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26 16:08:34

스톤 엣지 서버







파일:WineSOFT 로고_가로.png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소프트웨어
파일:STON 솔루션 대표 이미지.png
STON EDGE SERVER
파일:M2 솔루션 대표이미지_투명.png
M2
파일:M2 솔루션 대표이미지_투명.png
M2Live
}}}}}}}}}

파일:STON 솔루션 대표 이미지.png
STON EDGE SERVER
스톤 엣지 서버
<colbgcolor=#DF0101><colcolor=#fff> 개발 WineSOFT Inc.
라이선스 상업 소프트웨어
용도 리버스 프록시, 캐시 서버, 미디어 서버
운영체제 지원 OS 바로가기[1]
공식 홈페이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메뉴얼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2. 역사3. 고객사4. 설명
4.1. 기능
4.1.1. 캐시4.1.2. 원본 부하 분산4.1.3. 이미지 프로세싱4.1.4. 비디오 프로세싱
4.2. 지원 OS
5. 그외

[clearfix]

1. 개요

파일:ws_ston_m2_best_2.png
STON EDGE SERVER의 WebManager 사진

WineSOFT Inc.(이하 와인소프트)에서 개발한 캐시 솔루션이자 리버스 프록시 솔루션이다. 네트워크 대역폭 관리, 자체적인 서버 자원 사용 관리를 통한 극한의 효율성을 추구하는 솔루션이다.[2]


2. 역사

처음에는 국내 CDN사 유통을 목적으로 만들어진 캐시 솔루션이다. 엣지 레이어에 위치한 솔루션으로 시작했다. 릴리즈 노트를 보면, 리버스 프록시 서버의 역할을 온전히 수행할 수 있게 개선되었다.


Range 헤더를 시작으로, 미디어쪽을 조금씩 손 대기 시작하였고 DIMS(Dynamic Image Management System) 이미지 프로세싱 기능을 오픈하였다. 이때부터 단순 캐시뿐만 아니라 이미지들에 대한 가공까지 할 수 있게 되면서, 부분적으로 그래픽 툴의 역할도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그 후 HLS(http live streaming) 기능을 오픈하며, 비디오 파일에 대한 최적화, 가공을 지원하기 시작하며 멀티미디어 소프트웨어가 되었다.

3. 고객사

GS네오텍, 효성ITX, SKB(SK브로드밴드) 등 국내 CDN사 대부분이 STON 솔루션을 사용한다.

4. 설명

STON 메뉴얼에 기재된 내용을 일부 업로드한다.[3]

4.1. 기능

4.1.1. 캐시

자세한 내용은 4장. Caching 정책 메뉴얼을 참고.

4.1.2. 원본 부하 분산

자세한 내용은 7장. 원본서버 메뉴얼을 참고.

4.1.3. 이미지 프로세싱

자세한 내용은 17장. 이미지 툴 메뉴얼을 참고.

4.1.4. 비디오 프로세싱

자세한 내용은 18장. 동영상 메뉴얼을 참고.

4.2. 지원 OS

공식적으로 64bit Linux 배포판을 지원하며 패키지 의존성을 가지지 않는다.[4]

5. 그외


[1] 명시되지 않은 OS에 대한 동작 보장을 하지 않는다. [2] 소켓 용량에 대한 설명 [3] 상세 확인은 이곳에서 확인할 수 있다. [4] 지원 OS 현황