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28 15:43:17

삼강오륜

오륜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올림픽의 음역인 오륜에 대한 내용은 올림픽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롯데푸드의 옛 이름인 롯데삼강에 대한 내용은 롯데푸드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서울 지하철 9호선의 역에 대한 내용은 둔촌오륜역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개요2. 유래3. 현대 사회에서의 비판4. 기타5. 관련 문서

[clearfix]
벼리 다섯 인륜

1. 개요



유교에서 지켜야 할 세 가지 강령과 다섯 가지 인륜을 말한다.

즉, 유교에서 기본이 되는 세가지 법도와 다섯가지 인간관계를 뜻한다.[1]

삼강이란 군위신강, 부위자강, 부위부강을 의미한다.

여기서 ' 벼리'에 대해서는, 해석에 여러 의견이 있다. 유력설에 의하면 벼리란, 그물에 있어서 근본이 되는 굵은 줄을 뜻하며, 현대적 의미에서는 ‘법도(法度)’라고 풀이하거나, 책임자 등의 의미로 해석한다. 이 때, 부위자강은, 아버지는 아들의 법도가 된다는 뜻이 되는데, 쉽게 풀이하면 아들은 아버지의 말을 따른다 혹은 복종한다 정도의 뜻이 된다.

그리고 오륜은 부자유친, 군신유의, 부부유별, 장유유서, 붕우유신을 의미한다.

2. 유래

삼강의 유래에 대해서는, 논쟁이 아직까지 있으나, 현대에 전해지는 그 내용은, 백호통의(白虎通義)에서 기인한다고 생각하는 것이 통설이다. 오륜의 유래는, 맹자의 등문공장구에 부자유친 군신유의 부부유별 장유유서 붕우유신 이라고 적혀있는 것에서 기인하며, 중국에서는 통상 '오상'으로 기재하기에, 조선에서 변형된 것으로 추정된다.

3. 현대 사회에서의 비판

유가윤리로 통용되는 삼강오륜은 한대의 중앙집권제에 이용되면서 변질된 종적 복종윤리로서, 본래 유가의 윤리에서 크게 벗어나고 말았다는 견해가 이것이다. 정치적으로는 왕도주의, 사회적으로는 삼강오륜 사상을 토대로 하며 사대부 계층에 의한 유교적 가부장주의와 봉건적 전제군주 통치체제를 정당화하는 이데올로기로 정립되고 말았다는 것이다. 따라서 삼강오륜에 의한 상하 남녀 사이의 지나친 차별과 구속으로 유교의 자유와 평등을 간과하게 되었다는 비판이 일기도 했다.
원불교대사전, 원불교100년기념성업회 #
기본적으로 전근대의 전제군주정과 가부장제 질서를 기반으로 하는 사상이라 성평등, 개인주의 등의 현대사회에서 필수로 여겨지는 사상과 정면으로 충돌한다.

단 본래 의미가 무조건적인 상명하복만을 전제하는건 아니다. 수직적인 질서와 더불어 윗사람의 책임 또한 강조하기 때문에 이에 충실하지 않은 모습을 보였다가는 제대로 대접을 받지 못하고 특히 군주의 경우는 천명을 거스르는 것으로 여겨져 역성혁명의 명분이 되기도 했다.

나이와 기수로 상하관계를 따지기 좋아하는 기성세대, 기득권층은 자신들의 사회적 계급을 정당화하기 위해 삼강오륜을 자의적으로 왜곡해 해석하는 경향도 있다. 흔히 "너는 위 아래도 없냐?"라는 식으로[3] 봉건성을 대변하는 이들의 입장은 민주주의와, 인권, 자유 평등에 대한 명백한 도전이지만, 전통적인 덕목이란 명목은 독재정권 시절 권위에 대한 일종의 복종교육 수단으로 더할 나위 없는 것이었다. 나중에 급격한 민주화가 이루어졌다고는 하나, 21세기 대한민국이 서구수준으로 인간적인 차별 없는 사회라고 보기엔 어렵다. 독재시절과 민주화를 통한 그간 세대간의 가치관 차이는 사회 전반에서 세대 간 갈등으로 나타나고 있다.

또 대한민국이 민주화를 통했다고 하지만 군사정권 시절과 별다를 바 없는 위계적인 직장문화와 어느덧 기득권이 된 중장년 세대가 직장에서 대한민국의 미투 운동 갑질로 고발되는 현실은 민주화를 이끈 세대조차 삼강오륜을 차별 정당화 근거로 써먹었다는 비판으로 이어지곤 한다. 이는 보수진영에서 "상명하복은 어느 조직이든 등장할 수밖에 없는 권력의 본성"이라는 비아냥의 근거가 되기도 한다. 내리갈굼의 원인일 수도 있다.

조선시대에는 한두 살 차이는 물론이고 5~6살 차이도 그냥 또래 개념으로 친구처럼 지냈고,[4] 예전이나 요즘이나 모두 상호 동의 간에 친구처럼 지내는 경우가 있긴 하지만, 상호 동의 없이 한두 살 차이라며 친구처럼 대하는 것은 떼법에 의해 터부시되고 있다.

2009년 MBC의 예능 프로그램인 무한도전의 <일자리가 미래다> 특집에서는 유재석 박명수와 전화하면서 형이라고 부르자, 옆에서 통화하는 걸 보던 어르신들이 1살 차이는 그냥 친구라면서 말 놓으라고 농담을 하는 장면이 나온 바 있는데, 이는 그저 예능식 농담에 유교로 포장된 군기가 전통처럼 자리 잡은 나라에서 아직은 웃어른을 공경하고 질서를 지키는 것은 당연하다고 볼 수 있고, 아직은 이것을 상호 동의 없이 지키지 않는 것을 선진국화 또는 아메리칸 스타일이라며 합리화할 수는 없다. 문제는 간혹 이걸로 한두 살 차이의 연령 차별을 하는 것이다.[5] 성장/성숙 속도 차이로 조금 늦게 태어난 사람이 조금 빨리 태어난 사람보다 빨리 성장하기도 하지만 이는 고려 대상이 아니다.

4. 기타

삼강오륜을 어긴 예로는 조선의 임금이었던 선조 임진왜란이 터지자 임금의 도리를 저버리고 일부 신하만 거느린 채로 도망갔다. 당연하지만 그로 인해 선조의 권위는 떨어졌고, 그에 대한 자격지심의 발로로 무수한 실책과 질투를 반복했다.

현대중국어에서도 '삼강오륜'이 사용되지만 '부위부강'이라 하지 않고 '부위처강'으로 사용한다. 또 '삼강오륜'보다는 '삼강오상'이라는 용어가 더 많이 쓰이는 편인데, 문자적으로 비슷하지만 오상은 5가지 덕목인 인, 의, 예, 지, 신으로 오륜과는 전혀 다르다.

이말년씨리즈 < 어린 놈의 새끼가> 편의 부제가 <장유유서 신드롬>이다.

5. 관련 문서


[1] 유교와 산반, 카도카와 소피아 문고, 시부사와 에이사쿠 [2] "요즘엔 나라와 국민 사이에는 의리가 있어야 한다"라는 뜻의 국민유의(國民有義)의 개념으로도 해석한다. [3] 관련 속담으로 "찬물도 위아래가 있다"가 있겠다. [4] 오성과 한음도 5살 차이였으며, 정도전 정몽주도 5살 차이였으나 모두 막역한 친구로 지냈다. [5] 물건이나 콘텐츠로 따지면 먼저 나온 것(구형)이 나중에 나온 것(신형)보다 낫다는 것이 되고, 세상 사회로 따지면 현재보다 더 발전하면 안 된다는 것이 되는데, 현실에는 구형보다 나은 신형이 훨씬 많으며, 물건과 비교하기에는 문제가 있고, 경험이 절대적이 아니나 대인관계로써 따지면 경험과 연륜에서 오는 지식과 행동의 차이는 분명하게 있다. 이 차이는 구형 물건, 신형 물건 사이에도 있긴 하지만.(검증 여부, 사용 시간, 사용자의 기록 등; ' 디지털 암흑시대', ' 새로움에 호소하는 오류와 전통에 호소하는 오류' 문서도 참고할 만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