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17-07-25 17:28:02

요술(헬퍼)

1. 개요
1.1. 요술
1.1.1. 소리
1.2. 전투 씨름1.3. 봉산1.4. 대각1.5. 장광남1.6. 기타

1. 개요

도깨비들이 사용하는 기술로 기본적으로 도깨비들은 요술이란 힘을 태어날 때 부터 쓸 수 있다. 정확히는 사신과는 달리 암력이 아닌 '노력'이란 힘을 사용하며 원리는 인간들과 같이 훈련과 수련을 통해 얻는 것과 같다. 즉, 도깨비들이 처음 부터 요술을 쓸 순 있지만 그 요술을 어떻게 끌어내는 가는 본인이 노력한 결과에 따라 틀린 것이다. 그 예로 대력왕의 피를 이은 헌우는 훈련을 게을리하고 놀음을 즐겨 노력하지 않은 결과로 중촌의 경비 '숭숭이'들 조차 겨우 이길 정도의 실력이었다.

작 중 일반적인 령이 내변령을 티켓 10장을 가진 상태에서 팔 한쪽이나 다리 강화 정도만 쓰는 반면, 기본적인 기술로 보이는 '요술 - 도깨비 탈'이 전체적인 강화를 보여준다는 걸로도 일반적인 령은 상대하기 힘든 것으로 보인다.

파주주는 요술을 사신의 외변형을 흉내낸 수준이며 겉만 요란하고 화려했지 날카로움이 없다고 깠지만 정작 이 말을 하고 난 후 중촌의 하르방 '섭지코지'에게 요술로 두들겨 맞았다(...).

1.1. 요술

1.1.1. 소리

작 중 소리를 사용한 도깨비가 랭보 밖에 없지만 하르방 '섭지코지'의 언급을 통해 소리 역시 요술 중 하나인 것으로 밝혀졌으며 이것으로 요술에도 여러 계통으로 나뉘는 것으로 보인다. 충전 시간이 길다는 단점이 있지만 위력은 '파초산'의 열풍과 동급일 정도로 강력하며 꼭 곡소리로 사용될 뿐만 아니라 소리 없는 공겨, 자신의 소리를 증폭시켜 외치기 등 여러 방식으로도 있는 듯하다. 소리를 연습한 랭보는 소리의 영향 때문에 아니면 성격 때문인지 말을 더듬는 모습을 보인다.

1.2. 전투 씨름

옛 도깨비들의 기술로 요술이 아닌 씨름을 전투로 응용한 전투 기술이다. 호동의 전투 씨름 기술들을 맞은 주사는 단순하지만 견고하다고 평했으며 보통의 씨름과 같이 다리를 걸거나 소매를 잡아 땅에 내려 꽂는 기술들이 많다. 타고난 힘은 장사지만 사람을 치기 싫어하던 호동에게 하르방이 권유해 준 것으로 전투 씨름을 사용하기 위해선 강한 힘이 있어야 하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큰 기술들이라고 했지만 네 번 연속으로 기술을 사용한 호동이 금새 지치는 걸로 봤을 땐 기술 하나하나의 위력이 강한 대신 그만큼 큰 체력을 소비하는 듯하다.

1.3. 봉산

주인의 색과 같은 색을 공유하며 자유로운 구름이라는 불리는 근두운, '봉산'이 사용했던 기술들로 타격의 강약과 횟수를 조절한 기술들로 보인다.

1.4. 대각

대력왕 '우마'의 피를 이은 헌우가 각성하자마자 사용한 기술의 계통으로 주로 몸에서 뿔을 솟아 공격하는 기술들이며 막 각성한 참이라 그런지 아니면 그 동안 수련이나 훈련을 게을리해 노력하지 않은 헌우의 행동 때문인지 기술들이 죄다 단순한 것들 밖에 없다.

1.5. 장광남

1.6. 기타



[1] 랭보와 인자가 도깨비 탈을 쓰기 위해 땅에 얼굴을 박은 상태로 얘기한 걸 보면 땅에 얼굴을 박고 난 후 얼굴을 뺀 순간 흙들이 모여 탈이 생기는 것으로 보인다. [2] 실상 문지기라면 몸으로 버텨야 되는데 왜 싸웠냐고 질타하는 다른 도깨비들을 혼내줄려고 사용한 것에 가까우며 도깨비들 중 사동대장이 일반적인 사신급의 전투력을 지녔다고 보면 문지기와의 역량 차를 쉽게 납득할 수 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