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5-26 20:21:58

우강훈/선수 경력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우강훈
1. 개요2. 아마추어 시절3. 롯데 자이언츠
3.1. 2021 시즌3.2. 군 입대3.3. 2023 시즌3.4. 2024 시즌
4. LG 트윈스
4.1. 2024 시즌

1. 개요

LG 트윈스 소속 우완 사이드암 투수 우강훈의 선수 경력에 대한 문서.

2. 아마추어 시절

빠른 공을 던지는 사이드암 스로 투수로 기대를 모았으나 정작 고교 때의 기록은 미미하다.

1학년 때 1⅓이닝, 2학년 때 7이닝을 소화한 것이 전부고 중요한 3학년에 와서는 부상 때문에 지명 전까지 한 경기도 등판하지 못했다.

지명 후에 알려진 바에 따르면 2020년 8월 말에 팔꿈치 내측측부인대 수술을 받고 재활 중이라고 한다.

3. 롯데 자이언츠

3.1. 2021 시즌

줄곧 재활에 매달린 뒤 퓨처스 리그 시즌이 끝난 뒤에 시작한 교육리그에서 비로소 실전 투구에 나섰다.

10월 26일 LG 트윈스와의 교육리그 경기에서 1이닝 2실점을 기록했고 최고 구속은 143.5km/h를 기록했다.

3.2. 군 입대

2021 시즌 종료 후 11월 8일에 홍민기와 같이 현역으로 동반 입대를 했다. 전역일은 2023년 5월 7일.

3.3. 2023 시즌

전역 후 105번의 등번호를 받았고, 7월 6일 퓨처스리그에서 KBO 공식 경기 첫 등판을 했다. KBO 유튜브 중계 스피드건으로 최고 149km/h의 구속을 보여주며 1이닝을 깔끔하게 소화했다.

퓨처스리그 최종 성적은 16경기 24⅔이닝 3홀드 ERA 4.38을 기록하였다.

정식 선수 65명의 TO가 이미 모두 채워진 상태라 콜업 없이 시즌을 마감할 줄 알았지만 10월 4일에 기존 정식 선수였던 김동우가 웨이버 공시로 정리되면서 곧바로 정식선수로 전환된 후 1군에 등록되었다. 등번호는 나원탁의 은퇴 이후 비어있던 36번을 달았다.

10월 5일 LG전 1군 첫 등판을 하여 2이닝 2K 무실점으로 틀어막았고 최고 구속 151km/h(전광판 기준)을 기록하였다.

10월 9일 LG와의 경기에서도 1이닝 1K 무실점을 기록했다.

그리고 10월 12일 KIA전 첫 선발등판을 하게 되었다. 3회 이우성에게 2타점 적시타를 맞은 뒤 4회 번트 수비 때 본인의 실책이 겹쳐 무사 만루를 만든 뒤 이태연으로 교체되었다. 본인의 승계주자가 모두 홈을 밟으며 최종 성적은 3이닝 5피안타 5실점(4자책). 6회 팀이 동점을 만들며 패전의 멍에가 지워졌다. 그러나 7회 말에 최준용이 실점을 허용하면서 팀은 패배했다.

나온 경기는 고작 3경기 뿐이지만 150km/h를 넘나드는 패스트볼과 강력한 구위, 무브먼트를 보여주며 팬들에게 임팩트를 남겼고 서준원이 이탈한 롯데한테 혜성같이 나타난 사이드암 파이어볼러로 큰 기대를 받고 있다.

3.4. 2024 시즌

3월 24일 SSG와의 2차전에 올라왔지만 아웃 카운트 없이 볼넷과 몸에 맞는 공 3개만 기록하고 최악의 피칭을 남기고 강판되었다.

4. LG 트윈스

3월 30일, LG 트윈스의 내야수 손호영과 트레이드돼 LG 트윈스로 이적했다. 등번호는 61번. 참고로 한때 같은 팀 동료였던 김유영, 김민수와 한솥밥을 먹게 되었다.

4.1. 2024 시즌

트레이드 후 1군과 동행하다가 4월 2일 1군 엔트리에 등록되었다.

4월 5일 잠실 kt전에서 7:8로 뒤진 연장 10회초 2사에 등판해 황재균에게 볼넷을 내줬지만 박병호를 유격수 땅볼로 처리, 0.1이닝 무실점을 기록하며 LG 데뷔 경기를 마쳤다.

4월 8일 1군에서 말소되었다.

4월 18일 1군에 콜업되었다.

4월 21일 SSG와의 더블헤더 1차전에서 8실점으로 난타당한 엔스의 후속투수로 6회말 등판하여 1이닝 무실점을 기록했고, 팀이 김범석의 만루포로 역전에 성공하며 데뷔 첫 승리투수가 되었다.

4월 21일 더블헤더 2차전에서는 사구 후 제구가 흔들리며 0이닝 1실점이라는 아쉬운 피칭을 했다. 다만 연투였기 때문에 어쩔 수 없는 부분.

4월 23일 삼성전에서 1이닝 0실점을 기록했다.

4월 26일 KIA전에서 2/3이닝 동안 2피안타 2사사구로 2점을 내주었다.아직까진 조금 불안한 투구를 이어가고 있다.

4월 28일 KIA전에 등판해 1이닝 1피안타 2사사구 1실점(0자책)으로 두 경기 연속 불안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4월 30일 NC전에서 사사구 하나를 내줬지만 1이닝을 잘 막아냈다.

5월 7일 SSG와의 경기에서 1이닝 0실점으로 안정된 피칭을 보여주었다.

5월 14일 키움과의 경기에서 8회에 등판하였으나 김태진 김혜성에게 안타를 맞고 한 점을 내주고 이닝을 마무리한 뒤 9회 이종준으로 교체되었다.

5월 19일 kt와의 경기에서 7회에 등판했으나 폭투를 2개나 범하는 등 1이닝 1실점을 기록하고 9회 최동환과 교체되었다.

5월 20일 1군에서 말소되었다.

그런데 2군에 내려가자마자 5월 23일 ⅔이닝 6피안타 2사사구 1탈삼진 7실점이라는 황당한 성적을 기록했다.

5월 26일은 퓨처스에서 1이닝 무실점을 기록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26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26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