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1-10-12 20:47:05

여순근

성명 여순근(呂淳根)
이명 오순근(吳淳根)
생몰 1876년 3월 19일 ~ 1946년 3월 5일
출생지 평안남도 중화군
사망지 강원도
추서 건국훈장 독립장

1. 개요2. 생애

1. 개요

한국의 독립운동가. 1962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받았다.

2. 생애

여순근은 1876년 3월 19일 평안남도 중화군에서 태어났다. 그는 1899년 한국무관학교를 졸업하고 육군 참위에 임관되어 1902년 부위(副尉)로 승진했다. 1907년 대한제국군이 해산되자 강원도에서 의병에 가담해 일본군에 맞서 싸웠다. 한일병합 후 은거했다가 1919년 3.1 운동 이후 유성삼·이수영(李秀英)·주석환(朱錫煥)·표영준(表永準)·명덕상(明德相) 등과 함께 만주로 망명하여 대한독립단에 가입하여 훈련부장으로 활동했다. 그리고 그해 11월에는 안동현 임시의사회에 참여했다.

1920년 2월 말, 여순근은 대한민국 임시정부 경무국장 김구 휘하에서 경호부장에 임명되었고, 19204년 4월에는 안병찬을 총재로 하는 대한청년단연합회가 조직되었을 때 경호부장에 임명되었으며, 9월 21일에는 임시정부 평북연통제의 경무사(警務司)로 임명되었다. 1920년 12월 대한독립단이 광복군사령부에 통합되자, 그는 사령장 조맹선의 부관으로서 참모장 이탁 등과 함께 대일 무력항쟁을 수행했으며, 훈련국장으로서 독립군 양성에 전념했다.

1922년 환인현에서 대한통의부(大韓統義府)가 조직되자 이에 가입하였으나, 채상덕(蔡相德)·김유성(金有聲) 등이 통의부에서 탈퇴하여 의군부를 조직하는 내분이 발행하자 유응하(劉應夏) 등 전 한교회(韓僑會) 인사 13명과 함께 “통의부는 내분이 야기되고 신·구파의 대립중이므로 통일의 실현을 거둘 수 없기 때문에 태도를 선명히 하여 탈퇴한다.”는 선언문을 발표하고 따로 대한군민부(軍民府)를 조직했다. 이후 일본군의 탄압이 거세지자 만주에서 은거했다가 8.15 광복 후 귀국했고, 1946년 3월 5일 강원도에서 사망했다.

대한민국 정부는 1962년 여순근에게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했다.

아들 여행렬 또한 평양부청에 폭탄을 투척했다가 8년간 옥고를 치른 독립운동가였으며, 1963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수여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