사람처럼 날뛰는 인형 우콘의 주변에는 미스테리한 사건이 연일어서 일어나는데….

3. 발매 현황

1권 2권 3권
파일:어둠의 인형사 사콘1권.jpg
파일:어둠의 인형사 사콘2권.png
파일:어둠의 인형사 사콘3권.png
파일:일본 국기.svg 1995년 08월 01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0년 11월 30일
파일:일본 국기.svg 1995년 10월 04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0년 12월 25일
파일:일본 국기.svg 1996년 01월 10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1년 01월 20일
<rowcolor=#010101> 4권
파일:어둠의 인형사 사콘4권.jpg
파일:일본 국기.svg 1996년 03월 04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1년 02월 15일

1995년 8월부터 만화 잡지 소년 점프에서 연재되었으며, 1996년 3월까지 연재해서 총 4권으로 완결지었다. 그 후 2004년 1월에 애장판으로 재출간하여서 3권으로 완결지었다.

한국어판은 '어둠의 인형사 사콘'이라는 제목으로 서울문화사를 통해 2000년 12월에 단행본 1권이 정식발매되었으며, 2001년 3월에 4권까지 모두 발매되었다. 애장판 또한 2007년 8월에 1권을 시작으로 완결권인 3권까지 모두 발매되었다.

초판은 당시 심의 때문인지 잔인한 부분에서 모자이크화라든가 검게 칠해진 부분이 많다. 그리고 원작과는 전혀 다른 번역들도 많은 반면 애장판에서는 모자이크나 검게 칠해진 부분이 전혀 없으며, 호칭이나 번역도 꽤 자연스러워졌다.

4. 특징

사실상 오바타 타케시의 첫번째 추리만화이며, 일본의 전통 인형극 중 하나인 분라쿠와 추리만화를 결합시켜서 캐미를 이끌어냈다. 히카루의 바둑, 데스노트, 바쿠만의 그림체만 보고 이 작품을 보면 엄청난 이질감을 느낄 수 있을만큼 선이 굵으며, 무척 잔인한 장면이 많다.

하지만 그 외는 은근 코믹 요소도 넣기도 해서 명탐정 코난 소년탐정 김전일과는 사뭇다른 추리만화를 볼 수 있다. 또한 밑에도 거론하겠지만 오바타 타케시 작품 중 첫 애니메이션화된 작품이기도 하다.

5. 등장인물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5.1. 주역

5.2. 에피소드별 등장인물

5.2.1. 폐교의 복수귀

5.2.2. 즈슈[15] 식면귀 괴뢰 지옥

5.2.3. 사콘 꼭두각시 변화의 장

5.2.4. 신슈 백호 핏빛 비 지옥

5.2.5. 이집트 파라오 주술 지옥

5.2.6. 타키기노우 훈비연정

이 에피소드부터는 애니메이션 오리지널 스토리다. 원작에는 없는 스토리다.

5.2.7. 오쿠히다 유령기담

6. 미디어 믹스

6.1. 애니메이션

어둠의 인형사 사콘 (1999~2000)
人形草紙あやつり左近
Karakurizōshi Ayatsuri Sakon
파일:어둠의인형사사콘_애니.jpg
{{{#c0a853,#c0a853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원작 샤라쿠 마로(写楽 麿)
만화 오바타 타케시
감독 마츠이 히토유키
캐릭터 디자인 코바야시 토시미츠
각본 프로듀서 이이오카 준이치(飯岡順一)
미술 감독 코가 토오루(古賀 徹)
색채 설계 카와미 타쿠야(川見拓也)
디지털 촬영 감독 카와다 토시히로(川田敏寛)
편집 이마이 츠요시(今井 剛)
음향 감독 코바야시 카츠요시(小林克良)
음악 츠루 노리히로(都留教博)
나카무라 유리코(中村由利子)
프로듀서 오자키 야스미치(尾﨑穏通)
사사키 시로(佐々木史朗)
카이후 마사키(海部正樹)
애니메이션 제작 도쿄 무비
제작 WOWOW
빅터 엔터테인먼트
TMS 엔터테인먼트
방영 기간 1999. 10. 08. ~ 2000. 03. 31.
방송국 파일:일본 국기.svg WOWOW / (금) 18:30
편당 러닝타임 24분
화수 26화
시청 등급 정보 없음
관련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

1999년 10월 8일부터 2000년 3월 31일까지 WOWOW계 채널에서 방영되었다. 총 26화. 감독은 마츠이 히토유키, 애니메이션 제작은 도쿄 무비.

오바타 타케시의 작품 중 첫번째 애니메이션화를 이룬 작품이기도 하다.

6.1.1. 음악

6.1.1.1. 주제가
6.1.1.1.1. OP
OP
光なき夜をゆけ
빛이 없는 밤을 가라
TV ver.
Full ver.
<colbgcolor=#010101,#010101><colcolor=#c0a853,#c0a853> 노래 HUMMING BIRD
작사 이시카와 마사토시(石川雅敏)
작곡 후쿠야마 요시키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10101,#010101><colcolor=#c0a853,#c0a853> 콘티 마츠이 히토유키
연출
작화 코바야시 토시미츠, 시바타 준(柴田 淳), 카토 야스히사(加藤泰久), 츠루타 히토미(鶴田仁美), 키타하라 사토미(北原里美), 후지이 아야노(藤井あやの)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
6.1.1.1.2. ED
ED
叶えて
이루어줘
TV ver.
Full ver.
<colbgcolor=#010101,#010101><colcolor=#c0a853,#c0a853> 노래 아라이 아키노
작사
작곡
편곡 호가리 히사아키(保刈久明)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10101,#010101><colcolor=#c0a853,#c0a853> 콘티 마츠이 히토유키
연출
작화 코바야시 토시미츠, 시바타 준(柴田 淳), 카토 야스히사(加藤泰久), 츠루타 히토미(鶴田仁美), 키타하라 사토미(北原里美), 후지이 아야노(藤井あやの)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
6.1.1.2. 삽입곡
7, 26화 삽입곡

목소리
Full ver.
<colbgcolor=#010101,#010101><colcolor=#c0a853,#c0a853> 노래 이츠키 하나미(五木花実)
작사 히라노 하지메(平野 肇)
작곡 나카무라 유리코(中村由利子)
편곡 츠루 노리히로(都留教博)
나카무라 유리코(中村由利子)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
20화 삽입곡
さよならは言わないで
안녕이라고는 말하지 말아줘
Full ver.
<colbgcolor=#010101,#010101><colcolor=#c0a853,#c0a853> 노래 KOKIA
작사
작곡 츠루 노리히로(都留教博)
편곡 츠루 노리히로(都留教博)
나카무라 유리코(中村由利子)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

6.1.2. 회차 목록

<rowcolor=#c0a853,#c0a853> 회차 제목 각본 콘티 연출 작화감독 방영일
제1화 「廃校の復讐鬼」〜第一段〜
폐교의 복수귀 제1단
카츠라 치호
(桂 千穂)
마츠이 히토유키 마츠이 히토유키
타카세 세츠오
(高瀬節夫)
코바야시 토시미츠 1999.10.08.
제2화 「廃校の復讐鬼」〜第二段〜
폐교의 복수귀 제2단
게시 타카히로
(下司泰弘)
오가와 이치로
(をがわいちろを)
제3화 「廃校の復讐鬼」〜第三段〜
폐교의 복수귀 제3단
오오노 카즈히사
(大野和寿)
시바타 준 1999.10.15.
제4화 「豆州弐面鬼傀儡地獄」〜第一段〜
즈슈 식면귀 괴뢰 지옥 제1단
사토 카즈하루
(佐藤和治)
토노카츠 히데키
(殿勝秀樹)
코바야시 토시미츠 1999.10.22.
제5화 「豆州弐面鬼傀儡地獄」〜第二段〜
즈슈 식면귀 괴뢰 지옥 제2단
게시 타카히로 오가와 이치로 1999.10.29.
제6화 「豆州弐面鬼傀儡地獄」〜第三段〜
즈슈 식면귀 괴뢰 지옥 제3단
카토 토시유키 야노 아츠시
(矢野 篤)
시바타 준 1999.11.05.
제7화 「豆州弐面鬼傀儡地獄」〜第四段〜
즈슈 식면귀 괴뢰 지옥 제4단
토노카츠 히데키 코바야시 토시미츠 1999.11.12.
제8화 「左近からくり変化の章」〜第一段〜
사콘 잡동사니 변화의 장 제1단
하바라 다이스케
(羽原大介)
마츠이 히토유키 오타니 마사히토
(雄谷将仁)
오가와 이치로 1999.11.19.
제9화 「左近からくり変化の章」〜第二段〜
사콘 잡동사니 변화의 장 제2단
노가미 카즈오
(のがみかずお)
히라야마 사토시 1999.11.26.
제10화 「左近からくり変化の章」〜第三段〜
사콘 잡동사니 변화의 장 제3단
사오토메 유사쿠
(五月女有作)
야마구치 미히로
(山口美浩)
사사키 토시코
(佐々木敏子)
1999.12.03.
제11화 「信州百狐血雨地獄」〜第一段〜
신주 백호 핏빛 비 지옥 제1단
카네코 츠토무
(金子ツトム)
토노카츠 히데키 코바야시 토시미츠 1999.12.10.
제12화 「信州百狐血雨地獄」〜第二段〜
신주 백호 핏빛 비 지옥 제2단
게시 타카히로 시바타 준 1999.12.17.
제13화 「信州百狐血雨地獄」〜第三段〜
신주 백호 핏빛 비 지옥 제3단
마츠조노 히로시
(まつぞのひろし)
야마다 히로카즈
(山田弘和)
오가와 이치로 1999.12.24.
제14화 「埃及大王呪術地獄」〜第一段〜
이집트 대왕 주술 지옥 제1단
하야시 소타로
(林 壮太郎)
나카무라 테츠하루 노가미 카즈오 나카야 사토루
(中屋 了)
2000.01.07.
제15화 「埃及大王呪術地獄」〜第二段〜
이집트 대왕 주술 지옥 제2단
코무라 토시아키 야마구치 미히로 사사키 토시코 2000.01.14.
제16화 「埃及大王呪術地獄」〜第三段〜
이집트 대왕 주술 지옥 제3단
토노카츠 히데키 코바야시 토시미츠 2000.01.21.
제17화 「埃及大王呪術地獄」〜第四段〜
이집트 대왕 주술 지옥 제4단
이타니 키요타카
(井硲清高)
오노 카츠미 타카세 마코토
(高瀬 言)
키쿠치 조지
(菊地城二)
2000.01.28.
제18화 「薪能薫悲恋情」〜第一段〜
타키기노우 훈비연정 제1단
히구라시 유이치
(日暮裕一)
마츠이 히토유키 야마다 히로카즈 오가와 이치로 2000.02.04.
제19화 「薪能薫悲恋情」〜第二段〜
타키기노우 훈비연정 제2단
나카무라 테츠하루 노가미 카즈오 나카야 사토루 2000.02.11.
제20화 「薪能薫悲恋情」〜第三段〜
타키기노우 훈비연정 제3단
十月一 코무라 토시아키 사사키 토시코 2000.02.18.
제21화 「奥飛騨幽霊奇譚」〜第一段〜
오쿠히다 유령기담 제1단
오오노 타케오
(大野武雄)
토노카츠 히데키 와타나베 마사히코
(渡辺正彦)
코바야시 토시미츠 2000.02.25.
제22화 「奥飛騨幽霊奇譚」〜第二段〜
오쿠히다 유령기담 제2단
이타니 키요타카 오노 카츠미 타카세 마코토 2000.03.03.
제23화 「奥飛騨幽霊奇譚」〜第三段〜
오쿠히다 유령기담 제3단
토노카츠 히데키 노가미 카즈오 오가와 이치로 2000.03.10.
제24화 「恋花時雨咲乱舞」〜第一段〜
연꽃시우 소난무 제1단
하야시 소타로 오카오 타카히로
(岡尾貴洋)
옷파타 타다시 2000.03.17.
제25화 「恋花時雨咲乱舞」〜第二段〜
연꽃시우 소난무 제2단
코무라 토시아키 사사키 토시코 2000.03.24.
제26화 「恋花時雨咲乱舞」〜第三段〜
연꽃시우 소난무 제3단
마츠이 히토유키 코바야시 토시미츠 2000.03.31.

6.1.3. 평가

원작과는 정말 다른 부분이 많다. 원작에서 나온 장면은 일부 순화시키거나[33], 스토리의 구성이 전혀 다르게 간다든지, 캐릭터의 외모가 바뀌어버린다든지….[34]

제일 중요한 것은 원작에서는 코믹한 면도 다수 들어간 반면 애니메이션에서는 코믹한 면이 다량으로 삭제.[35] 마치 소년탐정 김전일의 초창기 애니메이션 때마냥 분위기가 엄청나게 무거워졌다.

7. 기타

8. 관련 문서



[1] 본명은 미야자키 마사루(宮崎まさる)로 샤라쿠 마로는 그의 필명 중 하나이다. 아기 타다시 남매처럼 다양한 필명으로 만화를 연재해왔다. [2] 보이스 톤은 나에기 마코토와 비슷하다. [3] 피가 낭자하는 현장을 보고도 살짝 놀라는 정도다. [4] 초판 번역판에서는 고모라고 오역되었다. 애니메이션판에서는 이모로 바뀌었는데, 애니 설정에서는 카오루코가 사콘의 어머니의 여동생으로 설정이 바뀌었기 때문. [5] 애니판에서는 카오루코와 치즈루(사콘의 어머니)의 친아버지(즉 사콘에게는 외할아버지.). 원작에서는 친할어버지로 나온다. [6] 원작에서는 이름이 나오지 않았으며, 해당 이름은 애니판 한정. [7] 훗날 원작가의 후속작인 데스노트에서 모기 칸조 역을 맡게 된다. [8] 아버지가 점주라고 한다. [9] 그 설정은 애니 오리지널 설정이다. [10] 훗날 원작가의 후속작인 히카루의 바둑에서 신도우 히카루의 어머니 신도우 미츠코를 맡게 된다. [11] 애니에서는 의대로 바뀌었다. [12] 애니에서는 폐교를 순찰하다가 불이 밝혀져 있어서 학교를 순찰하다가 키타무라를 발견하게 되어서 이들을 발견한 것으로 나온다. [13] 이번 사건의 범인이다. 다름아닌 이들의 초등학교 시절 동호회였던 인형 동호회에 왕따를 당하다가 결국 자살한 쿠스노키 오사무가 바로 그의 남동생이었던 것. 그래서 남동생을 괴롭혔던 인형 동호회 회원들을 죽이기 위해 이번 사건을 벌였던 것이다. 하지만, 동생 오사무가 같은 회원이었던 후즈키를 짝사랑하고 있었음을 알게 되며, 순수했던 남동생의 마음을 뒤늦게 깨닫고, 속죄한다는 의미로 자신의 목에 칼을 찔러서 자살하고 만다.(애니판에서는 진실을 알고 끊어진 다리에서 스스로 뛰어내려서 목숨을 끊는 것으로 변경.) [14] 사실은 이 사건의 공범이자 에다 순경의 연인이었다. 하지만 에다 순경에게 있어서 인형 동호회 모든 인원이 원수였기에 결국 팀킬을 당하고 만다. [15] 지금의 시즈오카 현 이즈의 옛 지명이다. [16] 이 캐릭터가 그녀의 데뷔작이다. [17] 애니판에서는 스기야마와는 연인 사이지만, 유키가 스기야마를 여전히 좋아하고 있다고 오해를 함으로서 마이를 속으로는 싫어하는 걸로 나온다. [18] 훗날 원작가의 후속작인 히카루의 바둑에서 신도우 히카루의 파트너 후지와라노 사이를 맡게 된다. [19] 원작에서는 이면귀의 칼에 입을 찔려서 관통당해 죽었으나, 애니판에서는 머리가 이면귀에 깔려서 으깨져서 죽은 것으로 변경. 어느 쪽이든지 끔살인 건 똑같다. [20] 사실은 이 사건의 진범이다. 스기야마와 타카무라가 마이의 집안의 비밀을 알고 마이를 괴롭히려고 하자 죽였던 것. 그렇게까지 한 이유는 바로 그녀가 마이의 친모이기 때문이었다. 마이가 아직 아기였을 때, 남편에게 가정폭력을 당하고 있던 그녀는 남편이 아기였던 마이에게 폭력을 휘두르려고 하자 남편을 살해하고 만다. 그래서 그녀는 이즈의 지인에게 마이를 맡기고 자신은 멀리 떠났던 것. 하지만 멀리서라도 마이의 상태를 계속해서 들으며 그녀를 지켜보고 있었다. 마이가 연예인이 되자, 그녀를 더 가까이서 보고 싶어서 매니저로 들어오게 된 것이다. 그 사실을 안 마이는 무척 멘붕하지만, 물론 그릇된 방법을 택해서 범죄자가 되어버린 어머니였지만, 자신을 사랑했던 마음은 진심인 걸 알고 그녀를 기다리기로 결심한다. [21] 이름 또한 애니 오리지널 설정이다. [22] 원작에서는 진범이 진짜로 밀어 떨어뜨렸지만(즉 진짜 살인을 한 것이 맞다.) 애니에서는 코치가 진범의 비밀을 알고 자살한 것으로 변경. [23] 이 사건의 진범이다. 사실 위에 나온 시라이시는 그의 진짜 부인. 그러나 그녀는 하야미와 바람을 피우고 있었다. 그렇게 위태위태한 가정을 유지해오다가 집에서 큰 불이 나게 되고, 그 안에서 잠들던 아오키의 친딸은 화마에 삼켜지고 만다. 허나 시라이시는 그 때 하야미와 사랑을 나누고 있었다. 아오키의 얼굴의 붕대는 바로 딸을 구하기 위해 불이 난 집에 들어갔다가 크게 화상을 입어서 감게 된 것이었던 것. 시라이시의 불륜을 알고 분노한 아오키는 아내가 일하고 있다는 후카미 가에 들어가서 비서로 일하게 된 것. 그리고 복수의 기회를 엿봤다가 이번 사건을 저지른 것이었다. 그러나 애니에서는 타모츠도 죽이는 2중 살인을 저지르고 말아서 원작보다 죄가 더 무거워지고 말았다. [24] 시라이시가 바로 아오키가 자신의 전 남편이었음을 눈치채고 그를 죽이려고 들었던 것. 그 때 시라이시가 한 말이 가관인데, 당신이 살아있는 줄은 몰랐다고! 당신도 그 때 딸이랑 같이 죽었으면 좋았을거야! [25] 훗날 원작가의 후속작인 데스노트에서 야가미 소이치로를 맡게 된다. [26] 우리나라에서 유명한 전대물인 초신성 플래시맨 다이를 맡았던 배우가 맞다. [27] 이번 사건의 범인이다. 쿄이치를 죽인 것도 바로 그. 바로 요검 백호가 무척 탐이 나서 쿄이치를 죽이고, 소시로까지 죽여버렸던 것. [28] 분라쿠를 하는 사콘의 본가 분위기 때문에 친구가 없던 사콘에게 위로를 해준 적이 있었다. [29] 이 성우의 유작이다. [30] 이 사건의 진범. 유우키 관장에게 자신이 가져온 유물이 가품인 걸 알고 비웃음을 당한 것이 원한이 되어서 살인을 저질렀다. 애니판에서는 유우키 관장과 타카하시에게 양다리를 걸치고 있었다는 설정이 추가되어서 더 최악의 인간이 되었다. [31] 바로 이 사건의 진범이다. 어렸을 때 쿠죠 가에 입양은 되었지만, 그 마음 속에는 어마어마한 야망을 가지고 있었던 것. 노의 능력자로서는 인정받았지만, 쿠죠 가의 명예까지는 자신의 것을 할 수 없었기에, 집사인 츠보타와 공모를 해서 이 쿠죠 가를 멸족시키고 자신이 최고가 되기 위해 이런 잔인한 살인극을 저질렀던 것. [32] 나오토와 함께 이 사건을 저지른 공범이다. [33] 원작에서는 목이 잘리는 장면까지 나온바 있었으나, 애니메이션에서는 단순하게 추락사로 변경하는 등. [34] 두 번째 에피소드에서 나오는 여캐릭터의 은사의 외모가 원작에서는 말 그대로 거지꼴인 반면 애니메이션판에서는 평범한 중년 체육 선생 같은 이미지로 바뀌어 나온다. [35] 사실상 우콘이 날뛰는 부분이 그나마 개그신으로 본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