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05 13:07:01

압축

compression , pack.

한자 뜻풀이를 해석하면 누를 압, 줄일 축인데, 이 뜻을 발음 그대로 풀이하면 다양한 뜻이 있다.

1. 사전적인 의미2. IT 용어
2.1. 관련 문서
3. 트레이딩 카드 게임, 덱 빌딩 게임에서4. 롤플레잉 게임에서

1. 사전적인 의미

  1. 물질 따위에 압력을 가하여 그 부피를 줄임.
  2. 문장 따위를 줄여 짧게 함.
  3. 일정한 범위나 테두리를 줄임.
  4. 심리학 용어 : 스핑크스처럼 둘 이상의 상()을 합쳐 내용을 축소함. 또는 그런 현상. 꿈이나 신화, 화가의 미술, 정신분열증 환자의 그림에서 볼 수 있다.

2. IT 용어

디지털 컨텐츠에서 컨텐츠의 용량을 줄이는 행위

압축은 크게 손실 압축과 무손실 압축으로 나뉘며, 오디오와 동영상의 압축에 대해서 자세 알기 위해서는 코덱으로 검색해보는 것을 추천한다.

무손실 압축 알고리즘은 이미지는 PNG, 오디오는 FLAC이 대표적이다. 데이터를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용량을 줄일 수 있다. 그러나, 손실 압축에 비해 용량을 많이 줄이지는 못 한다. 그래서 많은 용량을 줄여야 하는 동영상에서는 잘 쓰이지 않는다.

손실 압축 알고리즘은 JPEG, 오디오는 MP3, 동영상은 H.264가 대표적이다. 손실 압축으로 사라진 데이터는 복원할 수 없으나, 줄일 수 있는 용량은 무손실 압축보다 좋다. 알고리즘으로 용량을 줄이는 것 외에, 해상도나 비트레이트를 줄이는 등의 방법으로 용량을 낮추는 것 역시 손실 압축에 해당한다. 적절한 손실 압축이 어느 정도인지는 상황에 따라 다르다.

ZIP, 7Z, RAR 같은 아카이브와 압축을 한번에 하는 포맷을 그냥 압축이라 부르기도 한다. 아카이브란 여러 파일과 디렉터리를 하나의 파일로 만들만드는 것을 의미한다. ZIP의 대중화로 아카이브와 압축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 둘의 구분은 잘하지 않게 되었다. 한국어에서는 아카이브와 압축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을 압축이라고 부르지만, 영어에서는 반대로 아카이브로 칭하는 경우도 있다. 물론 압축이란 용어도 쓰나 이 경우 아카아브와 압축을 동시에 하는 것 보다는 컨텐츠 용량을 줄이는 경우를 뜻하는 어감이 더 강하기에, ZIP이나 7-Zip 소프트웨어를 찾는다면, 영어권에서는 아카이브라고 검색하는 것이 결과가 더 좋다.

이러한 압축은 무손실이고, 범용성이 매우 높아 거의 대부분의 컨텐츠에 사용할 수 있으나, 컨텐츠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아카이브를 풀어야 하는 경우가 많으며, 줄일 수 있는 용량이 많지 않다. 1.44MB가 용량인 플로피 디스크와 같이 절대적인 용량 자체가 적었던 매체가 주로 쓰였던 시절에는 플로피 디스크에 넣을 수 있느냐 마느냐를 위해 KB단위라도 줄이면서, 용량을 플로피 디스크에 맞추어 끊어서 압축하는 식으로 사용되었다.[1] 반면, 오늘날 저장장치 용량은 가격대비 상당히 늘어났고 인터넷의 고속화 및 안정화로 아카이브 압축파일 사용하는 경우는 다량의 파일을 하나의 파일로 만들어 전송하기 위해서나, 암호화가 필요할 때 등, 편의나 보안을 때문에 쓴다. 이런 용도로 사용할 경우 ZIP, 7Z으로 압축할 때도 설정에서 무압축으로 하는 것이 좋다. 대부분의 경우, 압축률을 높게 해도 몇 십MB정도 줄거나 MB단위도 안 주는 경우가 많은데, 압축 시간과 압축 푸는 시간은 늘어나기 때문이다.

일본어에서는 압축은 한국과 동일하게 압축(圧縮)이라 부르지만, 압축해제는 전개(展開)[2], 혹은 해동(解凍)이라는 표현을 쓰는데, 이는 한국어와의 어감 차이도 있고, LZARI법을 사용하는 LHA/LZH 규격을 개발한 요시자키 하루야스가 프로그램 사용 설명서에서 해동이라 쓴게 퍼진 것일 수 있다는 설이 있다. 당시에는 압축의 유의어로 동결(凍結)이라는 용어도 사용되었기에 이에 대한 반대 의미로 해동이라는 의미를 사용했다는 것.

2.1. 관련 문서

3. 트레이딩 카드 게임, 덱 빌딩 게임에서

"덱 압축"이라는 표현을 쓴다. TCG에서 드로우로 덱의 카드를 패로 올리거나 또는 아예 덱에서 카드를 사용함으로써 덱의 남은 카드 수를 줄여 원하는 카드가 나올 확률을 높이는 것을 말한다. TCG에서 운빨을 담당하는 가장 큰 축이 드로우인데 이것을 실력으로 치환하는 행위이며, 덱 압축이 잘 될수록 안정적이고 강력한 덱이 된다.

도미니언(보드 게임), Slay the Spire 등의 덱이 점점 늘어나는 룰의 게임에서는 덱 압축이 매우 중요하다.

덱 압축의 방법은 게임 룰에 따라 꽤 다르나, 일반적으로는 아래의 원칙을 따른다.
이를 통해 플레이 시 한 턴에 최대 효율의 행동을 할 수 있는 카드 조합을 매 번 손에 집게 되며, 극한까지 룰을 이용하면 게임에 따라 원턴킬이나 무한 루프를 돌릴 수도 있게 된다. 단, 그게 가능한 게임의 경우 카드 수집이 엄청나게 힘들거나, 또는 대전 게임으로서의 역할을 포기했거나(싱글 플레이 위주), 덱 압축의 효과가 일시적이거나, 실시간으로 덱을 완성해나가는 구조가 아니면 선후공 가위바위보 승리가 확정이므로[16] 망겜이 되기에 제한 룰이나 운빨 요소를[17] 도입하는 경우가 많다.

덱 파괴가 패배가 되는 룰에서는 필승 공식이 중요해진다. 이게 없으면 덱을 너무 빨리 다 뽑아버려서 지게 되기 때문. 그런 점에서 덱 압축은 덱 전체의 카드 파워를 낮추는 측면이 있음도 고려해야 한다.

역발상으로, 덱의 최소 사이즈를 늘려야 하는 조건을 거는 대신 높은 이득을 제공해주는 카드들을 넣고, 이 자리를 덱을 압축하느라 빼버린 고성능 카드들을 전부 넣는 방식으로 굴러가는 덱도 있다. 매직 및 매직에서와 같은 마나 시스템을 채용하는 게임의 경우 단일 윈플랜에 대한 의존도가 낮은 컨트롤 덱이, 유희왕 같은 경우에는 공격권이 많아 특정 키 카드를 다른 카드로 대체할 수 있는 굿 스터프류 덱이 이런 카드를 채용하여 덱의 크기를 늘린다.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이웃집 잔디깎기[18], 매직 더 개더링 창공 유목민, 요리온, 하스스톤 왕자 레나탈 등 이런 방식의 덱 구성을 권장하는 카드가 있으며, 언급된 3장의 카드 모두가 하나같이 제재 혹은 재조정의 대상이 된(...) 전적이 있다.

덱 압축과 정 반대의 덱 구성 철학은 하나하나의 카드 파워를 중시하고 드로우 수단을 배제하는 비트 다운 형식이다. 이 구성에서는 드로우 카드는 눈을 암만 휘둘러봐도 찾을 수가 없으며, 대신 순수한 공격력과 방어력으로 찍어누르거나 특정 카드의 카운터인 고효율 카드로 덱을 짠다. 전체 카드 파워가 훨씬 높으나, 공짜 드로우에 크게 의존하게 된다는 단점도 있다. 여러모로 덱 압축을 하는 콤보덱과 대척점에 있는 구성.

4. 롤플레잉 게임에서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에서 체력, 공격력 등 능력치가 증가하여 파워 인플레이션이 발생하자,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드레노어의 전쟁군주(2014)에서 이를 해소하기 위해 수치를 조절했다. 나의 공격력과 상대의 체력 사이에 밸런스를 맞춤으로써 양쪽이 압축을 덜 체감하게 되었다. 실질적으로 수치들의 자리수가 올라가는 만큼 컴퓨터에 부담이 발생할 수 있기에, 이를 예방했다는 의의도 있다.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어둠땅(2020)에서 캐릭터 및 아이템의 레벨을 압축했다.

파이널 판타지 14에서도 6.0 확장팩 효월의 종언때 능력치 압축이 한차례 진행되었다. 사유는 칠흑의 반역자때 능력치 인플레가 너무 심해서 처리 데이터가 늘어나기때문에 한차례 정리해야 했기 때문. 특히 플레이스테이션 등 거치형 콘솔 유저 비중이 높은 게임이다 보니, 최적화를 위해서도 한번 짚고 넘어가야할 문제이기도 했다. 덕분에 칠흑의 반역자 시절 탱커 기준 20만이 넘던 체력과 각종 능력치가 6.0 초기에는 홍련 델타시절 수준으로 확 낮아졌다.

디아블로 4: 증오의 그릇에서 레벨을 압축했다. 오리지날의 레벨 100은 증오의 그릇에서 레벨 50과 같다. 그리고 최대 레벨은 60이다.


[1] 용량이 매우 큰 파일을 이렇게 압축할 경우, 원래 아카이브의 목적과 반대로 파일 수가 오히려 더 늘어나게 된다. [2] 현 일본어 Windows에서 사용되는 정식 번역어. 용량을 줄인다보다 아카이브를 해제한다는 의미에 더 가깝다고 볼 수 있다. [3] ZIP, 7z, ALZ 등. [4] H.264, AV1 등. [5] 다만 이 경우, 상대적으로 고성능 카드를 걸러 약해진 초반을 못 견디고 나자빠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덱 압축이 어려운 이유 중 하나를 차지한다. [6] 당연히 여러 장 집었을 경우 페널티가 없어야 한다. [7] 일시적, 영구적 모두 [8] 덱사가 없고 모두 드로우 시 루프되는 게임의 경우 [9] 예를 들면 바이스 슈발츠에서 추억으로 가는 카드들 [10] 보통 핸드를 버리는 건 그냥은 해당 안 되고 연계 카드가 필요하다. 덱을 버리는 카드가 덱 압축에는 더 맞다. [11] 강제로 못 써먹을 카드가 손에 들어오게 되어 있는 룰의 경우( 도미니언(보드 게임), Slay the Spire 둘 다 해당) 적정량 필요한 경우가 있다. [12] 드로우가 없는 경우. 덱의 몇 장을 보고 맘대로 순서를 바꾼다 같은 것이다. [13] 사용한 카드를 곧바로 또는 금방 다시 쓸 수 있게 해 주는 카드. 보통 특수한 조건이 붙어 있다. [14] Slay the Spire 유물 같은 것이다. [15] 보통 카드가 아니면 '덱 압축'이라고 부르지 않는다. 다만 룰에 따라 보통은 덱 압축에 안 쓰이던 카드가 덱 압축이 가능해질 수도 있고 실시간 덱 메이킹의 경우 카드 외적 요소로 인해 덱 압축이 가능한 경우도 있다. [16] 덱과 게임 시스템에 따라 선공만 이기거나 후공만 이기거나 보통 둘 중 하나가 된다 [17] 주사위 등 [18] 여기 언급된 다른 종류의 카드들과는 달리 직접 제약을 걸지는 않으나, 덱에 카드가 많을수록 이 카드의 효과가 강해지기 때문에 덱에 가능한 한 많은 카드를 넣을 것을 간접적으로 요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