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 대진 방식 | |||
토너먼트 ( 싱글 · 더블 · 트리플) |
풀리그 (=리그전, 라운드 로빈) |
스위스 시스템 |
플레이오프 (=포스트 시즌) |
타이브레이커 ( 승자승 원칙 · 원정 다득점 원칙 · 순위 결정전 · 연장전) · 시드 |
1. 개요
Single-Elimination Tournament일반적으로 토너먼트라고 했을 때 가장 먼저 인식되는 대회 방식. 복수의 참가자를 1:1로 배치하여 패자는 바로 탈락하고 승자는 다른 경기의 승자와 대결하는 방식이다.
영어권에서는 녹아웃 토너먼트(Knockout Tournament) 또는 서든데스 토너먼트(Sudden Death Tournament)라고도 한다.
2. 라운드별 명칭
- 결승전: Final(s)[1]
- 준결승전(4강전): Semi(-)finals
- 준준결승전(8강전): Quarter(-)finals
- 16강전: Round of 16[2] / Octo(-)finals[3]
2.1. 장단점
일단 장점이라면 가장 먼저 간결함이다. 이기면 다음 라운드 진출, 지면 탈락이라는 한눈에 딱 보고 이해하기가 쉬운 방식이며 이로 인해 시합 하나하나의 비중이 매우 크기 때문에 흥행성이 높다.또한 싱글 엘리미네이션에서는 3, 4위전 등 다른 순위 결정 경기가 없다는 전제 하에 어떻게 표를 짜건, 우승자를 결정하기 위해 벌어지는 경기 수는 참가자 수보다 딱 하나 적다. 1명이 우승하기 위해 나머지 전부가 패배하게 되는데, {(참가자 수) - 1} 명의 패배자가 있다는 말은 {(참가자 수) - 1} 번만큼의 경기가 있었다는 얘기가 되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한번에 많은 팀이나 선수가 참여하더라도 경기 수가 급격하게 늘어나거나 하지 않는다.
단점은 한 번만 지면 탈락한다는 특성상 대진표에 따라 대진운이 크게 작용하기 때문에 그나마 1위 빼고 나머지는 객관성이 떨어질 수 있다는 점이 있다.특히 예선 등을 거쳐 대진표가 어느 정도 예상이 될 경우 일부러 대진표가 좋은 자리를 고르려고 져주기 게임이 발생할 수도 있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 시드를 도입하여 최대한 자리운을 방지하고 강자 혹은 인기스타를 보전해주는 방식을 쓰기도 한다.
또한 참가자 수가 2의 n승이 아니면 무조건 부전승이 나올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딱 토너먼트만 하면 그냥 2의 n승 만큼의 참가자만 뽑으면 그만이지만, 예선을 거치는 경우 참가자 수를 2의 n승에 맞추기가 어렵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와일드카드 등을 통해 숫자도 맞출 겸 일정한 수의 탈락자를 구제하는 시스템을 사용한다. 심지어 아예 참가팀 자체가 적어서 2의 n승 맞추기가 곤란한 경우도 있는데, 이 때는 특정 팀을 초청하여 억지로 맞추거나, 이렇게 해도 대진운 운빨을 배제할 수 없을 정도로 참가팀이 적다면 아예 토너먼트를 포기하고 풀 리그를 선택하기도 한다.
2.2. 예시
- 고시엔, 인터하이 등으로 대표되는 일본의 학원스포츠 대회
- 대한민국의 고교야구 대회 - 지역별 리그는 말 그대로 풀리그로 치러지지만 전국대회에 출전하면 토너먼트로 우승팀을 가린다.
- UEFA컵 대회를 비롯한 축구의 FA컵 대회
- e스타즈 서울 2007 스타크래프트대회 - 스갤에서는 천하제일 스타대회로 알려져있다.
- FIFA 월드컵 - 48강은 4개팀 12개조로 나누어 조별 풀리그를 진행해 살아남은 32강부터 토너먼트로 전개한다.
- 플레이오프 항목의 다수.
- 올림픽 펜싱, 복싱, 탁구, 양궁
- MSI(~2022) 4강, 결승
- 롤드컵 8강, 4강, 결승
미국 프로 스포츠 경기에선 어떤 규모로든 토너먼트를 할 수밖에 없는데, 그 이유는 미국은 땅이 큰 만큼 팀도 많고, 따라서 리그 구조가 양대리그기 때문이며, 거기다 디비전이라는 더 작은 개념이 있기 때문이다. MLS나 NFL을 제외하면 골고루 같은 횟수로 대결하는 게 아니며 같은 디비전 팀끼리 더 자주 붙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