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유산 | ||||
121호 | ← | 122호 | → | 123호 |
만월암 석불좌상 | 안양암 마애관음보살좌상 | 아미타괘불도 |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유산 제122호 | |
안양암 마애관음보살좌상 滿月庵 石佛坐像 |
|
소재지 |
<colbgcolor=#fff,#191919>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신5길 6 (창신동 130-1, 안양암) |
분류 | 유물 / 불교조각 / 석조 / 보살상 |
수량 / 면적 | 1軀 |
지정연도 | 1999년 11월 15일 |
제작시기 | 조선 후기( 1784년) |
관리자 (관리단체) |
안양암 |
|
<colbgcolor=#ff8c00> 안양암 마애관음보살좌상[1] |
[clearfix]
1. 개요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신동에 있는 안양암의 마애관음보살상이다.1999년 11월 15일에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유산 제122호로 지정받았다. 처음에는 '안양암 석감마애관음보살상(安養庵 石龕磨崖觀音菩薩像)'이란 이름으로 지정받았는데, 2009년 6월 4일에 명칭에서 '석감' 자를 뺐다.
2. 상세
|
|
|
<colbgcolor=#ff8c00> 마애보살상 상단[2] | <colbgcolor=#ff8c00> 마애보살상 중단[3] | <colbgcolor=#ff8c00> 마애보살상 하단[4] |
높이는 3.53m이다. 마애보살상은 머리에 보관을 쓰고 있고, 손은 오른손은 배에 대고 왼손은 들어 가슴 쪽에 대었으며, 통견가사를 입은 채 결가부좌를 하고 있다. 몸을 둘러싼 광배가 있는데 총 4줄이다.
마애보살상 앞에는 신도들이 기도를 드릴 수 있도록 제기가 놓여있다.
|
|
<colbgcolor=#ff8c00> 마애보살상을 보호하기 위해 세운 관음전[5] | <colbgcolor=#ff8c00> 관음전 옆 바위에 있는 명문[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