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캅카스어족 North Caucasian Languages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2px" |
북동캅카스어족 | 나흐어파 | 바츠어 | |||
체첸어 · 인구시어 | ||||||
다르기어 | 다르과어 · 카이다크어 · 쿠바치어 · 이차리어 · 치라그어 | |||||
라크어 | ||||||
레즈긴어파 | 아르치어 | |||||
동 | 우디어 | |||||
레즈긴어 · 아굴어 · 타바사란어 | ||||||
서 | 루툴어 · 차후르어 | |||||
남 | 크루츠어 · 부두흐어 | |||||
아바르안디어파 | 아바르어 · 안디어 | |||||
체즈어파 | 동 | 베시타어 · 훈지브어 | ||||
서 | 체즈어 · 흐바르시어 · 히누흐어 | |||||
히날루그어 | ||||||
북서캅카스어족 | 압하스아바자어파 | 압하스어 · 아바자어 | ||||
체르케스어파 | 아디게어 · 카바르다어 | |||||
우비흐어파 | 우비흐어† | |||||
*†: 사멸된 어군 혹은 언어 | }}}}}}}}} |
우비흐어 tuex̂ıbze[1] Ubykh Language |
||
<colcolor=#fff,#000><colbgcolor=#888,#ddd> 유형 | 교착어 | |
어순 | 주어-목적어-서술어 (SOV) | |
서자방향 | 좌횡서 (왼쪽부터 가로쓰기) | |
문자 |
키릴 문자 로마자 |
|
주요 사용 지역 | 없음 | |
원어민 | 없음 | |
계통 |
북서캅카스어족 우비흐파 우비흐어 |
|
언어 코드 |
<colcolor=#fff,#000><colbgcolor=#999> ISO 639-3 | uby |
글로톨로그 | ubyk1235 |
[clearfix]
1. 개요
[2]체르케스계 민족인 우비흐인이 사용했던 언어다. 현재는 소멸했다. 우비흐어 표현인 트워흐(tuex̂ı, /tʷɜχɨ/)를 차용한 페히어(Päkhy)로도 알려져 있다.
2. 문법
우비흐어는 북캅카스어족 우비흐어파에 속한 언어였다. 우비흐어는 인접 언어들과도 연관성이 있었는데 특히 아디게어 및 카바르다어와 매우 가까운 언어였다. 우비흐어는 자음의 비중이 84개로 매우 많았던 반면, 모음수는 3개로 매우 적었다. 형태론적으로는 격변화가 존재했으며 교착어와 포합어의 성격을 띠었다.3. 역사
우비흐어는 19세기 말까지 러시아의 북캅카스와 흑해 연안인 소치 부근에서 거주하던 우비흐인에 의해 존속했다. 하지만 러시아 제국이 북캅카스 지역을 침략하면서 우비흐인들은 전쟁에서 패하고 오스만 제국으로 추방됐고 북캅카스 지역의 우비흐어도 거의 소멸했다. 오스만 제국으로 이주한 우비흐인들은 튀르키예인으로 동화되었고 동시에 우비흐어 화자도 많이 줄어들었다. 마지막 우비흐어 화자였던 테브피크 에센치(Tevfik Esenç, 1904년 ~ 1992년 10월 7일)가 사망하면서 우비흐어는 소멸했다.4. 기타
우비흐인들은 대부분 튀르키예인으로 동화되었지만 튀르키예 내의 우비흐인들을 중심으로 우비흐어를 부활시키기 위한 움직임이 존재한다.
[1]
/tʷɜxɨbzɜ/
[2]
출처:
ILoveLangu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